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 2010년대를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연구는 2010년대 한국 재난영화의 등장 및 흥행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간주하고 사회와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분석한 글이다. 최근에 일었던 한국 재난영화의 강세는 ‘글로벌 위험사회’가 핵심 키워드가 된 보편의 역사와 재난영화를 더 이상 오락적 대상으로 소비할 수 없는 한국의 특수한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겨난 문화현상이다. 또한 동시에 이들 영화는 스펙터클 이미지를 전면에 배치하고 할리우드 전통의 재난 관습을 따르면서도, 한국 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압축적으로 표상해 지정학적 특수성을 깊이 새기고 있는 징후적 텍스트다. 따라서 재난 서사의 흥행이라는 문화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재난영화를 동시대 한국 사회라는 역사적 지평 속에 위치시키고 그 재현체계를 맥락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2010년대에 개봉한 일곱 편의 한국 재난영화-<연가시>(2012), <타워>(2012), <더 테러 라이브>(2013), <감기>(2013), <부산행>(2016), <터널>(2016), <판도라>(2016) 등-를 알레고리적으로 독해하고 이들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을 탐구한다. 한국 재난영화는 여러 종류의 유토피아적 충동을 드러냄으로써 다양한 논의를 이끌 수 있는 정치적 무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이런 소원 충족적 판타지는 텍스트의 억압에 의해 표면에 드러나지 못한 채 단지 무의식의 형태로서만 존재할 뿐이며 이를 비판의식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개입해 적극적으로 해석할 관객의 존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한국 재난영화가 시대적·사회적 상흔을 새기고 있는 문화 텍스트로 간주되어 다층적인 해석이 활발히 이루어질 때 새로운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earance and success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analyzed them in close relation to society. The popularity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is a cultural phenomenon aris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global context in which the ‘Global Risk Society’ has become a keyword in terms of Liquid Modernity and late capitalism, and of the specific local condition that can no longer consume disaster movies as entertainment. Also these films are a symptomatic text that place the spectacle images at the front and follows the style of Hollywood’s Disaster films, and are engraved with the geopolitical specificity by presenting a reality of Korean society compressively at the same time.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disaster themes’ hit, we need to take places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historical horizon of recent Korean society and reconstructs the representation systems contextually.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study analyzes seven disaster films released in the 2010sᐨDeranged(2012), Tower(2012), The Terror Live(2013), The Flu(2013), Train to Busan(2016), Tunnel(2016), Pandora(2016)ᐨallegorically and then explore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se films. Korean Disaster Films have ‘the Political Unconscious’ that can lead to various discussions by revealing different kinds of utopian impulses. However, such wishᐨfulfilling fantasies exist only as a form of unconscious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urface by the suppression of the text. Therefore to transform it into criticism by drawing it out to the surface,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to intervene in the text and interpret it actively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ultimately suggest that new discussion can be initiated only when Korean disaster films are regarded as a cultural text that engraved with historical and social scars and a multiᐨlayered interpretation is active.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와 ‘정치적 올바름’에 관한 논쟁 : <캡틴 마블>과 <어벤져스: 엔드게임>, <인어공주>를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이효민(Hyomi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2

        이 연구는 지난 2019년 화두가 되었던 디즈니 영화를 둘러싼 ‘정치적 올바름’ 논쟁을 살펴보고, 동시대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캡틴 마블>(2019), <어벤져스: 엔드 게임>(2019), <인어공주>(개봉 예정)에 대한 전문가 비평과 대중 반응을 함께 분석한 결과, 각각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찬성과 거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가 담론 속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문화예술 생산자들이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로 논의되었던 반면, 대중 담론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치부된다. 이때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는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 팬들에 대한 기만, 역차별 담론 등이 동원되었으며 그 논리적 귀결은 원작 근본주의와 예술 지상주의이다. 원작 근본주의 및 예술 지상주의는 문화 영역에서 촉발된 ‘정치적 올바름’ 논쟁이 반지성주의와 조우하게 되는 지점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정치적 올바름을 지지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정치적 올바름과 예술적 가치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양자 사이에 위계를 상정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치적 올바름이냐, 아니냐’ 또는 ‘도덕이냐, 예술이냐’와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일조하는 전문가 담론 역시 한계가 명백하다.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반격과 좌파들의 비판적 지지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른 방식의 사유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정치적 올바름이란 무엇인지, 대중 예술에서 정치적 올바름의 활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첨예하게 고민하고 성찰할 때라야 비로소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over Disney films that became a hot topic in 2019, and critically discusses the way ‘Political Correctness’ is imagin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pert criticism and public reactions to <Captain Marvel>(2019), <Avengers: Endgame>(2019), and <The Little Mermaid>(to be released), a certain difference was found in that each was mainly for and against Political Correctness. While ‘Political Correctness’ was discussed in expert discourse as a value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ducers must pursue, in public discourse, ‘Political Correctness’ was regarded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value of the film. At this point, anti-feminism, deception against fans, and counterdiscrimination discourse were used as the basis for justifying the criticism of Political Correctness, and the logical conclusion was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are also the points at which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sparked in the realm of culture comes into contact with ‘Anti-Intellectualism.’ This is not because they do not support Political Correctness, but because they reg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Aesthetic as incompatible and place a hierarchy between those. In this regard, experts’ discourse, which contributes to consumptive debates such as “Political Correctness or not” or “Ethics or Aesthetics” is also limited. With conservatives’ counterattacks tow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critical support from the Left at odds, we argue that we need to elicit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sharply considering and reflecting on what Political Correctness is and how it should be used in popular art.

