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_2009년도 원자력계 맥점 - 한수원(주)의 녹색 성장 정책 추진

        한상길,Han, Sang-Gil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9 원자력산업 Vol.29 No.7

        지난 2월 서울에서 열린 '2009 그린포럼'에서 토머스 프리드먼은 인류의 미래를 위한 유일한 해결책은 녹색 혁명이라고 역설하였다. 최근 세계 경제의 침체와 맞물리면서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은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흑은 시장 선점의 방안으로써 녹색 성장을 표방하는 그린 오션(Green ocean) 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8월 대통령이 "저탄소 녹색 성장"을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처럼 녹색 산업이 국가 경쟁력과 기업의 미래 성장으로 직결되는 뉴 패러다임에 직면하여 국내 유일의 원전 운영 회사인 한수원(주)도 녹색 미래에 대비한 정책 추진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팔관회의 복원과 재현을 위한 과제

        한상길 ( Sang Gil Ha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오늘날 팔관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여러 가지 원인 이 있겠지만, 그동안 학계와 불교계 등에서 연등회의 복원에만 관심을 집중한 데 큰 이유가 있는 듯하다. 고려 불교의례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연등회의 복원과 재현은 문화전통의 확립과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연등회는 2012년 3월 국가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조계종에서 연등회보 존위원회를 설립하여 지속적인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이제는 새로 운 분야로 관심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대안이 바로 팔관회라고 생각한 다. 역사적으로 팔관회는 매년 10월과 11월 보름에 거행되었다. 이 전통에 따라 팔관회를 복원하여 10월 또는 11월에 거행한다면, 현재 5월의 연등회 이외에 별다른 축제가 없는 불교계에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축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팔관회의 복원과 재현을 위해 노력하는 단체는 부산광역시불교연합 회가 유일하다. 종단을 초월하여 팔관회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고자 매년 14회 에 걸쳐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사실 문화의 원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팔관회의 복원은 개경과 서경에서 이루어져야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 이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어디에선가 이를 복원하고자 할 때, 부산은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서경은 고려 제2의 수도였고, 오늘날 부산 역시 제2의 수도이다. 비록 이곳에는 의봉루[개경]와 영봉루[서경]도 없고, 법왕사[개 경]와 흥국사[서경]도 없지만 팔관회를 복원하려는 열정과 노력이 있으므로 얼 마든지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 다만 그동안 거듭했던 시행착오를 줄이고, 현 대사회에서 바람직한 복원과 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 를 위해 고려 팔관회가 지닌 특징적 요소를 네 가지로 추출하고 이를 현대사회 에서 어떻게 복원, 재현할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① 팔관회보존연구회의 설립, ② 문화재 지정 추진, ③ 팔관회의 문화콘텐츠 성과물을 활용, ④ 팔관회의 진행과정 정립을 제안하였다. Palgwan-hoe[Assembly of the Eight Prohibitions], a Buddhist ritual penitence and re-commitment to precepts, which became a kind of public festival in the Silla Kingdom, and flourished through the Goryeo Dynasty. Originally, in China, it was introduced as ‘great equal assembly’(無遮大會), a large assembly open to all at which both material goods(財施) and the dharma goods(法施) are offered to those in attendance. During the lifetime of Sakyamuni, the Buddhist followers repented their transgressions once every fifteen days, called posal(布 薩). Posal is a precepts meeting. I.e. Yukjaeil(六齋日), monks make confession of their sins, and laymen take upon themselves the vows, i.e. the eight precepts (八戒). This tradition was also introduced to the Silla Kingdom in 551, and the king named it Palgwan-hoe and warned people against violation of those eight prohibitions. The first recorded Palgwan-hoe were presided over by Master Hyeryang(慧亮), a Goguryeo Kingdom monk who defected to Silla. In the tenth month of the thirty-third year (572) the king held a Palgwan-hoe for the repose of officers and soldiers killed in action. ‘Eight prohibitions’ means not to violate the eight precepts. But Silla converted the assembly to a memorial service and nation-wide festival. This penitence ritual had degenerated into nation-wide recreation. The king utilized the ritual´s cathartic effects which were immediately accessible through its moral sympathy and amusement. Today, Busan Buddhist Association the only organization trying to restore and reproduce Palgwan-hoe. From 2000 until now the 14th has performed continuously throughout.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how to reproduce it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at specific measures; the establishment of preserving research, cultural property promotion, deliverables utilizing the cultural contents, and establishing the progress of Palgwan-hoe

