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활치료분야 현황 분석을 통한 언어치료학의 과제

        현정임(Jeong Im Hyeon),배인호(In Ho Bae),최양규(Yang Gyu Choi)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Rehabilitation treatment has become a popular occupation belonging to future promising occupation group due to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However, job satisfaction is low due to low wages and employment difficulties compared to the US and developed countries. Because of this situation, the trend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s changing and the treatment area is also expanding. Therefore, by analyzing trends in each rehabilit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future direction of language therapy area in order to develop the academic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atment trends of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Analysis: In the case of therapy, the treatment area is extended to the public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opening of the individual physical therapy room is difficult, it is turning into a Pilates instructor and a personal trainer to expand the individual"s abilities. In the case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t is expanding the treatment area to various patient groups In case of a language therapy, as more than 1,000 therapists are released annually, the unemployment rat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Department of Language and Audiology is being established at the school level so that not only language therapists but also audiologists can be certified.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grows, bilingual experts are also being trained. Conclusions: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centered on people with disabilities is gradually turning into general public treatment. It is also necessary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treatment methods, but exploring uncover the area of our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is also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postgraduate and language therapy.

      • KCI등재

        태블릿PC 인지재활훈련게임이 비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게임 수행 능력 및 인지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 효과성 분석

        이현숙 ( Hyun-suk Lee ),현정임 ( Jeong-im H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태블릿PC를 활용한 인지 훈련 게임이 비장애 및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인지 훈련 게임을 사용한 치료사와 아동 부모의 사용자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만 6세에서 11세 비장애 아동 20명, 지적장애 아동 20명이었으며 사전, 사후 K-WISC 검사를 통해 작업기억력과 지각추론능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블릿PC를 활용한 인지재활훈련 게임은 비장애 아동 뿐 아니라 지적장애 아동의 게임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작업기억력과 지각추론능력 역시 향상되었다. 태블릿PC를 사용한 치료사와 부모의 사용자 효과성 설문조사 결과, 태블릿PC를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이 기존에 시행되던 치료보다 더 흥미가 있으며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사용 방법 역시 어렵지 않고 쉽게 적응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에 행해지던 인지재활훈련 이외에 태블릿PC를 활용한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재활훈련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태블릿 PC 사용자인 치료사와 지적장애 아동 부모의 태블릿PC 게임 훈련 만족도 역시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 시대에 걸맞은 인지재활훈련 게임이 치료 현장에 활발히 적용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cognitive training game using tablet PC affects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non-disable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user effectiveness of the therapist and parents of children using the cognitive training gam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non-disabled children aged 6 to 11 years old and 2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e- and post-K-WISC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egree of working memory and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gnitive training games using tablet PCs have help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mprove game performance, as well as working memory and perception reasoning. As a result of usability survey of therapists and parents of children using tablet PCs, it was said that cognitive training using tablet PCs was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than the existing treatments. Based on this study, in addition to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raining using tablet PCs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tablet PC game training by therapist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lso revealed. It was also possible to discuss the ne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games suitable for the smart age to be actively applied to treatment sites.

      • KCI등재

        태블릿 디바이스 기반 인지재활 게임에 대한 노년층의 반응성 조사 연구

        최양규(Yang Gyu Choi),이현숙(Hyun Suk Lee),현정임(Jeong Im Hyeon),김정완(Jung Wa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7 言語治療硏究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measure user-reactivity when a cognitive rehabilitation game, which is built for improvement of working memory, is apply to the elderly. Methods: 52 senior citizens over the age of 64 were chosen and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xperience of cognition-related games, familiarity of smartphone game applications, Neuro-World game adapt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Neuro-World game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pplied-program understanding by experience of games, program understanding by familiarity of smartphone game application, and user-environment variables, which influences program understanding, were analyzed. Results: 15.4%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in cognition-related games, especially simple ones. Most of them have used games through their friends or families, 50% of whom had experience in games for more than six months, mainly for pleasure. Also, although they did not have any experience with smartphones, they were shown to use cognitive rehabilitation games easily after using the games for a while. A user-environment variable which affects understanding of cognitive rehabilitation games was the explanation part at the beginning of games and its significant probability was p<.01. Conclusions: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no interrelation between tablet PC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according to age. Given the results of the study, when the elderly use cognitive rehabilitation game applications for a period of time, the familiarit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game may be increased regardless of their smartphone experience.

