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에 있어 한국 구석기시대의 인식

        한창균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9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term, the Paleolithic Age,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in the 1920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rm was remaining in the basic level in Korea; but mass media published in the 1920s, which included newspapers and magazines, gradually introduced the concept that this term implied to the public. Although there was no journal systematically dealt with paleoanthropology and paleolithic archaeology that had been developed in the West, articles that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Quaternary and the Paleolithic Age, the ag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stage of the Paleolithic Age, the technique of chopped stone tools manufacture, the Paleolithic funerals and arts, the glacial epoch, and the climatic and natural environment changes were sporadically contained in mass media. Although these were articles for illuminating the public rather than academic articles, these papers had an important role to extend the scope of recognition on the Paleolithic Age. In the 1930s, a few Korean scholars disputed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ancient Korea for corrobor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atterns of primitive societies in Korea. However, their works were not producing the significant results,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archaeological evidence for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Korea. On the other hand, a few scholars attempted to prove the Paleolithic culture in Korea based on artefacts uncovered at the Donggwanjin site excavated in the mid-1930s. However, remains at the Donggwanjin site were evaluated not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e early 1940s. This view had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since 1945 when Korea was libereated from Japan. This colonial legacy was overcome from the 1960s when the Jangdeok-ri, Gulpo-ri, and Seokjang-ri sites were excavated. 일제강점기에 있어 구석기시대라는 용어가 한국에 수용 및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 비록 초보적인 수준이었지만, 이 용어가 내포하고 있는 개념은 1920년대에 발행된 대중 언론 매체(신문, 잡지 등)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소개되었다. 고인류학 또는 구석기고고학에 대한 서구의 근대적인 학술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국내 간행물은 당시에 전무한 형편이었으나, 제4기와 구석기시대의 관계,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과 발전 단계, 뗀석기의 제작 기법, 구석기시대의 매장 행위와 미술, 빙하기와 자연환경의 변화 등을 언급한 글들이 언론 매체에 의하여 단편적으로 알려졌다. 학술적이라기보다 지식의 대중화라는 계몽적 성향이 짙었지만, 이를 통하여 구석기시대에 관한 인식의 범위가 조금씩 확대되어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에는 한국 구석기시대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한국 학자들 사이에서 야기되었다. 그것은 한국 원시사회의 성격과 변화 과정을 규명하려는 작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구석기시대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확증할 수 있는 고고학 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그 논쟁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1930년대 중반 동관진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에 근거하여, 한국에 구석기시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1940년대 초, 동관진 출토 유물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내려진 이후, 동관진 유적에 대한 그와 같은 비판적인 관점은 해방 이후에도 한 동안 한국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6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장덕리, 굴포리, 석장리 유적 등의 발굴 성과는 그러한 식민지적 잔재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보령 관산리 구석기유적 출토 석기 분석

        한창균,서인선,김경진,김기태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0

        Several stone tools dated to the Middle Paleolithic, which include a biface, a polyhedron anda notch, were founded in the Gwansan-ri site in Boryeong. Of them, the rhyolite biface isthe most remarkable artifact. Considering geological and archeological contexts in this site, itis high possibility that the raw material was acquired in the primary source or the secondarysource.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napper intentionally chose a blank with flat ventralface and slightly convex dorsal face for making this biface. This fact shows that the knapperaimed to make effective stone tools with the minimum of effort. Experimentation that weconducted proved that the biface was shaped by soft-hammer percussion. It can be detectedthat the biface founded in the Gwansan-ri site was made by unique production techniquesthat has rarely been observed in bifaces uncovered in Korea. Differently from bifaces of othersites that both edges are symmetrical form on a longitudinal axis of tools, this collected inthe site is designed that ventral and dorsal faces arrange an convex symmetrical form onthe ridge. Several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stages in the process of shaping thisbiface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al attributes of it. The interpretation of active edgeand prehensile part analogized by techno-morphological approach corresponds to use-wearanalysis. Use-wear analysis results of the biface found in this site provide data to understandpossibility that it was used for butchering animals. In addition, traces that are inferred toscrape or trim wood branches or antlers are remained in the notch. 보령 관산리유적에서는 중기 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양면석기, 여러면석기, 홈날 등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유문암을 이용하여 제작된 양면석기의 존재이다. 관산리유적의 지질학적, 고고학적 배경을 통하여 살펴볼 때, 이와 같은 돌감 종류는 1차 산지 또는 2차 산지에서 획득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양면석기는 배면(아랫면)이 편평하고, 등면(윗면)이 약간 볼록한 형태의 몸체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만들어졌다. 몸체의 선택에는 최소의 노력을 가하여 효율성이 뛰어난 석기를 만들려는 의도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실험고고학 방법에 의하여, 양면석기는 무른 망치 떼기에 의하여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산리 양면석기에서는 종래 한국의 양면석기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독특한제작방법이 관찰되었다. 다시 말해서, 석기의 길이축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 날이 대칭 관계를 이루도록만든 것이 아니라, 날을 중심으로 배면과 등면이 서로 볼록한 대칭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양면석기의 제작단계에서 고려된 여러 가지 특징은 이 석기의 기능적 속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술-행태적 접근 방법으로 유추된 사용날과 잡이 부분에 대한 해석이 쓴자국 분석 결과와 일치되어 관심을끈다. 양면석기의 쓰인 자국 분석 결과는 이 석기가 짐승의 해체 과정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이해하는데도움을 준다. 한편 홈날의 경우, 뿔 또는 나뭇가지를 긁거나 다듬는 데 쓰였을 것으로 판단되는 흔적이 남아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한창균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79 No.-