      • KCI등재

        근대 동아시아 사조(思潮)와 만해의 개혁사상

        한상길 ( Sang Gil Ha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이 글은 근대 사조와 만해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한 방법으로서 비교라는 키워드를 설정하였다. 한 인물을 이해하는데 있어 타인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비교 고찰하는 연구는 그 인물의 가치와 본질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기왕의 연구성과 가운데 만해와 동시대의 사상가, 혁명가 등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에 주목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를 풍미했던 당시의 사조(思潮)를 만해가 어떻게 수용하고 체화(體化)시켰는가를 살펴본다. 이어 만해를 비교 연구의 시각으로 조명한 여러 연구를 일별하여 근대 동아시아에서 만해가 지니는 개혁의 가치와 역사적 위상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자 하였다. 만해의 근대 사조 수용은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1910년 『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하면서 양계초의 저술을 참조하였지만, 그의 세계와 서양 철학, 문명에 대한 갈망은 오래 전부터 태동하였다. 만해는 근대 사조와 문명을 수용하면서 철저한 분석적,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양계초 등의 서책에서 단편적으로 습득하였지만 만해는 이를 철저히 자기화, 체화시키며 불교개혁의 이론적 틀을 형성시켰다. 동아시아 속에서 만해의 위상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인물들과의 비교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동인, 중국의 태허와 노신, 일본의 세노오 기로, 스리랑카의 다르마팔라 등이다. 이들은 한결같은 시대적 공통점을 지닌다. 즉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등 외부로부터의 침탈과 불교의 쇠퇴이다. 안으로는 중세적 나태와 안일에 움크리고 있는 불교를 개혁하여 새로운 근대종교로의 탈바꿈을 시도하였다. 밖으로는 이를 토대로 외부의 침탈에 맞서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헌신하였다는 점이다. 만해가 외친 불교 개혁과 민족 독립은 이처럼 우리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의 근대사를 관통하는 커다란 물줄기였다.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thought and Manhae as a way to understand the comparison was to set up a keyword search. There is one person with others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mparative study and research is the nature and value of the person can be exposed more clearly. Buddhism in Korea as Manhae aspiring character trait is rare. Such as research and writing about him beyond the fact that the 1000 side tells it well. At the end of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of upheaval lived in fulfilling his life and history, literature and philosophy, practice and exercise is an important history soon as we look at recent history because it is a reference point. Research results with retrospective Manhae among contemporary thinkers, revolutionaries through comparison of such studies will be considered. First, how he was in modern thought did accept and apply examined. Acceptance of his early modern history began. 1910, while the author of Joseon Bulgyo Yusillon see the writings of Liang Qichao, but his world and Western philosophy, has long been a desire for civilization began. While accommodating modern thought and civilization that he thoroughly analytical, critical attitude was standpoint. His stature in East Asia as a way of understanding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o the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figures and discussed. Manhae and Lee Dong In, Anagarika Dharmapala, Lu Xun, Taeheo jininda are invariably common era. That is capitalism, imperialism and invasion from the outside and the decline of Buddhism. Go inside the medieval stagnation and complacency of modern Buddhism as a religion of the new reform was attempted transformed. and against the invasion of the outsid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nation. His claimed the Buddhist reform and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our modern history of Asia was through the great stream.