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양도성 내 조선전기 문화층 출토 매납도기의 종류와 특징

        한혜선 ( Han Hye-sun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7 陶藝硏究 Vol.- No.26

        최근 많은 발굴조사를 통해 한양도성 내 조선시대 유적과 유물이 다수 알려지게 되었고, 출토자료를 바탕으로 심화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최근 한양도성 내 유적에 대한 발굴성과를 토대로 비교적 안정된 조선전기 층위에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기와 공반되는 매납용 도기에 집중하여 종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건물지에 매납된 도자기는 상부 기명과 하부 기명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부 기명으로는 주로 도기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부 기명을 중심으로 도기를 형태에 따라 구분한 결과 단경호, 장신호, 매병형호, 병으로 나눌 수 있었다. 동체가 둥글고 크기가 중소형에 해당하는 단경호는 다시 세부적인 특징에 따라 부가된 장식이나 기능이 없는 기본형태와 파수가 달린 파수단경호, 파수와 주구가 달린 파수주구단경호 3가지가 있었으며, 하부 기명으로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장신호와 매병형호는 전체 매납도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지만 단경호와 마찬가지로 조선전기의 대표적인 도기 기종으로 일정정도 역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본형태의 단경호, 장신호, 매병형호는 모두 고려후기부터 유행했던 기종으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어느 시기까지는 그 형태적 특징이 여전히 지속되었다. 반면에 파수단경호와 파수주구단경호는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새롭게 등장한 기형으로 추정된다. 전반적으로 매납도자기는 도기의 우세 속에 분청사기와 백자도 다수 활용되었으며, 분청사기와 백자가 조합을 이루는 경우도 확인된다. 또한 같은 층위에서 출토되는 일상기명과 매납도자기가 형태나 품질 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매납용으로 특별히 제작하지는 않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자기 중에서 선별하여 여러 조합으로 구성하여 매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rough the recent lot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historic sites and remains in Hanyangdoseong have been discovered a lot, and based on the excavated materials, more in-depth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He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mainly of the interment potteries associated with ceramics presumed with the period while being excavated from relative stable layer based on recent excavation output of the relics in Hanyangdoseong. As the analysis result, interment potteries in building site are composed with upper guimyeong and lower guimyeong as a set, as the lower guimyeong, potteries were mainly used. As the result of dividing potteries according to shape mainly with lower guimyeong, they can be divided into short-neck jar, jar with long and slim body, Maebyeong-shape jar, and bottle(byeong). Short-neck jar, which is round and small-medium size, again had basic type with no additional decoration or function, handle short-neck jar with handle, and handle spout short-neck jar with handle and spout according to detailed characteristic, which were mostly excavated as lower guimyeong. Short-neck jar already appeared during Goryeo period, which was widely used during the overall early Joseon, particularly, handle short-neck jar and handle spout short-neck jar newly were determined to have appeared during Joseon. Jar with long and slim body and Maebyeong-shape jar had less proportion in the whole interment potteries, however as short-neck jar, it is presume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role as the representative pottery of early Joseon. Basic form short-neck jar, jar with long and slim body, Maebyeong-shape jar were all popular since late Goryeo,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still continued until a certain period during Joseon Dynasty. Also,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 were variously utilized in the dominance of potter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re's no big difference in the form and quality between interment pottery and daily pottery excavated from the same layer,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not produced particularly for interment, but were composed in various combination among daily utensils.

      • KCI등재
      • KCI등재

        전기로 추진되는 일반 프로펠러 항공기의 초기 사이징

        한혜선(Hye-sun Han),신교식(Kyo-sic Shin),박홍주(Hong-ju Park),황호연(Ho-yon Hwang),남태우(Taewoo Na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1 No.5

        전기 추진 프로펠러 항공기는 기존의 제트엔진으로부터 나오는 유해한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적 우려와 국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항공기 사이징 방법들은 여러 종류의 에너지원과 동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기 추진 항공기에 바로 적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동력기반 사이징 기법에 기초한 전기추진 항공기 사이징의 실제 예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일반 항공기는 프로펠러, 고온초전도 모터, 수소가 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전지, 동력 조절 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추진시스템에 의해 구동된다. 기술 향상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 구성품들의 두 가지 다른 기술구성을 가정하여 항공기 사이징을 수행하였고, 전형적인 형태의 기준 항공기와 사이징 결과를 비교하였다. Propeller aircraft propelled by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is gaining a renewed interest because of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concern on harmful emissions emitted from conventional jet engines and national energy security. Traditional aircraft sizing methods are not readily applicable to electric propulsion aircraft that utilize a variety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and power generation systems. This study showcases an electric propulsion aircraft sizing exercise based on a generalized, power based sizing method. A general aviation aircraft is propelled by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that comprises of a propeller, a high temperature super conducting motor, a Proton Exchange Membrance(PEM) fuel cell system fuelled with hydrogen, and power conditioning equipment.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technology progression, aircraft sizing was conducted for two different sets of technology assumptions for electric componen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baseline aircraft.