      • KCI등재

        6-8세 아동의 서술어 연음 발달에 대한 연구

        김화수 ( Wha Soo Kim ),이숙 ( Suk Lee ),최양규 ( Yang Gyu Choi ),서지희 ( Ji Hee Seo ),정다은 ( Da Eun Jeong ),천정민 ( Jeong Min Cheon ),최경윤 ( Kyung Yoon Choi ),현정임 ( Jeong Im Hye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6-8세 아동을 대상으로 서술어 연음 읽기 발달 특성 및 오류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읽기 학습을 위한 기초선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6세(28명), 7세(30명), 8세(29명)의 정상 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술어 연음은 5개의 하위 영역(홑받침, 연음 반복, 반복자음, 겹받침, 겹받침 일부 생략)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영역은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전체 25개 문항을 큰소리로 읽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서술어연음 읽기는 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6세 집단과 7, 8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음을 하위 영역별로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6세는 하위 영역 전반에서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7세와 8세는 겹받침 및 겹받침 일부 생략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술어 연음 읽기 오류를 분석한 결과, 6세 집단은 끊어읽기, 첨가, 생략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 7세는 읽기 오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오류 형태에 있어서는 끊어읽기, 첨가, 생략, 대치의 오류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세에 연음 읽기가 가능하며 6세 아동이 연음을 읽을 때 사용하는 전략은 음절단위로 끊어읽기, 또는 앞음절과 뒤음절 모두에 종성 자음을 두 번 발음하거나 둘 다 생략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1학년이 되면 연음 읽기의 오류가 현저히 감소하는 시기이며 초등학교 2학년이 되면 서술어 연음읽기가 안정되는 시기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6세 아동부터 연음 읽기 지도가 가능하며, 초등학교 1학년은 연음 읽기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error characteristics of the prolonged sound of predicate reading in 6 to 8 year old children. The subject was attended 6 years(n=28), 7 years(n=30) and 8 years(n=29). Test consisted of prolonged sound of the predicate reading(single of final consonant, double of the prolonged sound, double of the same final consonant, double of final consonant, omit of single consonant in double of final consonant). Total reading item consisted of 25.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rolonged sound of predicate rea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f three group. Second, Group 6 years old showed difficulties in the entire subtest. Groups 7, 8 years old showed difficulties in the double of final consonant, omit of single consonant in double of final consonant. Third, Error of prolonged sound of predicate reading showed pausing, add and ellipsis of 6 years old. Error of prolonged sound of predicate reading noticeable decreased error of 7, 8 years old. Through this study, The prolonged sound of predicate reading began at 6 years old. The pausing, add and ellipsis strategy with children aged 6 to reading. Reading error dramatically decreased in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a time of stability to prolonged sound of the predicate reading.

      • 식물생장조절제가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선발계통 WH1, PI1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영향

        임현정(Hyeon Jeong Im),송치(Chi Hyeon Song),최현준(Hyeon Jun Choi),송기선(Ki Seon Song),김도(Do Hyun Kim),오범석(Beom Seok Oh),김상근(Sang Geun Kim),김양수(Yang Soo Kim),이재선(Jae Sun Yi)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은 부처꽃과(Lythraceae) 부처꽃속(Lythr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주로 습지에 자라며, 여름(7~8월)에 붉은 자주색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본 연구는 털부처꽃 선발계통인 WH1와 PI1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내증식 체계 확립을 위하여 생장조절제 종류에 따른 기내배양 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털부처꽃 선발계통 기내배양묘 WH1과 PI1의 배양 조건은 MS 기본배지에 3% Sucrose를 넣고 pH 5.8로 조정한 후 0.4% Gelrite를 첨가하였고, 처리 조건은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0.5, 1.0 mg/L BAP와 Kinetin을 0.5mg/L IAA 및 GA3에 혼용하여 4주간 배양하였다. 털부처꽃 선발계통 WH1, PI1은 생장조절제의 영향이 있으며,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WH1 및 PI1은 0.5mg/L IAA와 Kinetin에서 신초길이(Shoot length) 12.22cm, 11.43cm로 가장 길었으며, 신초수(Shoot number)는 WH1은 0.5 mg/L IAA, 1.0 mg/L Kinetin 혼용처리에서 2.56개, PI1은 0.5 mg/L IAA, 0.5 mg/L mg/L Kinetin 혼용처리에서 4.10개로 가장 많았다. 마디수(Node number)는 WH1은 0.5 mg/L IAA, 0.5 mg/L Kinetin 혼용처리에서 6.89개, PI1은 0.5 mg/L IAA, 1.0 mg/L Kinetin 혼용처리에서 10.10개로 가장 많았다. 뿌리 및 엽 수(Root·Leaf number)는 WH1은 0.5 mg/L IAA, 0.5 mg/L Kinetin 혼용처리에서 13.22개, 15.44개, PI1은 0.5 mg/L IAA 단용처리에서 21.00개, 13.10개로 가장 많았다. 특히, GA3 처리의 경우, 선발계통 모두 줄기와 잎이 왜소하고 도장하여 증식용 배지로는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털부처꽃 선발계통인 WH1와 PI1의 증식용 배지에는 식물생장조절제 IAA와 Kinetin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털부처꽃의 신품종 육성 및 대량증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배지 종류가 둥근매듭풀(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기내증식에 미치는 영향