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한상길(Sang GIl H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釋門儀範』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망라하여 한국불교 의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결집서이다. 1935년 卍商會에서 간행한 이 책은 이후 한국불교 의례의 교과서라고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지니게 되었다. 주권상실기 혼란의 시대에서 『석문의범』의 등장은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계승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국불교의 왜곡 과정에서 영산재를 비롯한 많은 불교의례와 의식 등이 사라지는 현실에서, 고유의 신앙과 의례에 관한 의식문을 집성하는 노력은 다름아닌 전통불교의 회복과 계승의 산물이었다. 본고는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불교의 개혁론이 팽배한 시기에 간행된 『석문의범』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의미는 대략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석문의범』 편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불교의 대중화에 있었다. 어려운 한자의 의례문을 쉬운 한글로 병기하는 서술의 형식에서 대중화의 의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안진호는 의례문의 선별 과정에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석문의범』 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현대적 의례와 의식의 변화를 적극 권장하였다. 장례의식을 간소화하고, 무주고혼을 천도하는 추도의식을 새롭게 바꿀 것을 주장하였다. 그의 의례와 포교에 대한 열린 생각은 불전에서의 혼례식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또한 찬불가를 보급하여 포교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이 책은 근대불교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석문의범』 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대중을 위한 불교서적은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 책이 간행된 지 불과 2년이 못되어 매진되었다는 사실은 대중들의 의례, 의식에 관한, 즉 불교문화에 대한 욕구가 얼마나 컸던가를 짐작하게 한다. 책의 보급을 통해 불교의례와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석문의범』 은 불교대중화의 모범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The Sukmoonyibum is a buddhist ritual book in modern time Korea. This book was published in 1935, it kept the location which is important to Korean buddhist ceremony. And further, it became the important opportunity to confirm and succeeds in identity of Korean buddhism. Korean buddhist culture was destroyed and disappeared by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 endeavors to collect ritual ceremony was a result in recovery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standing a meaning of Popularization of Buddhism during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and assertion of buddhist reform. It is summarized that result, three points. First, A important purpose of publishing The Sukmoonyibum was popularization of Buddhism. We will easy to understand that intention to popularization of Buddhism, it writes together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character. But a writer An, Jin Ho(안진호), he thoroughly observed the rules to select in ritual text He puts an emphasis on all sorts of special ceremony, because he belive that it is most important role in keeping with a Buddhist monk and a Buddhist. And second, this book was encourage a modernize ritual and change of an old consideration. He proposed a wedding ceremony in temple, and composed several Buddhist hymn. these are becomes help propag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third, It was largely contribute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Before it published, do not exist buddhist books for the masses. Only two years before, it was out of stock. In my estimation, this means that highly desire for a ritual of buddhism. According to more spread of the book and more grows of a ritual buddhism, We called that a model of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 절연유와 절연지의 수분에 대한 용존 및 흡착 메커니즘 특성