      • KCI등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한 글라이더형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기의 초기사이징

        한혜선(Hye-sun Han),김찬얼(Chan-eol Kim),황호연(Ho-yon Hw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대체에너지로 태양광과 수소재생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고고도 장기체공무인기의 초기 사이징을 수행하였다. 박스 윙 형태의 형상 대신 해외에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기본 자료들이 풍부한 글라이더 형태의 형상을 선택하였다. 이륙중량 150 ㎏ 급으로 추진 시스템은 모터와 프로펠러, 태양광 전지, 전기분해를 통해 재충전이 가능한 액체수소 연료전지로 구성되어있다. 하루 동안 순항 비행 시 필요한 최소 요구 에너지와 낮 시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태양광 에너지와의 에너지 균형을 고려하여 가로세로비, 날개 길이, 면적 등 항공기 설계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전체 이륙중량을 추정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initial sizing of a HALE(High Altitude Long Endurance) UAV which uses solar power and hydrogen fuel cell as an alternative energy was performed. Instead of a wing box type, a glider type was chosen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get a data thanks to many researches abroad. Maximum takeoff weight is around 150㎏ and the propulsion system is composed of motor, propeller, solar cell, and hydrogen fuel cell which can be recharged through electrolysis. Maximum takeoff weight was estimated as aspect ratio, wing span, wing area change while considering energy balance of required energy which is necessary for flight during the entire day and available energy which can be taken from the solar cell.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실의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한혜선(Han, Hye-Sun),박효철(Park, Hyo-Chul)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주거공간 안에서 노인실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실내요소는 색채이다. 노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채의 배색을 효과적으로 한다면 노인실 안에서 노인의 물리적 안전과 심리적 안정 등에 대응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어 시장에 나와 있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루, 벽지, 가정용 가구의 색채 분석을 통하여 노인실의 색채이미지별 색채배색을 제안하여 노인실의 색채계획에 있어서 바닥, 벽, 가구의 색채배색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실 색채배색을 제안하기 위하여 첫째, 국내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색지각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기준을 마련한다. 둘째, 마루, 벽지, 가구색채 샘플을 수집한 후, Photoshop CS 프로그램에서 RGB값을 추출한다. 추출된 RGB값을 Munsell Conversion Program을 이용하여 먼셀 값으로 변환하여 표기하고 색상과 색조 분포를 분석한다. 셋째, 추출한 색채를 IRI 색채이미지 스케일에 포지셔닝하여 각각의 마감재가 가지는 색채이미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넷째, IRI 배색사전을 통하여 측색된 마감재의 색채들을 색채이미지 별로 추출하여 바닥, 벽, 가구의 색채배색을 구성한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노인실의 색채배색에서 동일색상, 반대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유사한 색상배색을 피하고 명도 또는 채도 차이가 큰 색채를 배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이 되겠다. 벽지는 전반적으로 YR, Y계열에서 나타났고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영역에서 주로 분포되었다. 마루의 색상은 wood소재의 특성 상 YR, Y계열에서 주로 나타났고 장판은 YR, Y계열외에도 G, B, PB, RP색상도 나타났다.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dark grayish, pale, soft, dull영역 등 여러 영역에서 나타났다. 가구의 색채는 전체적으로 YR계열의 색채가 많이 나타났으며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영역에서 주로 분포되었다. 마루, 벽지, 가구의 색채 이미지 분석한 결과 벽지의 색채는 ‘온화한’, ‘우아한’, ‘은은한’ 이미지가 주룰 이루었다. 마루와 장판의 색채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온화한’, ‘우아한’, ‘점잖은’, ‘화려한’ 등의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고 다른 마감재보다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가구 색채의 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벽지, 마루와 장판, 가구의 공통된 색채 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우아한’, ‘점잖은’으로 분류되었다. The color is a interior factor to control easily in residential space. The effective color scheme considering visual characteristics for elderly can handle the physical safety and psychological comfort in elderly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lor scheme of floor, wall, furniture considering color perception through the color analysis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that can easily get on the marke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drawn based upon the purpo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for elderly is considered and the analysis criteria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literature. Second, the distribution of its hue and tone is analysed after collecting the color sample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Third, the color image appearing in each finishing material color is analysed by color image scale positioning. Finally, the color scheme for elderly room is suggested after verifying by the analysis criteria for eliminating the color schemes that contain the disadvantage to elderly. For suggesting the color scheme of elderly room,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is using color scheme of value or chroma difference rather than using color scheme of similar in value and chroma similarity. The hues of YR, Y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tone appeared in the wallcovering and the hues of YR, Y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dark grayish, pale, soft, dull tone appeared in the flooring generally. In the furniture, the hues of YR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tone appeared mostly. The result of color imag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lor images of wallcovering are ‘mild’, ‘elegant’, and the color images of flooring are ‘peaceful’, ‘pure’, natural’, ‘mild’, ‘gentle’ and ‘luxurious’ image. The color images of furniture are ‘pure’, natural’, ‘elegant’, ‘gentle’ and ‘modern’ image genarally. Common color images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are ‘pure’, ‘natural’, ‘elegant’,and ‘gentle’ image. Since the color range of finishing material is specified, not all color samples are satisfied with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However, the result is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for color scheme based on color image which is easily discernable for color plan of elderly room.

