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민의 공직자접촉에 대한 영향요인: 주민대표의 공공서비스만족도 요인을 중심으로

        현승숙,이승종 한국행정학회 2009 韓國行政學報 Vol.43 No.4

        본 연구는 지방공공서비스제공과정에 있어서 서비스 만족도에 따른 주민의 공직자접촉 정도를 실증적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한 것이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서비스만족도와 참여활동의 관련성이 공공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이할 것으로 보았다. 이때 공공서비스 유형은 서비스 제공자와 주민 간 관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서비스 만족도에 따른 공직자 접촉의 정도는 가설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공공서비스 유형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객관계 서비스일 때에는 공직자접촉과 음(-)의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비자관계 서비스 경우에는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 포획관계 서비스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지방공공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주민참여를 제고하고, 서비스 만족도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민접촉에 따른 지방정부신뢰 분석

        현승숙(玄承叔),이승종(李勝鍾) 한국지방자치학회 2007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9 No.4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 of citizen-initiated contacts on citizens' trust in local government to whic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In this regard, we posit that citizens' evaluation on governmental performance is directly linked to their trust in government. Using the result of a survey on citizens' attitude, which was performed for 1,200 adult citizens of Korea in 2006,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initiated contacts and their trust in local government. In doing so, it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off-line and on-line contacting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itizens' contact and their trust in local government.

      • KCI우수등재

        지역 내 소득불평등도에 따른 주민참여

        현승숙 ( Seung Sook Hyun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주민참여 간 관련성을 기초지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민의 지역사회 공공문제에 대한 참여 정도가 해당 지역의 소득불평등 수준에 의해 일정부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의 유형을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참여공간과 공공문제의 직접해결방식에 있어 양자 간에 차이가 나며, 이에 대한 소득불평등의 영향 역시 상이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참여의 관련성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내 소득불평등 수준에 따른 주민참여 정도는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불평등 수준은 사회참여 중 봉사단체의 수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으며,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참여는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는 긍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주민의 공직자접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local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citizens concerning public interests of the community will partially be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of the relevant area,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were classified into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fore examination.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disparity among both sides with regards to the direct solu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capacity and public interests, and the influence of income inequality regarding such may be different. Moreover, the relevance of civic engagement regarding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Our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citizen participation pursuant to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within the area was found to manifest a dispa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volunteer associations in terms of the civic engagement,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s in term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civic engageme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concern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concerning the degree of citizen-initiated contac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as not found.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 정책결정자의 행정이념과 혁신지지

        현승숙(Seung-Sook Hyun),윤두섭(Doo Sup You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지방정부 정책결정자의 행정이념과 지방정부 혁신에 대한 태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때 행정이념은 동기부여의 동인으로 작용하는 가치로서 혁신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단체장, 지방의회의장, 부단체장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지방정부 정책결정자들이 정책결정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행정이념은 능률성이었다. 또한 행정적 통제, 직접적 민주주의, 신공공관리적 개혁으로 세분화한 혁신에 대한 지지를 분석한 결과 민주 성향을 띤 정책결정자의 혁신에 대한 지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 혁신의 차원에서 본다면 행정이념의 혁신 역량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decision-maker's administrative ideology and attitude toward innovation. We focus on administrative ideology as values related to motivating forces, which thus have influences on the support to innovation. The results show that efficiency was the administrative ideology most pursued by those decision makers of local government surveyed with questionnaire. In th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support to innovation which was subdivided into administrative control, direct democracy, and reforma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effects of administrative ideology on those innovation, the decision makers who put primary consideration on democracy showed generally higher support to innova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decision makers' administrative ideology the requirements for innovation of local governments can act as crucial innovative competency.

      • KCI등재

        보통교부세 인센티브제의 반응성과 그 함의

        김석태(金錫泰),현승숙(玄承叔)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5 No.3

        This paper analyzes the responsiveness of the incentive items in the general revenue sharing(GRS) of Korea which was introduced 1997 and then propose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responsiveness of incentive items should be differ between GRS recipient and non-recipient localities. But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paper does not support the thesis. On the other hand, the opinion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the GRS show that they do not consider incentive items of GRS as important factors in local policy making. These results show that incentive items of GRS are not effective policy measure for incentive which intend to change local government behaviors. Instead they might hinder local financial equalization and local financial autonomy. In consequence, this paper contends that incentive items of GRS should be reduced or abolished rather than remodelled for further decentralization of Korean Government.

      • KCI등재

        커뮤니티웰빙이 지역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기영화,정서린,현승숙 한국비교정부학회 2019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mmunity wellbeing affects regional belonging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A total of 2,723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face to face questionnaire (PI) by educated interviewers, Korea Research Institute in 2015.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two multi - level analysis model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distinguish between regions and individuals by presuppos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effects and personal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ly,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community capital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individual level were found to be discriminative. Secondly regional belonging sen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ommunity wellbeing and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level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local belonging. Thirdly, the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on the individual level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the belonging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청소년용 법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석원,정진철,현승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line of measuring the scale of legal consciousness.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Youths in Daejeon and Chungnam. The main fields of legal consciousness are legal knowledge, cognition, sensitivity, attitude, behavior based on documents. The primary legal consciousness scale was made according to every field of legal consciousness. A preliminary examination based on the scale and a study of reliance and the factors was held. Based on these results, 27 questions which were concerned to be impairing reliability or lacking in factor were deleted on the secondary legal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The secondary legal consciousness scale which constituted of 73 questions was put into another preliminary study and after analyzing reliability and the factors, 12 questions of low reliabilities were deleted and with these results, the third scale were made consisting of 61 questions. A study based on the third legal scale which is made of 61 questions, were held and with a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s made. Totally, 8 questions were removed and the final scale were consisted of 53 questions. 본 연구는 법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법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법교육의 대상인 학생들의 법의식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필요성에 따라, 중·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법의식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법의식 분야를 법지식, 법인식, 법감성, 법태도, 법행동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분야의 구성요소를 포괄하는 문항으로 1차 법의식 척도를 작성하여 예비조사한 다음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요인부하량이 낮은 문항을 삭제하여 2차 법의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2차 법의식 척도를 예비 조사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을 삭제하여 3차 척도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 법의식 척도를 본조사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법의식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정된 청소년용 법의식 척도 문항은 법지식 12문항, 법인식 11문항, 법감성 12문항, 법태도 10문항, 법행동 8문항으로 총 53문항이었다. 또한 하위요인은 법지식에서 법개념이해와 법응용력의 2개 요인으로, 법인식에서 법필요성과 법중요성, 법교육목적의 3개 요인으로, 법감성에서 법친밀감과 법익숙성, 법공감성의 3개 요인으로, 법태도에서 법신뢰성과 법준수성의 2개 요인으로, 마지막으로 법행동에서 법적해결과 법적참여의 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