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용접잔류응력 이완 및 노치변형률법을 적용한 십자형 필렛용접 이음부의 피로수명 평가

        한정우(Jeongwoo Han),한승호(Seungho Han),신병천(Byungchun Shin),김재훈(Jaehoon Kim)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The fatigue strength of welded joint is influenced by the welding residual stress which is relaxed depending<br/> on local stress distributed in vicinity of stress raisers, eg. under cut, overlap and blow hole. To evaluate its<br/> fatigue life the geometry of the stress raisers and the welding residual stres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br/> The several methods based on notch strain approach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consider the two factors<br/> above mentioned. These methods, however, have shown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analytical and<br/> experimental result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the relaxed welding residual stress evaluated by<br/> the cyclic stress-strain relationship do not correspond with that occurred in reality. In this paper the residual<br/> stress relaxation model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wa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discrepancy of the<br/> estimated amount of the relaxed welding residual stress. Under an assumption of the superimposition of the<br/> relaxed welding residual stress and the local stress, a modified notch strain approach was proposed and<br/> verified to the cruciform welded joint.

      • 고민 나눔을 위한 대화형 익명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한정우(Jeongwoo Han),곽명섭(Myeongsub Kwak),강찬혁(Chanhyuk Kang),한경식(Kyungsik Han)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민을 나누며 불안감과 스트레스 해소를 도와주는 플랫폼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고민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은 없다. 세상은 점점 각박해지고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고민들이 늘어나고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1] 이런 세상 속에서 부담과 거부감 없이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일상 속의 피난처와 같은 역할을 이번 서비스를 통해 해내고자 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비슷한 고민을 가진 많은 사람들을 대화를 통해 서로 연결해준다. 이 서비스는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스트레스와 고민이 많은 20 대를 타겟 사용자로 설정했다. 많은 20 대 사용자가 이 서비스를 통해 소통하며 심리적인 위로를 얻을 것이다. 또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조건을 설정해 만나고자 하는 사람을 필터링 할 수 있게 해 익명이라는 요소가 주는 불안감을 낮추고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플랫폼 속에서 서로의 고민을 나누며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발전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꿀벌과 꿀벌응애의 분광 특성 구명

        한정우 ( Jeongwoo Han ),김민지 ( Min-jee Kim ),이홍구 ( Hong-gu Lee ),김수배 ( Su-bae Kim ),이아영 ( Ah-yeong Lee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꿀벌응애(Varroa jacobsoni)는 주로 꿀벌의 체액을 영양분으로 기생하며 살아가는 진드기의 일종이다. 크기는 1.6 mm x 1.1 mm로서 육안으로 쉽게 구별되지 않으며, 양봉 농가의 고령화로 인해 꿀벌응애 판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영상 기술을 통한 꿀벌응애 판별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꿀벌응애를 RGB영상으로 분석할 경우 화질에 따라 정확도 차이가 발생하는 등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초분광 영상 기술은 분광 기술과 영상기술이 융합된 기술로서 측정 대상물들의 구성 성분까지 측정가능하다. 위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초분광 영상(Hypersectral Images)를 활용하여 꿀벌과 정상 꿀벌의 분광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595 ~ 860nm 파장영역의 초분광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초분광 카메라(MQ022HG-IM-SM4X4-RN2, Ximea, Germany)를 사용하여 400mm 거리에서 초분광 데이터를 획득했다. HSI Studio(Imec, Belgium) 초분광 영상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상 꿀벌과 꿀벌응애가 존재하는 꿀벌 각 1마리를 총 8 부위로 나누어 각 부위에 대한 Balanced value를 구하여 비교 분석했다. 주변 환경(소비)에도 고유 파장대가 존재하여 간섭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꿀벌응애를 검출할 수 있도록 꿀벌과 소비 주변 환경과의 Balanced value를 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꿀벌응애와 꿀벌의 초분광 스펙트럼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추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하여 꿀벌응애 판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꿀벌응애 초분광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고, 이를 기계학습을 활용한 꿀벌응애 판별 알고리즘 개발 연구를 진행 할 것이다.