      • KCI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 도기통형호(陶器筒形壺)에 보이는 원(元)의 영향

        한혜선 ( Han Hyesun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2 No.-

        고려시대 후기인 13세기 중반~14세기말에 해당하는 유적에서 확인되는 도기 가운데 편평한 바닥에 細長한 동체가 연결되고, 구연의 중간부분에 단이 져 있으면서 어깨부분에 2~4개의 고리가 달린 것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기는 고려 자체에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원에서 제작 사용하던 것이 교류를 통해 고려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하여 소위 ‘몽고병’이라고 불러왔다. 원에서 제작한 이 도기통형호는 동시기 고려와 일본에서도 간간히 확인되고 있어 당시에 동아시아 삼국에서 모두 확인되는 도기 가운데 하나이다.도기통형호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원대에 해당하는 침몰선이나 원과 관련이 있는 유적에서 확인된 사례가 많다. 그리고 이것은 그 자체가 무역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이 출토되는 것이 아니어서 원대 무역선에서 선상생활용으로 사용된 용구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기통형호는 장거리 해양이동 과정에서 필요한 물·술·간장 등 액체로 된 식료품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용도에 걸맞게 고려에서도 원과의 해상루트로 연결되는 지점인 제주도와 서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다. 이렇게 고려에서 원대 도기통형호가 출토되는 것은 당시 고려와 원이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고 이를 토대로 많은 인적·물적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원의 문물이 다양한 방식과 루트를 통해 고려에 전해졌는데, 양국 교류의 일면이 도기통형호의 사례를 통해 도기에도 나타나는 현상임이 확인된다.원과의 교류를 통해 고려로 유입된 도기통형호는 비슷한 형태를 유지한 채 14세기 중반 이후 고려에서도 자체적으로 제작되었다. 한반도에서 확인되는 도기통형호 가운데 ‘덕천고’와 및 ‘보원고’와 같이 고려에서만 확인되는 관사명이 새겨져 있다는 점과 제작기법상 고려도기의 특징인 동체 외면에 격자타날문이 남아 있다는 점을 통해서 그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고려에서 제작한 도기통형호는 당시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원대 도기를 수용하고 이것을 모방한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고려에서 제작한 관사명 도기통형호는 이질적인 문화요소가 교류를 통해 고려에 유입되었고 그것을 수용한 후 모방하여 제작까지 했던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구체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Among pottery found in the ruins applicable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here is a piece of pottery that a spindly body is connected to the flat bottom, a tier was created in the middle of 구연, and 2 to 4 rings are on the shoulder part. This form of pottery has been called ‘Mongolian Bottle’ as it was understood that pottery manufactured and used in Yuan (Not the Goryeo Dynasty) was introduced to the Goryeo Dynasty through exchange. Cylindrical shape jar, this potter which was manufactured in Yuan, is one of pottery shared by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s it was sometimes found in the Goryeo Dynasty and Japan at the time.There are many cases that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were found in sunken vessel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Yuan Dynasty or ruins related to Yuan from all areas of East Asia. And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se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are a tool used for life on board in merchant vessels in the Yuan Dynasty because a lot of quantity were not excavated as other trade goods were founded. They were presumed to be used for putting liquid food including water, alcohol, and soy sauce necessary for traveling long distances in the ocean in them.Like this purpose, in the Goryeo Dynasty, they are usually found in the whole area of Jeju Island and the South West Cost, the point of the sea route connected to Yuan. Like this,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of the Yuan Dynasty are excavated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the Goryeo Dynas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Yuan in politics and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 was done based on this. The culture of Yuan was spread to the Goryeo Dynasty in various ways and through various routes. These phenomena have found to be shown in pottery through the case of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introduced to the Goryeo Dynasty through its exchange with Yuan were autonomously manufactured in it as the similar form was maintained since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This can be estimated in that among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ames of the tool just found in the Goryeo Dynasty like ‘Deokcheongo’ and ‘Bowongo’ were carved on them and grid beating patterns remained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its potter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manufactured in the Goryeo Dynasty are very meaningful as the example that it accepted pottery of the Yuan Dynasty commonly used in East Asia at the time and imitated them. That is,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official inscription manufactured in the Goryeo Dynasty can be a specific example which shows the process to accept different cultural elements of Yuan and imitate and manufacture them after they were introduced to it through exchange.

