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교사의 세미나 발표에 대한 인식 및 발표 능력 발달 사례

        한재영,윤지현,Han, Jae-Young,Yoon, Ji-Hyun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5

        사범대학에서는 예비 교사가 자신의 전공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발표하거나 가르치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예비 교사가 수업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발표 기회를 많이 가져야 하며, 일부 대학에서는 세미나 과목을 통해 그러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가 자신의 전공 내용에 대해 발표를 하는 세미나에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 세미나 발표 능력을 분석 평가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한 후, 사례 연구를 통해 세미나 발표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예비 교사들은 세미나를 통해 발표력을 향상시키며 전공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도 있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세미나 발표 내용 이해나 토론, 영어 해석 등에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세미나 수행 단계에 따라 평가 내용, 평가 항목, 평가 방법 등을 포함하는 발표 능력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을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세미나 발표 능력 발달 정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평가해 보았다. 세미나 강의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제언, 세미나 발표 능력 분석틀의 활용 방안 등의 교육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support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knowledge of their major and develop the ability of presenting or teaching the knowledge. The pre-service teachers may have many opportunities of presentations to develop the ability of teaching. Some college of education provide such opportunities in the 'seminar' cour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eminar where they present contents of their major, developed the framework to analyze and evaluated the seminar presentation ability, and explored the change of presentation ability through a case stud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from the seminar they could develop the presentation skill and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tents more deeply.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others' presentations, discussing on the contents and interpreting the English paper. We developed the presentation analysis framework including the evaluation elements,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e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 seminar presentation. Using this framework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development of seminar presentation ability of a per-service teacher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study such as the sugges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a seminar and the usage of the presentation analysis framework.

      • KCI등재

        화학교육 홈페이지의 화학 Q&A 게시판에 등록된 학생과 교사 질문 분석

        한재영,지윤정,이재연,Han, Jae-Young,Ji, Youn-Jung,Lee, Jae-Youn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1

        화학을 배우고 가르칠 때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교육 홈페이지 인터넷 화학 Q&A 게시판에 학생과 교사가 올린 질문을 분석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질문은 내용과 동기 측면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화학I에서 학생들은 '물' 영역에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고 교사는 '생활 속의 화합물' 영역에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다. 화학II에서 학생들은 '기체, 액체, 고체'에, 교사는 '화학 반응과 에너지'가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다. 화학 관련 질문을 하는 동기로 학생들은 불분명한 화학 개념과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기를 원하였고, 교사는 정보 탐색이나 실험에 관련된 질문을 많이 하였다. 화학 Q&A 게시판은 화학을 배우고 가르칠 때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장이 되고 있었다. 화학 교육에 Q&A 게시판을 활용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posted on the chemistry Q&A board by students and teachers in a chemistry education homep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eaching chemistry. The different tendencies were found in the contents and the motivations of questions by students and teachers. In Chemistry I, students raised many questions in the 'Water' unit, while teachers raised many ones in the 'Chemical compound in our life' unit. In Chemistry II, students asked many questions in the 'Gas, liquid, solid' unit, while teachers did in 'Chemical reaction and energy' unit. Students' motivations of questioning were 'Explanation of unclear concept', and 'Problem solving', while teachers' motivations were 'Searching information', and 'Question in experiment'. The Q&A board provided a field in exchanging informations needed in learning and teaching chemistr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on the use of Q&A board in chemistry education.

      • KCI등재

        다원환의 보편적 미분가군

        한재영,연용호,Han, Jae-Yeong,Yeon, Yong-Ho 한국수학교육학회 1997 수학교육논문집 Vol.6 No.-

        가환다원환의 대수적 미분에 관한 성질들은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은 가환 다원환에서 정의된 대수적 미분의 일반화로써 가환일 필요가 없는 일반다원환의 대수적 미분의 성질을 연구한 것이다. 비가환다원환의 미분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가환다원환에서 연구되어 온 보편적 미분가군의 성질을 일반다원환 의 미분가군에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한 정리의 증명과정이나 기본개념은 가환다원환의 미분개념에서 나타난 성질들을 바탕으로 하였다.