        임현정(Hyeon Jeong Im),최현준(Hyeon Jun Choi),송기선(Ki Seon Song),김도(Do Hyun Kim),오범석(Beom Seok Oh),김상근(Sang Geun Kim),김양수(Yang Soo Kim),송치(Chi Hyeon Song),이재선(Jae Sun Yi)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둥근매듭풀(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은 콩과(Leguminosae) 매듭풀속(Kummerowia)에 속하는 초본성 식물로서 척박한 곳에 잘 자라며 정원용 녹화 식물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둥근매듭풀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내증식 체계 확립을 위하여 배지 종류에 따른 최적 배양 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둥근매듭풀 종자발아 조건은 양분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MS(Murashige&Skoog medium), 1/2MS배지에 4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MS배지에서 평균발아일수가 짧았고, 모든 배지에서 80% 이상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특히 MS배지에서 91.4%로 가장 높았다. 둥근매듭풀 기내배양묘 배양 조건은 양분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MS(Murashige&Skoog medium), B5(Gambong O.L medium), WPM(Lloyd&Mccown medium), SH(Schenk&Hildebrandt medium), N6(CHU medium), NM(Nitsch medium)배지에 4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배지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둥근매듭풀 기내배양묘는 WPM배지에서 신초 길이 (Shoot length) 5.96cm, 엽 수(Leaf number) 32.50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NM배지에서 뿌리 발생률(Root ratio)이 13.8개로 가장 높았다. 특히, N6, B5배지는 배양 2주차부터 모든 엽이 갈변하였고 줄기 생장이 정지하여 둥근매듭풀 기내배양묘 생육에 적절하지 않았으며, WPM배지는 둥근매듭풀 기내배양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둥근매듭풀의 산업화 및 대량증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강정(Jeong Hyeon Kang),정경임(Kyung Im Jung),박미화(Mi Hwa Park),오근혜(Geun Hye Oh),김미향(Mihy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에서는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고,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와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MC3T3-E1 세포의 증식률과 ALP의 활성 및 골 석회화 정도를 측정하고 OPN과 Runx2 및 osterix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3.04 ㎎ GAE/g으로 나타났다.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1,000 ㎍/mL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92.41%로 나타났으며, SOD 활성은 1,000 ㎍/mL에서 54.26%로 나타났다(P<0.05).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이 MC3T3-E1 조골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 100 ㎍/mL로 처리 시 123.13%로 나타나 높은 조골세포 성장률을 보였다. MC3T3-E1 조골세포에서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ALP 활성은 추출물 10 및 50 ㎍/mL 농도에서 각각 118.93%, 115.21%로 무첨가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Alizarin Red 염색법에 의한 석회화 형성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불등풀가사리 추출물 처리에 의해 calcium spot이 많이 형성되었으며, 석회화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석회화 형성능을 보였는데, 시료 50 ㎍/mL 농도에서 133.86%로 최대 활성을 보였다. MC3T3-E1 조골세포에서의 OPN과 Runx2 및 osterix 단백질 발현량은 불등풀가사리 추출물 50 ㎍/mL 농도에서 분화 대조구보다 각각 1.26배, 2.13배, 2.87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조골세포 증식, ALP 활성, 골 석회화 형성 및 조골세포 분화 인자의 단백질 수준을 조절하여 그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decreased bone strength, decreased bone mass, and bone deteriora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loiopeltis furcata ethanol extract (GF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 Antioxidant activities of GFE were examined by evaluat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Results showed that GFE contains 3.04 ㎎ gallic acid equivalents/mL. GFE exhibited significantly strong scavenging activity in the DPPH assay, and 54.26% SOD activity was exhibited at 1,000 ㎎/mL concentration. Furthermore, GF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s. Exposure to GFE promote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mineralized nodules in MC3T3-E1 cells. Moreover, a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proteins associated with osteoblast growth and differentiation, such as Runx2, ALP, and osterix, was observed in the GFE-treated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FE encompasses both antioxidant potential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perties. Thus, we conclude that GFE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n alternate therap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