      • KCI등재후보

        경기지역 출토 고려시대 저장·운반용 질그릇 연구

        한혜선(Han, Hye-Sun)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40 No.-

        Celadon(靑瓷) and clayware had been widely used for the appliance of real life in Koryo kingdom period, but these haven't been receiving careful study up to now. Bottles(甁) similar to Celadon's shape was studied a little, especially, the researches of Big jar(甕), Jars(壺), Bowls(동이) for which used for keeping carrying haven't been made at all. Therefore, we'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process of changes and usage for keeping∙carrying clayware excavated from Kyonggi province and try to find out fully Koryo's clayware by it. In view of researched data so far achieved, the basic shapes of Big jar and Bowls wasn't much changed over Koryo kingdom period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mouth cut end based on current of times was changed a little. But, jars show a different shapes and can be classified by shapes as jars with broad shoulder(廣肩壺), jars with short neck(短頸壺), jars with wide mouth(廣口壺), jars with flattened side(扁壺), jars with long length(長身壺), etc. Besides, jar with flattened side was subdivided as jar with four flattened side and one with two flattened side. While jars which had the shape of a broad shoulder, short neck or wide mouth was used all through Koryo kingdom period, jas with two flattened side and one with long length was just in use from the last period of Koryo Kingdom. On inquiry with the uses of Koryo clayware by "Sunhwabongsakoryodokyung(宣和奉使高麗圖經)" and sundry of records, it is supposed that bottles and jars was mainly used for storing of water, grain, fruits and a smaller jars such as jars with short neck, long length or flattened side wa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our traditional fermented food like "Kimchi", soy and bean paste, pickled things. Also, a fragments of bottles excavated from Bongeopsa temple site of Ansung show obviously the evidence that bottles was used for keeping grain at firsthand. 고려시대에는 청자(靑瓷)와 더불어 질그릇이 실생활에서 널리 쓰였지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청자와 모양이 유사한 병(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저장(貯藏)∙운반용(運搬用)으로 사용되었던 옹(甕)∙호(壺)∙동이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경기지역으로 여러 유적에서 출퇴 된 저장∙운반용 질그릇들의 특징과 변천과정, 그리고 쓰임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옹과 동이는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아 고려 전시기에 걸쳐 기본형태는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입술단면의 형태와 같은 세부적인 면만이 약간의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호는 형태에 따라 세부기종(細部器種)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크게 광견호(廣肩壺)∙단경호(短頸壺)∙편호(扁壺)∙장신호(長身壺)∙광구호(廣口壺)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편호는 4면편호와 2면편호로 세분된다. 광견호∙단경호∙광구호는 고려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사용되었지만 2면편호와 장신호는 고려 후기 이후에 유행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고려시대 질그릇의 쓰임새는 『宣和奉使高麗圖經』의 기록과 여러 다른 문헌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옹과 호는 물이나 곡식을 저장하거나 과일을 저장하는 등 저장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호 중에서도 작은 기종인 단경호∙장신호∙편호 등은 우리 고유의 음식인 장류나 김치류, 젓갈류 등 발효음식을 저장하는 용도로 쓰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안성 봉업사지(奉業寺址)에서 출토된 옹의 파편에서 곡식을 저장하였음을 보여주는 명문(銘文)이 확인되어 직접적으로 질그릇의 쓰임새를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