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스 베르너 헨체(Hans Werner Henze)의 1970년대 초반의 음악극 작곡경향 연구

        한상명 ( Sang Myung Ha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1 음악이론연구 Vol.16 No.-

        독일출신의 20세기 대표적인 작곡가인 한스 베르너 헨체(Hans Werner Henze)는 1960년대 말 유럽의 정치적인 학생운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신세계에 변화를 갖는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약 10년간 뚜렷하게 지속되는 자신의 작곡경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70년부터 1976년까지 발표한 무대중심의 다섯 작품들은 전통에 기반을 두었던 그의 오페라 작곡방식을 벗어나 형식과 음악적인 내용에 있어서 실험적이었던 작곡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무대를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는 협주곡형태의 첫 세 곡은 소규모이면서 각각 음악과 극의 다양한 조합을 실험했다. 반면 이보다는 대규모로 구성한 마지막 두 곡은 가수들과 악기연주자들이 모두 무대 위에서 각각의 기능을 조화하게 하여 기존의 오페라 유형을 탈피했다. 이 시기의 실험성을 《나타샤 웅게호이어의 집으로 가는 고된 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한 사람의 가수를 비롯한 17명의 연주자를 위한 협주곡적인 음악극의 예로 무엇보다 극의 상징적인 의미와 음악의 연결을 강조하여 새로운 형태의 소규모 극음악 창작을 시도한 것이다. 아울러 이 곡의 정치적인 내용은 이 당시 강조되었던 헨체의 변화된 음악철학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헨체의 이 시기의 이러한 시도는 이후의 음악극 작곡방향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이 시기만의 특정한 경향이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의 전체 창작 시기에서 가장 극단적이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며 또한 20세기에 시도되었던 새로운 극음악의 형태연구의미에도 충분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Hans Werner Henze, one of the representative German composers in the twentieth century, goes through the changes in his world of spirit by having interested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olitical student movement of Europe at the end of 1960`s. This had greatly influenced and altered his composition tendency which clearly continued for more than 10 years from then on. Five stage-based works released from 1970 to 1976 show experimental compositional tendencies in the form and musical contents by moving aways from his operatic compositional method based on traditional convention. The first three works in a form of concerto using the Stage as an important element have experimented various associations of "music" and "theater" while being on a small sca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wo works in larger scale have escaped from the existing form of opera by having the singers and instrument players reconcile both functions on the stage.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erimental elements of this period reflected in "The Tedious Way to the Place of Natascha Ungeheuer" by Hanze. This is an example of music theatre in concerto form for a singer and seventeen playes which emphs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mbolic meaning of Drama and music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performers and theatrical role of music in order to attempt a new form of small scale theater music. Moreover, the political details of this music skillfully shows the changed musical philosophy of Henze that was emphasized during this period. Such an attempt of Henze during this time is distinctive not only from the fact that it was the specific tendency only for this time period that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music theater afterwards, but also from the fact that it was most extreme from his entire period of creative work and also provides enough basis for researching the form of new music theatre that was attempt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헨체의 《메두사호(號)의 뗏목》(Das Floß der Medusa)으로 살펴보는 20세기 후반의 세속 오라토리오 창작의 의미

