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M(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의 속성 및 정보표현

        한지애(Ji-Ae Han),류시천(Si-Cheon You)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디자인 유형 중에서 상대적으로 “노출 시간이 짧지만 정보 전달력이 강한 정보 즉, STM 정보(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 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STM 정보의 디자인 속성을 고찰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디자인적 표현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STM 정보는 기능변수의 조작, 방법, 사건, 사용 예라는 네 가지 시각화 속성을 기준으로 시각적 재현 측면에서 ‘이해도(Understandable)’, ‘접근성(Accessibility)’ 속성이 충족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조작 측면에서는 ‘무오류(Errorless)’, ‘적정성(Timeliness)’ 속성이 충족되어야 한다. 각 측면에서의 거시적 표현 방법으로써, 시각적 재현 측면에서 “속성이론”, “인식모형”, “정보 주도성(Proactivity)의 최대화”, “잉여 정보의 최소화”, “이중부호의 사용”을 제안했으며, 사용자 조작측면에서 “맥락효과”, 일차적 독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억부호화”, “정보 주사(Scanning)”의 두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 사용자 설문?인터뷰를 통해서 앞서 제안한 8가지 표현 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확증 및 STM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지패턴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향후에는 노출시간별 효과적인 정보 표현 및 그에 따른 응용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to enhance user cognition for STM information(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 that is relatively accessible to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information design types. What stands out from this study is the design attributes and expression method of information in a broad perspective. By 4 visualization attributes of function variable; 'Operations', 'Events', 'Methods' and 'Use cases', STM information should be satisfied by the attribute of 'Understandable' and 'Accessibi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by the attribute of 'Errorless' and 'Timeli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r operation. As the expression method of each perspectives, I suggested Attribution theory, Cognitive model, Maximization of Proactivity, Minimization of surplus information and Using dual-code in the point of view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Context effect, Using memory code and Two methods of information scanning in the point of view of user operation. I assured that above-mentioned methods are efficient and cognitive pattern of user for STM information is found out by survey and interview.

      • KCI등재

        국외 사례분석을 통한 KASS NOTAM 서비스 제공 및 시스템 구성 방안

        한지애 ( Ji-ae Han ),이은성 ( Eunsung Lee ),김연실 ( Youn-sil Kim ),강희원 ( Hee Won Kang ) 한국항행학회 2018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2 No.2

        NOTAM은 항공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항공종사자들에게 배포하는 공고문을 말한다. 국제민간항공기구인 ICAO는 SBAS 신호에 근거한 접근 절차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BAS 서비스에 대한 NOTAM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이에, ICAO 권고 사항을 준수하여 KASS가 APV-I 급 So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SBAS 신호를 이용하여 착륙하는 모든 항공기에 NOTAM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때문에 이를 위한 KASS NOTAM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NOTAM 관련한 규정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일반적인 NOTAM 서비스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KASS NOTAM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외 기 구축된 미국 WAAS와 유럽 EGNOS의 NOTAM 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향후 개발될 KASS NOTAM 시스템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 구성 방안에 따른 주요 기능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NOTAM is an announcement that is distributed to flight attendants with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viation. ICAO, the International Civilian Aviation Organization, recommends that a NOTAM service be provided for the SBAS service in order to use the SBAS signal-based access procedure. To comply with ICAO recommendation, KASS must provide NOTAM service to all aircraft landing using SBAS signal in order to provide APV-I SoL serv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KASS NOTAM system to provide KASS NOTAM servic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NOTAM in Korea and abroad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NOTAM service in Korea. Based on this, we propose a method of providing KASS NOTAM service. We analyzed the NOTAM system of WAAS in the US and EGNOS in Europe and analyzed the main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KASS NOTAM system.