        한상길(Sang Gil Han),한상옥(Sang Ok Han),이세현(Sei Hyun Lee)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4

        수분은 변압기 내부의 절연물의 절연내력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변압기 열화진단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수분을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Karl-Fischer법, Dew-Point법, RVM 등)이 개발되어졌고,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복전압측정법(RVM : Return Voltage Measurements)과 FDS(Frequency Domain Spectrum)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여러 구성물(절연지, 전극, 절연유 등)들과 수분과의 반응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을 규명함으로서 앞으로 변압기 열화진단법들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한상길 ( Sang GIl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이 글은 근대불교의 성립·전개과정에서 의식과 의례가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지니는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시기 불교계는 근대화를 맞이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다. 우선 사상과 신앙의 방면에서 대규모의 신앙결사를 조직하여 전통불교로의 회복을 통해 주체성을 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불교근대화의 기초가 되는 대중포교를 실현 하기 위해 분발하였다. 각종 불교단체의 결성, 본사 중심의 도심포교원 건립 등이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불교를 위한 노력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儀式과 儀禮의 개혁이었다. 조선시대 이래 지속되어온 기도와 기복, 축원만으로는 불교근대화를 이룩할 수 없었고, 근대문명의 다양한 사조에 부합하기도 어려웠다. 근대불교의 선각자들은 전통 불교의식과 의례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의례의 개혁을 제창하였다. 그동안 학계의 불교개혁론에 관한 연구는 상당수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개혁론이 실제로 당시의 불교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개혁론이 주장하는 논리와 대안들이 불교계에 직접 반영된 사례 또한 극히 드물다. 즉 의식과 의례의 개혁 주장은 근대화를 지향하는 비판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실제 대부분의 사찰과 불교계는 여전히 전통불교에 입각한 의식과 의례를 지속하고 있었다. 불교계로서는 재공양과 기도 등의 의례는 재원 조달의 중요한 수단이었고, 이를 대신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이유도, 여력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의례는 조선시대 이래 계승되어 온 소중한 문화전통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불교개혁론자들과 근현대신문에서 지속적으로 불교의례를 근대화의 걸림돌이라고 비판을 가해도 사찰에서는 여전히 천도재를 올리고 축원기도를 권장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 의례집의 간행은 의례의 성행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불자필람 의 간행에 불교개혁의 상징적 존재였던 한용운은 재원을 지원하여 의례개혁에 관한 자신의 생각에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그는 불교근대화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대중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그 방편으로서 근대적 의례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 글에서 불교개혁으로서의 의례폐지론과 석문의범 등의 의례집간행, 그리고 근현대신문의 기사를 검토한 결과, 불교의례는 근대사회에서 전통문화의 계승과 불교대중화라는 두 가지 순기능을 담당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천도재 등의 일부 의례는 일제하에서 총독부의 정치적 목적에 동원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역기능에도 불구하고 불교의례는 근대불교를 대중화하고 문화전통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in Modern Buddhism through the articles about the Buddhist rituals in modern society newspapers. Modern society Buddhist has made various efforts to modernize Buddhism. First of all, they organized Gyul-sa(belief association) to restore the Buddhist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harder to realize popular propagation. It was part of a effort to formed Buddhist organization, and a build a urban temple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m was that reformation of Buddhist rituals. Buddhist reformers criticize sharply the traditional rituals, and advocate ritual reform that fits in the new times. Meanwhile, research in Buddhist reform has come a long way, but there`s very little study about the effect on Buddhism. A strong insistence of Buddhist reform was started to critical consciousness, most of temples still keep up the traditional rituals. Because rituals were important measures to fund, there was no reason for substitute for new way. Buddhist reformer and newspapers criticize rituals the biggest obstacle to Modern Buddhism, but most temples still encourage a private praying rituals on closer examination the theory of ritual abolitionism and publishing ritual books, modern newspapers articles, Buddhist rituals played important rolls i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lthough some of these rituals taken to political purpose, it was contributed to popularizing Modern Buddhism and to preserve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해인사 이운 시기와 경로