        2009년 북한의 사회과학원 소속 고고학연구소에서 발행한‘조선고고학총서’(전 60권)의 제1권은『총론』이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이『총론』에는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북한 지역에서 이룩된 고고학적 사업의 성격과 그에 따른 성과가 종합적으로 집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어 주목된다. 『총론』에서 채택하고 있는 시기 구분 체계에 따르면, 현재의 북한 고고학은 해방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는 동안 7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온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총론』에서 언급된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은 정치적 사건이나 변동, 예를 들어 정전협정, 조선노동당 대회, 김일성 사망, 김정일 정치 체제의 출범 등과 같은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매우 긴밀하게 연동되어 체계화되었고, 이러한 요소들은 북한 고고학의 성립 과정을 고찰하는데 있어 특징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1970년대부터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고고학 연구 사업의 주요 방향과 과업을 설정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북한 고고학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논리는 하나같이 주체사상과의 일관된 접목을 통하여 전개되어 왔다. 현대 북한 고고학의 성립 과정에서 관찰되는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과거의 물질문화를 연구하는데 활용되었던 방법론적인 근거가 시기에 따라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파악한다면, 그러한 변화는 맑스–레닌주의적 방법론에서 주체적 방법론으로의 전환 및 심화라는 과정을 거치며 초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변화를좀더세분하면,“ ①맑스–레닌주의적방법론적용의모색단계, ②맑스–레닌주의적방법론에서 주체적 방법론으로의 전환 단계, ③ 주체적 방법론에 의한 북한 고고학 체계의 확립 단계, ④ 단군릉 발굴과 개건으로 상징되는 변혁 단계”로 구분된다. 그리고 북한 고고학사의 편년적인 틀에서 그와 같은 각 단계의 성격을 이해할 때, “첫째 단계는 초기의 북한 고고학(1945~1953), 둘째 단계는 형성기의 북한 고고학(1954~1970), 셋째 단계는 확립기의 북한 고고학(1971~1992), 넷째 단계는 변혁기의 북한 고고학(1993~현재)”에 각각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2009,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affiliated with the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published the‘ Joseon Archaeology Series’(Joseon Gogohak Chongseo), consisting of 60 volumes. The first volume of this series, entitled Introduction,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that have taken place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liberation to the mid 2000s, as well as the results that have emerged from these findings. Also included in this first volume is information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North Korean archaeologists have established phases for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in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adopted in the Introduction volume, the discipline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can be seen to have experienced a seven-phase process of development since liberation. The phase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volume for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are closely associated with socio-political events or changes, such as the Armistice Agreement, the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the death of Kim Il-sung, and the launching of Kim Jong-il’s political regime; these provide key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process by which North Korean archaeology came to develop. In particular, since the 1970s, there has been a marked tenancy to adjust the direction and aims of North Korean archaeology so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As a result of this, the fundamental logic permeating all archaeological research in North Korea has been the consistent application of the Juche idea to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n important feature that may be observed regard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archaeology is the fact that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adopted for the study of past material culture have changed over time. This change may broadly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 from a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to a Juche based approach and an intensification of the latter. Examined more closely, this change can be seen to have been comprised of the following four phases: ① an exploratory phase in which the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was adopted, ② the phase in which the transition from a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to a Juche based approach took place, ③ the phase in which the North Korean archaeological framework, with its basis in the Juche based approach, came to be firmly established, and ④ the phase of transformative change, symbolized by the excav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Dangun tomb.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archaeology, these phases can be seen to represent, respectively, the following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the early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45~1953), the formative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54~1970), the establishment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71~1992), and the transformative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93~the present).

      • KCI등재후보

        호서지역 구석기유적 반세기

        한창균 한국구석기학회 200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18

        The numbers of Paleolithic sites in Hoseo area which have been excavated for the past half a century are roughly seventy. Although the sites excavated cover all the Paleolithic periods, from the Lower to the Upper, most of them belong to the Upper Paleolithic. A lot of animal fossils are found and occasionally human remains are also discovered in the deposits of the caves sites which are distributed in some limestone regions. Due to the acidic soils of the area, lithic materials are relatively richly contained, while organic materials are scantly preserved in the paleosol of the open-air sites.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from the excavation of the Hoseo area are not only significant in Korean prehistoric study,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aleolithic culture among North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