        한상명 ( Sang Myung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1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의 작곡가가 생각하는 전통적인 오라토리오 양식 활용의 의미를 찾아보려는 목적으로 헨체의 유일한 오라토리오 《메두사호(號)의 뗏목》(1968)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 작품은 1816년에 실제 일어난 프랑스의 호위함 메두사(Meduse)의 난파 사건을 소재로 했고 솔로, 혼성합창단, 관현악이 함께하는 전통 오라토리오 양식과 유사한 구성의 세속 오라토리오 이다. 헨체는 인간의 삶을 향한 순수하고 강한 의지를 이야기하는 소재 선택과 인간에 대한 존중과 도덕성을 노래한 전통 오라토리오의 장르 미학을 연결하고 악곡 구성의 기초로 삼았다. 그리고 상징적인 등장인물을 설정하고, 적절한 시각적인 무대와 극적인 움직임의 요소를 도입했으며 이야기 속 인물들과 그들의 상황에 대해 공감하는 오케스트라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20세기 후반의 음악에서 확실하게 드러나는 작곡가의 개별성을 담았다. 사회 참여적인 작곡가로 변화하며 자신의 새로운 예술 철학을 담기 시작한 작품이기도 한 헨체의 《메두사호(號)의 뗏목》은 종교적인 내용이 중심 주제인 오라토리오 장르가 세속적인 내용을 담아서도 그 예술성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했다. 또한, 작곡 경향의 자유로움이 무한한 20세기 후반에도 전통적인 장르 양식 활용이 작품을 창의적으로 전개하는 데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 주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Das Floß der Medusa (1968), the only Oratorio of Henze, closely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the mode of traditional Oratorio as considered by composers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work is a secular Oratorio structured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traditional Oratorio with soli, mixed chorus and orchestral music and themed around the shipwreck of Meduse, the frigate of France in 1816. Henze selected the themes showing the pure and strong will of human beings toward the life and combined the aesthetics of genre of traditional Oratorio highlighting the respect toward human being and ethicality, which he used as the basis for music composition. Moreover, he set the symbolic characters and introduced the elements of proper visual stage and theatrical movements, and furthermore, emphasized the role of orchestra providing a window into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d their situations, thus embodying the individuality of composer which was clearly revealed in the music of the late 20th century. Das Floß der Medusa, the first work of Henze which reflected his new art philosophy while he was transforming into a socially-engaged composer, clearly showed that the genre of Oratorio, themed primarily around religious contents, could sustain its artistry even when it contained secular stories. In addition, it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traditional genre mode could spur creative unfolding of works even in the late 20th century characterized by unlimited freedom of music composition trends.

      • KCI등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단막 오페라 ≪카프리치오≫(Capriccio)에 나타난 시와 음악의 관계

        한상명 ( Sang Myung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음악이론포럼 Vol.30 No.1

        본 연구는 오페라 작곡가들의 우선 과제인 시와 음악의 이상적인 결합의 노력이 개별적인 작품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의 마지막 오페라 ≪카프리치오≫(Capriccio)를 살펴본 것이다. 이 작품은 시와 음악, 두 요소를 직접 이야기 소재로 삼아 시 또는 음악의 우위 논쟁과 오페라에서의 이상적인 결합에 관한 문제를 전면에 드러낸 오페라이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자 근본적인 물음과 대답이라고 할 시와 음악의 관계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카프리치오≫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관계는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이 작품의 시대 배경이기도 한 18세기 중엽의 오페라 미학 논쟁에 비춘 관점이고, 두 번째는 등장인물의 상징화를 통한 관점이다. 슈트라우스는 오페라 장르 역사에서의 첫 개혁을 이끈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의 시대를 ≪카프리치오≫의 극 배경으로 선택했다. 이렇게 해서 시와 음악의 이상적인 결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했던 미학 논쟁의 시대를 극 안으로 끌어와 시와 음악의 관계를 생각하게 하였다. 또한, 슈트라우스는 등장인물들을 인물로서뿐만 아니라 시와 음악, 두 예술 분야를 상징하는 인물로 설정하여 두 분야의 우위 논쟁과 연결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를 통한 시와 음악의 관계에 관한 생각을 알아보게 하였다. 이로써 시와 음악의 관계가 주제인 ≪카프리치오≫는 작곡가가 오랜 시간 오페라를 작곡하면서 스스로 쌓아왔을 시와 음악의 관계에 관한 생각을 관객과 나누려고 시도한, 독창성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Capriccio, the last opera of Richard Strauss, to look into how opera composers’ effort for ideal combination between poetry and music, their primary task, was manifested in individual works. This work is an opera with its motif adopted from the two elements, i.e. poetry and music, to reveal controversy over the superiority of poetry or music and make the issue of ideal combination in opera come to the fore. Thu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eme and prompts fundamental questions and answ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unveiled in Capriccio, was examined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first perspective reflects the controversy over opera aesthetics of the mid 18th century which forms the background for this work, while the second perspective relies on symbolization of characters. Richard Strauss selected the era of Christoph Willibald Gluck, who spearheaded the first reform in the history of opera genre, as the theatrical background for Capriccio. In that way, the drama drew on the era of aesthetics controversy in which the combination between poetry and music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put into practice, a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to be contemplated. In addition, Richard Strauss defined the characters beyond their roles in drama to make them symbolize the two different areas of art, namely, poetry and music, thereby associating the characters with the controversy over the superiority between the two different areas. That provided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Thus, Capriccio, which centers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was found to be a unique work that reflects the composer’s attempt to share his own ide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which he might hav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while composing the operas, with the audience.