      • 다균열 간섭, 합체, 성장이론을 고려한 십자형 필렛용접 이음부의 피로균열진전수명 평가

        한정우(Jeongwoo Han),한승호(Seungho Han),신병천(Byungchoen Shin),임전(Jeon Rim),김재훈(Jaehoon Kim)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4

        Fatigue life of welded joints are governed by the propagation of multiple collinear surface cracks distributed randomly along weld bead. These cracks propagate in mutual interaction and coalescence of them. To estimate the fatigue life, the influences of above two mechanisms on the fatigue lif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se two mechanisms appear through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disturbed mutu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of multiple surface cracks located in vicinity of weld toe.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re calculated normally by using the Mk -factors, but such Mk-factors are very rare in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Mk-factors were obtained from a parametric study on crack length and depth, in which a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A fatigue test for a cruciform welded joint was conducted. The fatigue life of the tested specimen was estimated through present method with the informations obtained from the test, e.g. the number, size and locations of the cracks. The estimated and measured fatigue life showed a good agreement.

      • KCI등재

        페널티 적용 최대 우도 평가를 통한 기저 스크리닝 기반 크리깅 모델 개선

        김민근,김재승,한정우,이근호,Min-Geun Kim,Jaeseung Kim,Jeongwoo Han,Geun-Ho Lee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6 No.6

        본 논문에서는 기저 스크리닝 기반 크리깅 모델(BSKM: Basis Screening based Kriging Model) 생성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페널티를 적용한 최대 우도 평가 방법(PMLE : Pen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에 대해서 소개한다. BSKM에서 사용하는 기저함수의 최대 차수와 종류는 그 중요도에 따라서 결정하게 되며, 이때 중요도의 지표는 기저함수에 대한 교차 검증 오차(CVE : Cross Validation Error)로 택한다. 크리깅 모델(KM : Kriging Model) 구성시 최적의 기저함수 조합은 우선 최대 기저함수 차수를 선택하고 개별 기저함수의 중요도를 평가를 하게 된다. 최적 기저함수 조합은 크리깅 모델의 CVE가 최소가 될 때까지 개별 기저함수의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기저함수를 하나씩 추가하며 찾는다. 이 과정에서 KM은 반복적으로 생성해야 하며, 동시에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하이퍼 매개변수(Hyper-parameters)도 최대 우도 평가방법을 통해 계산하여야 한다. 하이퍼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 선택되는 최적의 기저함수 조합이 달라지기 때문에 KM의 정확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확한 하이퍼 매개변수를 계산하기 위해서 PMLE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Branin-Hoo 함수 문제에 적용하여 BSKM 의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pen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PMLE) method that applies a penalt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 basis-screening-based Kriging model (BSKM) is introduced. The maximum order and set of basis functions used in the BSKM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is regard, the cross-validation error (CVE) for the basis functions is employed as an indicator of importance. When constructing the Kriging model (KM), the maximum order of basis functions is determined, the importance of each basis func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aximum order, and finally the optimal set of basis functions is determined. This optimal set is created by adding basis functions one by one in order of importance until the CVE of the KM is minimized. In this process, the KM must be generated repeatedly. Simultaneously, hyper-parameters representing correlations between datasets must be calculated through the maximum likelihood evaluation method. Given that the optimal set of basis functions depends on such hyper-parameter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uracy of the KM. The PMLE method is applied to accurately calculate hyper-paramet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a BSKM can be improved by applying it to Branin-Hoo problem.

      • 다양한 용접구조상세의 피로균열진전수명 평가

        한승호(Seungho Han),한정우(Jeongwoo Han),신병천(Byungchun Shin)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8

        To estimate fatigue crack propagation life for the representative welding details, i.e. non-load carrying cruciform, cover plate and longitudinal stiffener joint,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t the front of the surface cracks have to be calculated, which are influenced strongly by the geometry of attachments, weld toes and the crack shap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of the multiple surface cracks located in vicinity of the weld toe due to their geometrical complexity. For the effective calcul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the M<SUB>k</SUB>-factor was introduced which can be derived by a parametric study performed by FEM considering influence of the geometrical effects. The fatigue life of the welding details was estimated through considering the mechanisms of mutual interaction and coalescence of multiple collinear surface cracks distributed randomly along the weld toe. The estimated results for the fatigue life had a good agreement with that of experiment.