      • KCI등재

        국내외 학술지를 토대로 분석한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비교

        한재영,이상철,Han, Jae-Young,Lee, Sang-Chul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2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화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대한화학회지와 한국과학교육학회지를 선택하였고, 국외 학술지로는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을 선택하였다. 세 학술지에 2000년에서 2009년까지 10년간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주제로 '교수법 및 교육공학', '학습자 특성', '화학 개념 및 실험' 순서로 많이 연구되었고, 한국의 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도 종종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화학교육 목표는 '개념 이해 및 개념 변화'가 가장 많았고, 국외의 경우 '성취도 또는 성적'이, 국내의 경우 '실험·탐구 능력'과 '태도, 흥미, 동기'가 두 번째로 많았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아, 국내 연구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국내의 경우 '자료 분석 및 내용 분석'과 '실험 연구', 국외의 경우 '실험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미래의 화학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ree (2 domestic and 1 foreign) journ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We selected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KASE) as the domestic journals, and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JCE) as a foreign journal. Th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he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theme focused on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technology',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cept and experiment'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research on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performed often in JKCS reflecting Korean social environment. The most researched chemistry education goal wa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change' followed by 'achievement/grade' in JCE and 'experiment/inquiry skill' in JKCS, and 'attitude/interest/motivation' in JKASE.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cused to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JKCS, in contrast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JCE. More concern to the higher education is required in the domestic research.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survey/ examination'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in JCE and JKASE and 'data/material analysis' in JKC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n future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화학 포스터에 나타난 화학의 코드

        한재영,이기종,Han, Jae-Young,Lee, Gi-Jong 대한화학회 2008 대한화학회지 Vol.52 No.3

        포스터는 시각적 이미지와 약간의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도구이다. 모든 학문 분야에는 독특한 의미로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는 기호가 있다. 따라서 화학자나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은 특징적인 화학적 기호(코드)를 통해 의사소통할 것이다. 대한화학회에서는 2004년부터 전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화학 포스터 그리기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4년과 2005년에 3000여 점의 포스터가 출품되었고 150여 포스터가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수상작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급별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포스터에 사용된 화학적 코드를 조사하였다. 포스터의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분석한 결과, 액체, 실험기구, 눈금, 화학의 언어, 과학자, 지구와 환경, 주변의 사물 등 7가지 화학의 코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화학의 코드에 대해 학교급별 차이, 수상작과 비수상작의 차이, 연도별 차이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The posters are the tools to communicate authors' idea with others by visual image and a little word. Every discipline has its own sign with specific meaning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discipline. Chemists and students learning chemistry, therefore, wil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pecific chemical signs (codes). The Korean Chemical Society has held the feast of drawing chemistry posters by students nationwide since 2004. In 2004 and 2005, more than three thousands of posters were submitted, and about one hundred and fifty posters were selected as the prize winners. The award was divided by the grade leve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explores the codes of chemistry used in students' posters. With the analysis of the visual elements and the verbal elements of posters, 7 chemical codes were found such as the liquid, the experiment apparatus, the graduations, the chemical language, scientists, the earth and environment, and things around u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on the grade levels, on awarded or non-awarded poster, and on the year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GPGPU 기반의 깊이 영상 화질 개선 기법