      • KCI등재

        일본 전통도시주거 교토 마치야(京町家) 공간에 내재된 유연성(柔軟性)에 관한 연구

        한지애(Han Ji-Ae)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9

        Kyoto Machiya(町家) is the Japanese traditional urban housing type mainly introducing as Japanese townhouses or Japanese courtyard garden houses. Japanese Machiya is often referred as an equivalent traditional housing type, eventhough it has clearly different space layout with those of Chinese Siheyuan(四合院) and Korean Hanok(韓屋) in terms of the shape of lots, or the relationship of rooms. That is because Machiya has Japanese representative space composition which creates its own pattern for flexibility, spatial ambiguity, and asymmetric harmony. This paper aims to extract the spatial patterns by clarifying its way how to set up the space layout with different walls, various levels’ floor or in-between void space in Machiya. Research process includes two methods such as the analysis of relevant references to retrace the historical transition, and fieldwork to arrange the spatial clues. Machiya’s unit space as shop area, house area, gardens, storage, restrooms, and circulation service area indicates what is the typical space composition of Machiya. According to the number of gardens, each type shares the unique space setting. And the service area such as Toriniwa(通り庭) has the key function which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inside space and outside space, providing the clue to trace the way how to people perceive the sense of boundary in Machiya.

      • KCI등재

        과학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메타포와 파타포 - 디지털 과학 교육콘텐츠 “에너지 빌리지”를 중심으로

        한지애 ( Ji-ae 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과학 교육이나 과학 콘텐츠에서`이미지`는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정보를 개념화 하고 지식화 하는데 효율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다. 그러나 과학 교육 콘텐츠의 개발에 관한 연구에 비해`이미지`제작 방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대중적 이해`를 목표로 하는 과학 교육 콘텐츠에서 시각적 매개체로 메타포(Metaphor)와 파타포(Pataphor)를 제안하고, 그 기능과 활용 유형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은유적 표현 방식인 메타포와 가상과 현실을 중첩하여 표현하는 방식인 파타포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메타포와 파타포의 매개체적 특징이 개념 · 표현 · 지식체계의 관계 · 의미밀도 · 지각 범주화 차원에서 서로 상반된다. 둘째, 메타포와 파타포의 인지적 · 개념적 · 파생적 기능은 상이하지만 과학 교육 콘텐츠에서`친숙성 유발`,`지식 체계 확장`,`사용편의성`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과학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메타포와 파타포를 흥미 유발과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활용유형과 이해와 인식을 돕는 활용유형으로 나누어 디지털 원자력 교육콘텐츠“에너지 빌리지”통해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과학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활용유형별 사례 제시에 그쳤으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보의 속성과 콘텐츠 제공 매체에 따른 구체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 Background`Images` in science education or scientific contents serve as an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 tool to conceptualize and intellectualize information without a concrete explan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 lack of research into creating `images` compared to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contents. In this vein, this study has proposed Metaphor and Pataphor as visual media in science education contents in pursuit of goal to achieve `public understanding` and examine their functions and the ways of application. Methods The following describes research findings obta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literary researches into metaphor, a way of metaphorical expression and pataphor, a way of expressing virtuality and reality in an overlapping manner. Result First, the media-based characteristics of metaphor and pataphor run counter to each other in terms of concept, expression, relationship of knowledge system, meaning density and perception categorization. Second, metaphor and pataphor have differences in terms of cognitive, conceptual and derivative functions but have identicalness with science education contents in terms of `Triggering familiarity`, `expansion of knowledge system `, and `usability`. Lastly, I have classified the applications of metaphor and pataphor as a tool for science communication into one designed to induce interest and pleasure and the other intended to help promot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nd presented the application cases through the digital nuclear educational contents “Energy Village”. Conclusion This study has not gone further than presenting the potential applications as a science communication tool and actual relevant case studies and I intend to go on with further studies on concrete methods of application in line with the attributes of information and media types of cont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 KCI등재

        김수근 종교건축 3제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경계와 구분에 관한 연구

        한지애(Han, Ji-Ae),박연정(Park, Yeon-Jeong)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3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Kim Swoo Geun"s Christian architecture has influenced Korean modern churches in a way of organizing the sense of boundary by the cases of Masan Yangduk Church(1977), Kyungdong Chuch(1980), and Bullkwangdong Church(1981). The meaning of boundary covers not only the physical space layout but also the cognitive interacting threshold that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points of general religious architectures. The issue of light extends the quality of sensuous properties that each space adopts for the embodiment of holiness. In other words, the way how to impose light into the sanctuary is the methodology of organizing multiple boundary. The quality of sensuous space represents the inherent value of christianity in the situated architecture. The three main cathedrals not just function as linear development examples in terms of evolving design process, but operate as an individual platform to accomplish the experimental embodiment which upholds the religious sense of boundary.