      • KCI등재

        재현 불/가능성과 타자 윤리: 조르조 아감벤과 아즈마 히로키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이하림(Harim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문화와 사회 Vol.29 No.1

        이 글은 ‘재현불가능성(unrepresentability)’이라는 개념으로 집약된 20세기 이후 예술의 윤리적인 태도에 대해 저항하며, 논리적 반론의 길을 모색한다. 재현불가능성은 유태인 학살이나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와 같이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서는 재난앞에서 재현의 주체가 윤리적 태도로서 재현을 포기하거나 금기시하는 비재현·반재현의 태도로 수렴된다. 이런 태도는 사유의 임계치를 넘어서는 사건이나 존재에 대한 윤리적 존중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 결과 사건과 피해자는 망각되고 공동의 책임은 회피되며 비극은 신화화된다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한 두 사상가, 조르조 아감벤과 아즈마 히로키의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야 바깥으로 내쳐진 타자를 다시 가시화시켜 상상 불가능한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resists the ethical attitude of Art since the 20th century, which is concentrated under the notion of “unrepresentability", and seeks a path to logical rebuttal. The unrepresentability is a tendency that converges into a renouncement or taboo of the representation in art as an ethical gesture. It comes into practice when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faces to tragedy beyond human imagination, such as the Massacre of Jews or the explosion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This attitude comes from ethical respect for accidents or existence beyond the threshold of reason, but the irony arises that events and victims are forgotten, common responsibilities are avoided, and tragedy become a myth.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ments of two scholars, Giorgio Agamben and Azuma Hiroki, who argued that ‘nevertheless’ we should keep imagining and thinking about others. It will allow us to reconsider the other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unimaginable solidarity.

      • KCI등재

        강원도 춘천지역의 산불 조심기간 산림 연료 수분함량과 기상인자의 관계 분석

        한송희(Han, Songhee),채희문(Chae, Heemu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2

        산림 연료수분함량은 산불 발화와 확산에 밀접한 연관이 있어 산불 예보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본 요소이며, 연료의 수분함량 분석은 산불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 봄·가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임지 내 연료 수분함량과 임내 설치된 기상측정장비(HOBO data Logger)의 기상 자료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산림 연료 수분함량은 사면별(남사면,북사면)을 나눈 뒤 지피물 채취하였고 수종별로는 활엽수(벚나무, 떡갈나무), 침엽수(소나무, 잣나무)를 대상으로 낙하한 낙엽을 사용하였다. 임내 설치된 기상측정장비의 온도(평균,최저,최고)와 상대습도(평균,최저)를 이용하여 기상인자와 연료수분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봄철 산불조심기간에는 사면별, 수종별에서 온도(평균,최저,최고)와 상대습도(평균,최저) 모든 인자들이 연료수분함량과 유의성이 있었으며, 가을철엔 평균온도와 평균 상대습도가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연료수분함량과 기상의 상관 분석 결과를 통해 유의성이 높은 인자들을 뽑아 사면별, 수종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 내의 기상인자와 산림 연료 수분함량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연료 지수를 산정하는데 본 연구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fallen leaves in the fores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the ignition and spread of a forest fire. This moisture content is an important fundamental component of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as well as an essential parameter in forest fire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isture content of fuel in the forests and weather information obtained from HOBO data loggers installed in forests during the forest fire seasons of 2018 and 202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rest fuel was divided into two slopes (south and north), and the fallen leaves used were broad-leaved (Prunus serrulate and Quercus dentata) and coniferou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temperature (mean, minimum, and maximum) and relative humidity (mean and minimum) data obtained from the weather measuring devices installed in the forests were used to correlate weather factors with fuel moisture content. During the spring forest fire period, the temperature (mean, minimum, and maximum) and relative humidity (mean and minimum) of each slope and tree species were significant, while the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autum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el moisture content and weather, factors with high significance were selec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slope and spec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t 1 perc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for calculating the fuel index of the forest fire forecasting system by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uel.