        한상길(Han Sang-gil)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지금까지 대장경에 관한 논문과 저술 조사 보고서 등은 3백편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지만 이운 시기와 경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 원인은 이에 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데 있다. 『태조실록』의 단편적이고 불명확한 기사에 의존하다보니 대장경이 강화도에서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언제 어떠한 경로로 해인사에 도착했는지 전혀 알 수 없었다. 이러한 실정에서 연구자들은 아예 실록의 기사를 인정하지 않고 그 시기를 고려말 또는 세조대로 추정하는 등 혼란이 가중되어 왔다. 그런데 일찍이 한 용운과 김 영수는 고려대장경판 중에서 새로운 기록을 발견하고 이운 시기에 대한 卓見을 제시하였다. 均如가 주석한 『釋華嚴敎分記圓通鈔』에 음각된 1405년의 冲玄의 기록에 따라 판전의 조성 등 예비 작업은 이미 1397년에 시작되었고 1398년 5월 10일에 강화도를 출발하여 1399년 1월 이전에 이운이 완료되었다고 하였다. 필자 역시 사료를 검토하고 연구자의 견해를 종합한 결과 이러한 결론에 동감한다. 이운 경로 역시 이운 시기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이운 경로에 대해서는 그동안 육지길과 바닷길이 제기되었지만 물길과 육지길을 모두 거쳤을 것이라 생각한다. 즉 강화에서 배를 타고 한강에 도착하였다가 다시 한강을 떠나 충주에 이르고 육지길을 통해 문경새재를 넘어 남하한다. 낙동강에 이르러 다시 배를 타고 고령의 개경포에 도착하여 육지길로 해인사에 도착하였을 것이라 추정한다. 대장경의 판각지와 보관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충현의 기록에서 주목해야 할 사실이 하나 더 있다. 충현은 즉 "丁丑年 出陸時 此闕失 與知識道元 同願開板入上"이라고 하였는데 이 가운데 '出陸'이라는 의미는 대장경이 섬에서 '육지로 나왔다'는 뜻이다. 대장경의 판각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고 남해와 강화도뿐만 아니라 해인사 下鋸寺 斷俗寺 東泉寺 등의 여러 지역이 판각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심지어 그동안 정설이었던 남해나 강화도를 부정하고 판각지를 해인사 자체 및 인근 지역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충현의 기록은 대장경이 해인사에 도착한 지 불과 7년 뒤의 기록으로서 사료로서의 가치와 신뢰성이 높다. 즉 대장경은 분명히 섬에서 육지로 나왔다는 기록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Although there has been quite a bit of research on the Tripitaka Koreana when and how these Buddhist scriptures ended up at Haeinsa Temple has remained a mystery.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the lack of original material giving the details of this move. For example the Taejo Annals offer only a brief account that while confirming that the Tripitaka Koreana came from Ganghwa Island gives little other detail on how they were actually moved to Haeinsa Temple. As a result scholars have not relied at all on the Annals. This was a tumultuous time in Korean history with the ending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Sejo Period. Scholars Han Yong-Un and Kim Young-Soo offered a new theory as to how the Tripitaka was transferred based on newly discovered records. Gyunyeo's annotations in the Seokhwaumgyuobunki –Wontongcho references Chung-Hyun's statements made in 1405 that the work on the "Panjeon" or the initial vers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had already begun by 1397 and the Tripitaka Koreana had by May 1398 left Gangwha Island and had arrived at Haeinsa Temple by January 1399. After reviewing Han and Kim's research material I agree with the conclusions Han and Kim reached. Transport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must have been by both land and over water. They probably left Ganghwa Island by ship and arrived at the Han River and then by land on to Chungju passing Mungyeong and heading south. At Nakdong they again were transferred to a ship arriving at Gaepo-ri at Goryeong and then switching to land again and finally arriving at Haeinsa Temple. One other important clue is offered by Chung-Hyun as to where the Tripitaka Koreana was initially engraved and stored. About the Tripitaka Chung-Hyun writes: they "come out from land" which likely refers to the Tripitaka Koreana's leaving an island and arriving on land. The issue of the loc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s engraving has been a source of heated debate with various localities and temples such as Dansoksa Temple Haeinsa Temple and Dongchunsa Temple claiming that they als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Some have even argued the works were not produced at all in the Ganghwa Island and that all the engravings were done at Haeinsa Temple and surrounding localities. However because Chung-Hyun's writings are only 7 years after the Tripitaka Koreana arrived at Haeinsa Temple their value as a credible source of how the Tripitaka Koreana came to be at Haeinsa Temple remains very high. Clearly the evidence point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ripitaka Koreana came from an island and arrived on land and therefore lends credence to the theory that they were first produced at Ganghwa Island and then transported over water and by land and finally ending up at Haeinsa Te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