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너지 균형을 고려한 태양광 추진 HALE 항공기의 형상 설계

        한혜선,박홍주,황호연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균형조건을 고려하여 글라이더 형상의 중형 태양광 추진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HALE UAV)의 형상설계를 수행하였다. 태양전지와 배터리, 비행 고도 및 비행환경 등을 고려하여 사용가능한 에너지와 비행체의 필요에너지를 비교하여 24시간 연속비행의 가능성을 계산하였다. 태양광추진 HALE 무인기의 비행환경으로 우리나라 제주도인 북위 33.6°의 6월 22일(하지)을 기준으로 하였다. 낮 시간에 비행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초과하는 태양에너지를 저장하여 야간에 비행할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하루 동안의 비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너지 균형을 바탕으로 무인기의 주요 치수 및 중량 분포 등의 고고도 장기체공의 무인기의 형상을 결정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optimized glider type configuration design of solar powered high altitude long endurance(SPHALE) UAV prioritizing energy balance. With consideration of solar cells, battery, flight altitude and flight environment, required energy of the aircraft was compared to the available solar energy for one day continuous flight. The flight environment was assumed to be Summer solstice on June 22<SUP>nd</SUP> and 33.6° N, Jeju Island, Korea. Using available solar energy from the sun and by storing exceed solar energy during daytime, the night flight could be performed and continuous flight for a day could be secured. Based on this energy balance, configurations of solar powered HALE UAV such as major geometries and mass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 모달 해석을 통한 일체형과 분리형 인공위성의 구조 강성도 비교

        한혜선,김기승,조재욱,정성훈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인공위성은 그 특성상 개발, 제작, 발사 및 우주환경에서 운용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의 기계적, 열적, 전자기적 외란을 받으며, 위성 구조체 설계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외란은 진동이며, 이는 구조적인 강건성과 연관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체의 전반적인 구조적 형상 개념에 대해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분리하였다. 일체형 인공위성의 경우 구조체의 연속성으로 인해 하중 또는 진동환경 하에서 구조적 강성이 높지만 브래킷을 대체할 다른 형태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무게의 감소의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허니콤 복합소재 위성의 일체형과 분리형 구조모델에 대해 모드해석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변형에 대한 구조 강건성을 검토하였다. From development, manufacture, and launch to operation, a satellite is exposed to various disturbances such as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omagnetic conditions as every process in space. A vibration is the most considerable critical condition in structural design level, which is relative in structural robustness(or stiffnes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satellite; integrated and separated model. In case of integrated model has higher stiffness under loads or vibration another model, however, new connecting interface methods are need for replacing brackets, and it cannot be sure lower weight. This study presents modal analysis about two types of satellite consisted as aluminum honeycomb core composite, and through the result, structural robustness is checked by satisfying requirement as stiffness or flatness comparison.

      • KCI등재후보

        여성의 자아발견과 글쓰기 : [서있는 여자]와 [왼손잡이 여자]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ie Linkshandige Frau and A Standing Woman

        한혜선 한국비교문학회 2003 比較文學 Vol.31 No.-

        Marianne in Peter Handke's Die Linkshandige Frau and Ha yonji in Park Wan Seo's A Standing Woman are represented as women with a distinctive token different from other women. The mark of the left-handedness is a metaphor of ‘a woman alone’distinguished from ordinary people, and ‘a standing woman' can be interpreted as a woman who stands at the starting point of doing something new, not a woman who live peacefully in a current situation. Peter Handke is considerably controling himself in narrating, and Park Wan Seo is not restricted to express the female behavior and consciousness. Peter Handke doses not reveal the inside of woman but describes the outside to configure the image of the woman. Therefore, Peter Handke intends to mystify the left-handed woman. Park Wan Seo narrates about Ha Yonji without reservation adhering to her, and describes her as a positive and lively woman by outlining vividly the female character's thought. In A Standing Woman, Park Wan Seo deals with women's problems from a woman's perspective. As Peter Handke narrates about Marriane seen through the window, the character is walled within the narrator's gaze. On the other hand, Park Wan Seo reveals Ha Yonji moving free in her own space. Marriane is an object being seen and Ha Yonji is a subject seeing. In Die Linkshandige Frau, Marriane feels humiliated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and she is self-awakened and wants to be free. In A Standing Woman, Ha Yonji has a firm belief that equal marriag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can be made, but at last realizes that the belief was an illusion. Marriane and Ha Yonji have obstacles to get over for the establishment of their identity as women. Marriane is in the pursuit of freedom against the subjugation to man, in spite of the man-oriented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Marriane is not free among the men who pay court to her and which she may choose less authoritative and more romantic lovers rather than her husband. This discourse is derailed from the masculine discourse of the conventional literary texts. Longing for her father's study and dreaming his elegant world, Ha Yonji wants to be like her father. This is an adoration of the male-oriented culture. But after she finds out the falsity of the equality of man and woman that her husband has supported and the superiority consciousness that her father has had, she longs for her own room and her own writing. In the end, Marianne ascertains the freedom, drawing her own body. The drawing of her body is not an entity, but an image of language. The drawing is a writing in a language of silence. Ha Yonji obtains the pure freedom through her owning writing in which a woman can be a subject.