      • KCI등재

        20세기 후반의 음악극에서 나타난 전통성과 진보성의 연구 헨체의 《우리는 강에 도달한다》의 분석을 통하여

        한상명 ( Sang Myung Han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14 음악이론연구 Vol.22 No.-

        This study began with academic interest in the music theatre works that pursued the novelty without 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opera, the traditional gen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examined and analyzed the traditionality and progressivism of Music Theatre 《We come to the River》created by Henze, the most prominent composer who pursued such direction. This work is divided into the acts in the same way as traditional opera, and is based on traditional structure characterized by harmonious and conflicting musical elements such as aria, recitative, ensemble, chorus, dance, etc. Specifically, this work incorporated the distinctive individual elements, actively shifting away from the existing music theatre elements such as the scenario with political contents, stage structure separated through linkage to symbolicity, role of orchestra from new perspective, and new musical expression method for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Thus, this Music Theatre is distinguished from the works of opera format which Henze unveiled previously and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patterns of music theatres which the avant-garde composers vigorously experimented in 1960s, thereby exhibiting both traditionality and progressiveness. Therefore, this work -- which represents the outcome of Henze`` profound contemplation in relation to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music theatre forms which maintain the tradition of opera format in the convergence of music and drama -- reflects the historicity of opera,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implication of progressiveness from the standpoint of music history,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theat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20세기 후반의 협주곡에 나타난 음악의 극화(劇化) 연구(II) -헨체의 《장미의 기적》(Le Miracle de la rose )을 중심으로-

        한상명 ( Sang Myung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포럼 Vol.23 No.1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에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결합인 전통적인 협주곡 양식을 기초로 새 로움을 추구한 작품들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에서 출발하여 당대의 대 적인 작곡가인 헨체의 클라 리넷 협주곡 《장미의 기적》를 극화의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장미의 기적》은 독주 클라리넷과 13명의 악기주자로 구성된 오케 트라를 위한 곡으로, 헨체 는 이 작품을 프랑스의 작가 주네의 자전적인 동명 소설에서 내용의 부를 차용하고 소설의 제목 을 곡의 표제로 써서 이야기가 있는 가상의 무대를 핵심으로 하는 극 된 협주곡으로 창작하였다. 그는 음악 외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기악곡인 이 작품을 음악적으 도 동등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독주 악기 및 몇몇의 개별 악기에게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할을 부여하였다. 아울러 오 케스트라에게는 음향적인 뒷받침과 이야기 진행 중의 극적인 상황에서 때때로 악기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악곡의 연주를 들으며 청중은 가상의 무대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를 연상하는 것이다. 헨체는 《장미의 기적》의 작곡을 통하여 극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기악곡의 창작에 있어서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결합인 독주협주곡 양식이 활용될 수 있는 훌륭한 예를 제공하였고, 동시 에 전통적인 독주협주곡 양식이 20세기 후반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작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소재가 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larinet concerto Le Miracle de la rose of Henze, one of the most renowned composers of the late 20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tization with academic interest in works that pursued novelty based on traditional concerto format, a combination of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Le Miracle de la rose is a tune for orchestra consisting of solo clarinet and 13 musical instrument performers. For this work, Henze adopted some part from a novel with same title which was a biographic novel written by French author Genet, and used the title of the novel as the tune title to create a dramatized concerto highlighting an imaginary stage with stories. Although he incorporated external contents of music into his work, he assigned the roles of characters in story to solo musical instrument and some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s to ensure that this work, an instrumental music, would be understood equally in terms of music. Moreover, he expressed emotion through musical instruments in dramatic situations while the story was unfolding, along with acoustic support for orchestra. The audience could found that the tune of music formed in that way was reminiscent of stories being unfolded on an imaginary stage. Henze presented an excellent example that the concerto format, a combination of solo musical instrument and orchestra, could be used for creation of instrumental music based on dramatic contents through composition of Le Miracle de la rose.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oncerto form could provide important basis for presenting new creative ideas continuously also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20세기 초 독일의 콘서트 멜로드라마에 관한 연구 - 실링스의 『마녀의 노래』(Das Hexenlied)를 중심으로 -