      • KCI등재

        군집화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

        한지애(Han, Ji 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데이터의 즉각적 인지를 돕는 시각화 패턴으로서 ‘시각적 문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은 복합성이 높은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Visual Grammar)’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 공학,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정보디자인 분야에서의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문헌 연구와 웹 브라우저 기반의 D3.js(Data-Driven Documents)의 236개의 라이브러리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문법’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군집 유형을 정보 공학분야에서 데이터 시각화 과정에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토대로 크게 밀도 기반군집 유형과 계층 기반 군집유형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관계형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의 요소로서 네 가지 시각화 속성, ‘데이터 군집’, ‘연결’, ‘결합’, ‘부착’과 세 가지 데이터 변수와 일곱 가지 시각 변수(색상, 모양, 크기, 방향, 질감, 값, 위치)를 도출하였다. 셋째, 시각화 속성에 따라 시각적 문법과 시각화 원리로 게슈탈트 법칙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공학과 정보 디자인의 심도 있는 연계 연구의 필요성과 데이터 시각화의 표준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의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3.js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각화 원리를 제시하는 데 그쳤으나 향후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적 문법을 구체화하고, 다른 유형의 데이터의 시각적 문법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develop ‘visual grammar’ as a visualization pattern that allows users to perceive data immediatel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s "visual grammar" for visualization of highly complex relational data. In order to propose "visual grammar," literature study on data visualization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engineering,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and information design, and a case study of 236 libraries of D3.js (Data-Driven Documents) based on a web browser were conducted. In order to visualize relational data, a "visual grammar" system was proposed. The results and co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ing type of data visualization for "visual grammar" is largely proposed as the density-based clustering type and the hierarchy-based clustering type by the clustering algorithm in the data visualization proces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engineering. Second, as a component of "visual grammar" for relational data visualization, four visualization attributes, ‘Data cluster’, ‘Connection’, ‘Linkage’, ‘Attachment’, and three data variables (Quantitative Variable, Category Variable, Sequence Variable) and seven visual variables (color, shape, size, direction, texture, value, lo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visualization, the Gestalt law was applied as the visual grammar and visualization princi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n-depth linkage research between information engineering and information design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visual grammar" for standardization of data visualization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only the visualization principle was presented based on the case of D3.js (Data-Driven Documents). However, in the future, visual grammar of relational data will be specified through verification of visualization techniques and principles, and visual grammar of other types of data will be proposed.

      • KCI등재

        정서구현으로 본 루이스 바라간 건축

        한지애(Han, Ji-Ae),김수미(Kim, Soo-Mi),심우갑(Shim, Woo-Gab)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2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Barragan’s architecture has impressed contemporary society in an emotional aspect. ’Emotional Architecture’ is the keyword throughout all of his works, which also incorporates his spatial philosophy.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backgrounds from which his architecture was originated, namely mexican vernacular, this study tries to focus on the spatial order of his architecture based on how he tried to incorporate the space with his synesthetic architectural language. This emotional spatiality appears in various terms such as 1)particular juxtaposition of void and solid space, 2)layered experience passing through it, 3)invited nature to the wall space, and 4)synesthesia feature with material and deta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of embodying his unique instinct in specific architectural space. The principal goal underpinning this study is to study Barragan’s work from the angle of the design process, with a view to illustrating how this process embodies the underlying essence of the architectural experience ; in other words, how it forms a synthesis of space, light, colour and materials. The methodology to accomplish ‘Emotional Architecture’ can be interpreted as the synesthetic architecture which stimulates multiple senses and the sense of memory and mental value simultane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