      • KCI등재

        조선전기 경기지역 부장(副葬) 도기(陶器)에 나타난 신구(新舊)요소의 공존양상

        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경기지역에서 확인된 조선전기 분묘에서 출토된 도기를 대상으로 신구요소가 공존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조선전기 분묘유적에서 도기가 부장된 분묘의 비율은 낮은 편이며, 부장된 도기 또한 분묘 1기당 1점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부장 도기를 기종별로 분류한 결과 호․병․장군․명기․기타로 구분되었으며, 이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종은 호와 병이다. 호는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단경호․파수단경호․장신호․소호 등으로 나누어지며, 단경호가 가장 많이 부장되었다. 병은 나팔입병․자라병․소병으로 구분되는데, 나팔입병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단경호와 장신호는 고려후기부터 현재의 경기도와 충청도에 해당하는 중부지역에서 부장용으로 선호되었던 기종으로, 여전히 고려적 전통이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동체에 여러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파수단경호, 동체가 옆으로 누운 형태의 장군, 소형으로 제작한 부장용 도기제명기는 조선이 들어선 이후 새롭게 부장되는 품목이다. 특히 도기제 명기는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으로, 수도 한양과 인접한 경기지역이 새로운 예제의 보급과 적용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빨랐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왕조가 세워졌다고 해서 모든 제도와 문물이 일시에 변화할 수는 없다. 왕조 변화와 무관하게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때 그 이전부터 지속되던 전통적인 요소와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추진으로 인해 반영된 신요소가 일정기간 공존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이러한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조선전기 경기지역 분묘의 부장품중 도기를 꼽을 수 있다. This thesis concretely examined the coexistence aspect of new and old elements, targeting the pottery excavated from graves of Gyeonggi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grave ruin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atio of graves with pottery was low, and in most cases, one from the pottery was buried in each grave. The grave pottery were divided into jar, bottle, Jang-gun, Myeong-gi, and others. Out of them, the types occupying the highest percentage were jars and bottles. The jars were divided into short-necked jar, handle short-necked jar, tall-but-narrow-at-the-bottom jar, and small jar; the short-necked jar was buried the most. The bottles were divided into trumpet-mouthed bottle, terrapin-shaped bottle, and small bottle. The trumpet-mouthed bottle occupied more than 90% out of bottles found in the graves. As the types preferred for the purpose of burial in the central region including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he short-necked jar and tall-but-narrow-at-the-bottom jar show that the tradition of Goryeo was still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short-necked jar with handles in different shapes, Jang-gun with the body lying on its side, and the pottery Myeong-gi for grave produced in small size, are the items newly buried from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as the pottery Myeong-gi was very hard to find in other regions, it is an example showing that Gyeonggi region close to the capital Hanyang was faster to spread and apply the new ritual system, compared to other regions. Even when the new dynasty is established, every system and culture cannot be changed at once because people in the space a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change of dynasty. At this time, it is so natural that the traditional elements that have been passed down, coexist with the new elements reflecting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The pottery could be pointed out among grave goods of Gyeonggi-d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a case concretely showing this look.

      • KCI등재

        17세기 의궤 속 화원이 사용한 백자의 종류와 지급방식

        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2 한국문화연구 Vol.42 No.-

        조선왕실과 관청에서 사용하는 백자는 관요였던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에서 주로 제작하였다. 크게 가는 모래받침을 받쳐 갑발에 넣어서 개별 번조한 양질백자와 태도빚음이나 모래를 받쳐 포개구운 조질백자로 구분된다. 그동안 의례기와 최고급 음식기로 사용되었던 양질백자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어 왔으나 압도적인 수량을 차지하는 조질백자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많이 다뤄지지 않았다. 그런데 필자는 의궤 자료를 살펴보던 중 왕실의 각종 행사에 동원된 장인들에게 상당량의 백자가 지급되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백자가 단순히 음식기명이나 의례기를 넘어 장인들의 제작도구로도 활용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백자는 다양한 분야의 장인들이 작업도구로 썼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수량을 사용한 장인은 ‘화원(畫員)’이었다. 화원이 사용한 백자사발과 보아는 막자와 짝을 이루어 안료를 빻거나 개어서 사용할 때 활용하였으며, 안료를 색깔별로 구분하여 채색할 때는 접시와 종자를 활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안료의 종류가 많았기 때문에 당연히 화원에게 제공된 백자의 양이 상당했으며, 이를 사옹원과 평시서에서 공급하였다. 이때 화원에게 공급한 백자는 관요에서 생산한 아직 사용하지 않은 조질의 신제품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때에 따라서는 다른 관사에서 사용하다가 파손된 것을 가져와서 재활용하기도 했다. 그동안 도자사에서 의궤를 다룰 때 주로 의례기에 집중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왕실과 중앙관청에서는 다양한 용도와 방식으로 백자가 사용되었다. 관요에서 제작된 수많은 백자가 과연 어떻게 쓰였는지 구체화하기 위해서 의궤는 여전히 중요하고 유효하며, 앞으로도 다각도에서 유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