      • KCI등재

        수중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전력 통신을 위한 변조 기법의 적용성 연구

        장철희(Chulhee Jang),한정우(Jeongwoo Han),김기만(Kiman Kim),이성로(Seong Ro Lee)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4 No.7

        본 논문에서는 PSK(Phase-Shift-Keying) 변조와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방식의 혼합형이라 볼 수 있는 PSSK(Phase Silenc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수중 통신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수중 통신 시스템의 성능은 수중 채널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잔향 및 다중 경로(Multi-path)로 인한 지연 확산은 데이터 전송 시 인접 심벌간의 간섭(ISI : Inter Symbol Interference)을 발생시켜 통신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수중 센서 네트워크인 경우 그 운용 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전력 효율적인 측면도 시스템 구성의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PSSK 변조 방식은 2개의 직교 심벌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한 주기 내에 silence 구간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사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변조 심벌간의 거리를 늘려 BER(Bit Error Rate) 성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송신 전력을 낮추어 전력 효율적인 측면의 성능 향상도 기대 할 수 있다. 근거리 해상 실험 결과 QPSK 변조 방식인 경우 BER이 3.19×10<SUP>-1</SUP>이였으며, PSSK인 경우 BER이 2.89×10<SUP>-1</SUP> 이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esult of PSSK(Phase Silence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that is mixed PSK(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and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method. The performance of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s are influenced underwater channe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delay spread can make ISI(Inter Symbol Interference) because of reverberation and multi path. It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lso underwater sensor networks consider about power efficient due to the particularities of their operating environment. PSSK modulation method transmit two orthogonal symbol and using silence period in a period so it can reduce the power. Increasing the distance of between modulation symbol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BER(Bit Error Rate) as well as to improve power efficient. The result of sea trial, QPSK modulation BER is 3.19×10<SUP>-1</SUP> and PSSK modulation BER is 2.89×10<SUP>-1</SUP>.

      • KCI우수등재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지영(Yoo, Jiyoung),한정우(Han, Jeongwoo),김동욱(Kim, Dongwook),김태웅(Kim, Tae-Woong)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3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Although forest fires are more often triggered by artificial causes than by natural causes, the combustion conditions that spread forest fire damage over a large area are affected by natural phenomena. Therefore,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which can analyze the dependent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factors, this study evalu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relative influences between forest fire, weather, and drought, taking Gangwon Province as our sample reg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pact of drought on forest fires was 27 % and that of the weather was 38 %. In addition, forest fires in spring accounted for about 60 % of total forest fires. This indicatesthat along with meteorological factors, the autumn and winter droughts in the previous year affected forest fires. In assessing the risk of forest fires, if severe meteorological droughts occur in autumn and winter, the probability of forest fires may increase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유역내 구조적 홍수방어 대안 도출

        변성호(Byeon Sungho),강현직(Kang Hyunjin),한정우(Han Jeongwoo),김태웅(Kim Tae-Woong)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1B

        우리나라는 6월부터 9월까지의 우기에 강우가 집중 발생하는 기상특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95% 이상이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풍수해로 집계되고 있을 만큼 홍수피해에 취약하며, 오래전부터 홍수방어에 대한 구조적 대책이 시행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기법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유역내 홍수방어를 위한 기본적인 후보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후보대안은 유역이 가지고 있는 치수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상ㆍ하류의 유기적인 홍수방어기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다수의 조합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적용가능한 홍수방어 대안 조합 지침을 제시하였다. Intensive rainfalls in wet season (June-September) result in serious flood damage which is about 95% of natural hazard in Korea. Recently, in order to cope with repeated flood hazard, comprehensive flood control plans have been carried out in large basins in Korea. The plans suggest structural alternative plans for flood mitigation as well as non-structural plans. In this study, a practical method using a decision tree was developed to systematically allocate structural facilities for flood control, which maximizes the flood control capacity in a basin. This study also presents a practical guidance to organize structural defensive alternatives for a comprehensive flood control plan in a large ba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