      • KCI등재

        가난 재현의 정치학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1

        한국 영화 최초로 칸 국제 영화제의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달성한 영화 〈기생충〉(2019)은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 사회적 양극화 현상을 다룬다. 이 글은 영화의 가난 재현 방식과 그것을 토대로 펼쳐지는 재현의 정치에 주목한다. 영화는 부자와 빈자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빈곤계층을 식민주의적 시각언어로 재현하는 동시에 악취의 혐의를 덮어씌워 하층계급을 무가치한 생명으로 치환한다. 이렇듯 영화의 가난 재현 전략은 서로 별개의 독립적인 것으로 기능하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스크린 내에서의 ‘생명정치’를 완수한다. 〈기생충〉이 선보이는 재현의 정치는 텍스트 내부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을 넘어 ‘현실 효과(reality effect)’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재현 과정에서 동원되는 후각 담론은 일부 실제의 경험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영화가 그려 내는 가난을 실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계급적 타자에 대한 후각적 재현은 통념화된 지식들을 생산하여 가난에 대한 또 하나의 ‘공통감각’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문제적인 것은 〈기생충〉의 재현 방식이 가난의 무게를 상쇄하고 체제 유지에 복무하는 효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영화가 코미디의 장르적 요소에 기대어 재기 발랄한 디테일을 강조하고,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강조하는 것은 결국 가난을 물화시키거나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처럼 영화 〈기생충〉이 펼치는 재현의 정치는 우리를 재현 윤리의 문제로 이끌며,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성찰을 요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표다. 〈Parasite〉(2019), the first Korean film to win the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Golden Palm” and four Oscars, deals with social polarization, a chronic problem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way of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and the politics of that. 〈Parasite〉 separates the rich from the poor in space and represents the poor in colonial visual language, while at the same time accuses the poor of stench. Thus, the strategies of representing poverty in this film play complementary roles rather than functioning as separate independent ones, carry out ‘biopolitics’ for the lower classe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presented by 〈Parasite〉 need to be importantly dealt with in terms of not just staying inside the text, but also creating a “reality effect” beyond the screen. Especially, since ‘the smells-discourse’ used in the representation process stems from some real-life experiences, making it seems like the poverty portrayed by the film is real. The olfactory representation of lower classes is problematic in that it produces conventional knowledge, creating another “common sense” of poverty. But most problematic of all, the representation of 〈Parasite〉 counterbalance the weight of poverty and has the effect of serving the regime. The film’s emphasis on clever details based on the genre elements of comedy, and its emphasis on minimal courtesy to humans, in turn, results in reificating or alienating poverty. Like thi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Parasite〉 ultimately is to bring us to the question of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ultimately requires deep reflection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영화 <벌새>가 보여주는 페미니즘 정치미학의 (불)가능성

        한송희(Han Song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글은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최전선으로 손꼽히는 영화 <벌새>를 랑시에르의 정치미학에 기대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랑시에르에게 미학은 ‘감각적인 것의 나눔’이라는 차원에서 정치와 상통한다. 미학의 주된 관심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말과 소음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관객들이 감각의 분배 방식을 직조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정치인 까닭이다. 영화 <벌새>는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씨앗으로서 여성개인의 미시사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거시적인 차원의 문제를 켜켜이 쌓아 구조적인 문제를 조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많은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성수대교 붕괴’라는 참사를 도구적으로 활용하여 재난을 레토릭으로 전락시키는 모양새를 보이고, 지나치게 여성 ‘실제’의 삶에 방점을 찍다보니 공통감각을 새롭게 짜는 ‘허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대신익숙한 나눔의 방식에 기대고 있다는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페미니즘 영화가 페미니즘 실천의 한 갈래로서 모든 차별과 폭력에 대항하고 지배와 예속이라는 권력의 구조를 철폐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면 적어도 그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른 폭력이나 타인의 고통을 동원하지는 않아야 한다. 또한 동시에 페미니즘 영화가 사실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제시되는 역사적 증거가 아니라 문화적 상상력에 의해 구성되는 새로운 종류의 시대적 증언으로서 세계에 존재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새로운 재현이나 서사화, 허구성의 창조 방식 등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한국 페미니즘 영화가 더 멀리 나아가기 위해서는 의문부호 없이 반복되어온 익숙한 재현 체계 및 영화적 관습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공통감각을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plores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2018), leaning on Jacques Ranciere’s “Politics of Aesthetics.” For Ranciere, Aesthetics is in line with Politic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 main interest in Aesthetics is to set the boundary between the visible and invisible, between the speech and noise, and it is because of politics that the audience weaves the way the senses are distributed.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received much acclaim for acting as seed that depicts the possibility of Korean Films on feminisms, focusing on the micro-history of women as individuals, while accumulating macro-level problems to view structural concerns. However, in the process, the film appears to be using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as a tool to degenerate the disaster into a literal one. Moreover, since the movie focuses excessively on women’s “real” lives, it seems to rely on the familiar way of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stead of serving as “fiction” that rewires individuals’ common-sense. If films on feminisms are a part of an effort at feminist practice to comba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nd abolish the structures of power that lead to domination and subjugation, they should not use violence on others or other people’s suffering, to justify their claims. Simultaneously, if films on feminisms want to exist in the world as a new kind of historical testimony composed by cultural imagination, rather than historical evidence based on realistic records, they should seriously consider new ways of representation, narratives, and creating fiction.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at for Korean films on feminisms to go further, they must create a new common-sense, which is away from the familiar representation systems and cinematic customs that have been repeated overtime without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