        한상명 ( Sang Myung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1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무대 멜로드라마의 영향으로 낭송자와 한 악기 주자 또는 오케스트라가 함께하는 연주회 방식으로 동시대에 발생한 콘서트 멜로드라마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에서 출발하여, 창작 및 수용에 있어서 최고의 시대였던 20세기 초 독일의 콘서트 멜로드라마와 당대 대표적인 작품인 실링스의 『마녀의 노래』를 연구한 것이다. 20세기 초 독일의 콘서트 멜로드라마는 낭송 텍스트로 발라드를 선택하는 18세기부터의 전통을 따르고 있고, 19세기 동안 굳어진 기악 음악의 묘사적인 표현 기능 및 음악적 동기의 유기성을 극적인 작품으로의 완결성을 위해 더욱 발전시키는 한편, 낭송자의 뛰어난 표현력을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고려하는 새로움을 수용했다. 대표적인 작곡가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실링스로, 특히 실링스는 콘서트 멜로드라마를 주요 장르로 정착시키고 예술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 실링스는 빌덴브루흐의 발라드 <마녀의 노래>를 텍스트로 선택하여 동명의 콘서트 멜로드라마를 창작하면서 낭송 텍스트로 선택한 발라드의 내용을 그대로 쓰는 소극성에서 벗어나 극적인 짜임새를 위해 각색하고 고유의 방식으로 주도동기를 설정하고 적용하여 낭송과 기악 음악의 조화를 추구하는 한편, 기악 음악만의 자율적인 감정 표현도 필수적인 요소로 삼는 새로움도 시도함으로써 콘서트 멜로드라마의 발전 가능성과 독립된 형태로서 음악사적인 의미와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하였다. This paper studied Konzertmelodram and the representative work, Max von Schillings’ 『Das Hexenlied』 of the early 20th Century Germany, which is considered the best period for the creation and accommodation after getting started with an academic interest of the ‘Konzertmelodram’ of the same era, in the form of music concert in which reciter and player of one musical instrument or orchestra perform together due to the effect of the ‘melodrama’ which got started in France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Konzertmelodram of the early 20th Century Germany followed the tradition, tracing back to the 18th Century in which ballad was selected as a recital text, and advanced descriptive expression function and musical Motiv’s organic of the instrumental music that consolidated its pos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for the completion as a dramatic work. Meanwhile, it accommodated the newness that factors in the reciter’s superb expression ability during work creation process.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are Richard Strauss and Max von Schillings. In particular, Max von Schillings made an effort to establish Konzertmelodram as an independent genre and attempted to publicize its artistic value. He selected Ernst von Wildenbruch’s ballad, < Das Hexenlied > as the text. As such, he pursued after the harmony of higher level poem and music while creating on the Konzertmelodram of the same name, centered on the setting and application of Leitmotiv which was absent until then, dramatizing dramatic framework, casting away the passiveness that entailed using the contents of the ballad as they are. Moreover, newness of emphasizing powerful music-specific emotional expression as the important element that comprised the Konzertmelodram was manifested.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the 『Das Hexenlied』,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Konzertmelodram offers sufficient music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as an independent entity. This in turn shows the result of the Max von Schillings’ effort clearly.

      •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로 치료한 2세 남아의 독성표피괴사용해 1례

        전세윤 ( Se Yun Jeon ),남지형 ( Ji Hyung Nam ),한상명 ( Sang Myung Han ),유경희 ( Kyung Hee Rhue ),이성열 ( Seong Yul Lee ),박준수 ( Joon Soo Park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Toxic epidermal necrolysis(TEN) is a severe drug induced life-threatening disease and an acute illness. Thi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rapid onset of widespread necrosis resulting in sloughing of epidermis. The incidence of TEN is very rare, with approximately 0.5 to 1.4 cases per million per year. but TEN has a high mortality rate of 25-40 percent. Therapy for TEN is primarily aimed at supportive care. Treatment with systemic corticosteroid, immunosuppresive agent such as cyclosporine, cyclophosphamide, pentoxifyllin or plasmapheresis have not been shown to improve outcome. Recently, administration of high 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IVIG) has been shown to result in rapid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TEN.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of the benefit of IVIG in adult patients with TEN. However we could not find using IVIG in pediatric patient with TEN in Korea. We have experienced improvement in a 2 years old boy with TEN after using high dose IVIG.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71-1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