        한재영,고진웅,유지상,Han, Jae-Young,Ko, Jin-Woong,Yoo, Jisa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논문에서는 3D 콘텐츠 생성 시 필요한 깊이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하여 잡음 제거 기법과 홀 채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컬러 영상과 깊이 영상을 모두 이용하게 된다. 먼저 입력된 컬러 영상을 RGB 색상계에서 HSI 색상계로 변환하여 밝기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깊이 영상에서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간의 거리 값, 깊이 값의 차이를 구하고 컬러 영상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하여 제안하는 잡음 제거 기법에 이용한다. 이후 홀을 탐색하여 홀과 주변 화소간의 거리, 컬러 영상의 밝기 값 차이를 제안하는 홀 채움 기법을 적용하여 깊이 영상 내에 존재하는 홀을 채우게 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환경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기법을 GPU로 병렬화하여 속도 향상을 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이 기존 기법에서 발생하는 경계 부분의 흐려짐 현상을 줄이면서 홀을 채우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ise reduction and hole removal algorith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epth images when they are used for creating 3D contents.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depth image and the corresponding color image are both used. First, an intensity image is generated by converting the RGB color space into the HSI color space. By estimating the difference of distance and depth between reference and neighbor pixels from the depth image and difference of intensity values from the color image, they are used to remove noise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n, the proposed hole filling method fills the detected holes with the difference of euclidean distance and intensity values between reference and neighbor pixels from the color image. Finally, we apply a parallel structure of GPGPU to the proposed algorithm to speed-up its processing time for real-time applic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other conventional algorithms. Especi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dge blurring effect and removing noise and holes.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재영(Han JaeYoung),이지영(Lee Chiyoung),이혜인(Yi Hyein),노태희(Noh Ta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행 의지, 교사의 배경 변인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44명의 초ㆍ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절반 이상이 한 학급당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교사들은 주로 성적과 성별이 다른 4명을 한 조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조별 및 개별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보상하거나 협동학습에 임하는 태도를 고려한 평가를 많이 하였다. 이 교사들은 협동학습에 적합한 주제로 STS 주제들을 선호하였다. 협동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무임승차 효과, 협동학습 모형, 실시 가능한 학급 규모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었다. 이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협동학습 실행을 장려하는 외부요인들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동학습을 실행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교직 경력이 긴 교사들은 그러한 외부의 지원을 얻기 쉽다고 인식하였다.   We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instru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44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science instructions. More than half of them implemented cooperative learning once or twice a month. The teachers mainly organized 4 students into one group, who were heterogeneou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gender. In many cases, the teachers rewarded students on the basis of both group and individual scores, and evaluated them on the basis of their attitud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preferred STS issues to the others as the topics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test scores for the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generally high, but low for the issues of ‘free rid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class size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in general, percei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was useful but there were not enough outside aids to implement it. However, the teachers with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nd with long career years perceived that they can easily obtain outside aid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교사의 문법과 학습자의 문법

        한재영 ( Jae Young Ha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8 No.-

        This paper ai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several basic questions in relation to the solution of the gap between the teacher`s grammar and the learner`s grammar. I will start with verifying the Korean grammar which teachers have in their mind and concretize the shape of the grammar required to the learners. The teaching of the grammar has been implemented without having an interest in the teacher`s grammar since teachers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or who have learned the school grammar would have the grammar in which there are the contents of the grammar teaching. There should be two considerations for verifying the teacher`s grammar. One is verifying whether the teacher`s grammar is the one teachers know or the one teachers think that they know and verifying the grammar teaching based on the grammar which teachers think that they know. This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general school grammar and the grammar which should be taught to the learners of Korean. The other is verifying the learner`s grammar. We can use two different levels for verifying this. The first one is the comparison of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Korean grammar and of the grammar of the language that the learners know. The second one is the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e grammatical categories when they have the identical categories. For solving the questions presented above, this paper deals with honorific expressions and the tense. In relation to the grammar which teachers want to teach, I point out that there is a limit of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they should get out of it by giving the examples of honorific expressions. For learners, they should know that they have to have the attitude of learning an entirely novel grammar since there are very rare opportunities of accordance of grammatical categories between their L1 grammar and the Korean grammar. This means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erences of delicate contents of some identical categories between their L1 grammar and that of Korean. Some examples of the tense are used for identifying thi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