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레샴 메이첸: 칼빈주의 변증가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8 No.-

        본 논문은 근본주의 신학자로 이해되고 있는 메이첸의 신학이 개혁주의 성향을 가졌는지, 메이첸 스스로는 자신의 신학적 성향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그의 저작들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현대주의 및 자유주의 사상과 맞서는 메이첸의 신학 방법론은 성경의 초자연적 성격과 역사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성경의 초자연적 성격은 성령의 초자연적 조명을 요청하고 성경의 역사적인 성격은 인간의 보편적인 감각에도 유효함을 주장한다. 특별히 인간의 보편적인 감각에 대한 메이첸의 강조는 구 프린스턴신학교의 탁월한 신학자들, 핫지와 워필드의 신학적 태도와 연결되어 있다. 성경에 대한 메이첸의 이러한 이해를 면밀히 살펴보면 그가 근본주의 신학자로 분류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결론은 한국 교회 초기의 보수진영 신학의 특징을 이해함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초기의 보수적인 한국 교회 신학이 메이첸의 신학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유주의 신학과의 대결에서 박형룡을 비롯한 보수진영 학자들은 메이첸의 신학에 많이 의존했다. 그러나 메이첸을 근본주의 신학자로 규정하는 영미권의 이해에 기초하면, 한국 교회 초기의 신학적 특징은 근본주의 성향으로 분류되기 쉽다. 그러나 본 논문은 메이첸의 신학이 개혁주의 성격이 강하고 메이첸 자신도 스스로를 근본주의 신학자가 아니라 칼빈주의 신학자로 규정하고 있음을 주장하며 오늘날 영미권의 메이첸 평가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This paper deals, on the basis of his own writings, with whether Machen may be ‘a Calvinist’ both in the content of his theological defense and its methodology. In conclusion, Machen may be called a ‘Calvinist’ apologist at least in light of his preference since he loved himself to be called a ‘Calvinist’ but relatively did not like the terms ‘Fundamentalism’ and ‘Fundamentalist’ as “distasteful.” Notably, this examination of Gresham’s theological character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heologically conservative character of the 1920s in Korea, a character which Hyung-Nong Park, “Machen of Korea,” who learned theology from Machen, introduced his theology into the Korean church, and employed his apologetics to solve the th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liberal and the conservative circl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슐라이어마허의 철학적 해석학과 기독교적 적용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5 기독교철학 Vol.20 No.-

        이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일반 해석학과 그것의 기독교적 적용을 논한다. 그의 해석학 이해는 간단하지 않다. 변증학과 문법과 수사학과 기독교 신학이 그의 해석학과 얽혀 있어서다. 보다 구체적인 이유는 일반성과 특수성, 문법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부분과 전체, 차이와 일치,언어와 사고, 비교적인 것과 예언적인 것, 내용과 형식, 경험과 사색 사이에 선명한 구분선을 그릴 수 없고 오히려 그것들이 서로 선순환적 영향을 교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은 언급된 다양한 학문들과 개념들의 종합적인 이해 없이는 오해되고 만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래서 그의 해석학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그리고 그렇게 이해된 그의 해석학이 성경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슐라이어마허는 성경의 영감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해석학에 있어서는 성경의 영감성과 성령의 조명 혹은 내적인 증거와 해석의 도구적인 원리로서 믿음이 언급되지 않는다. 개신교의 역사적인 성경 해석학의 도식과는 다른 접근법을 시도한다. This paper deals with Schleiermacher’s general hermeneutics and its biblical application. The reason for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nterrelated to dialectics, grammar, rhetoric, and Christian theology, is because his hermeneutics does not allow the strict dichotomy of the general and the special, or of the grammatical and the psychological, of the part and the whole, of difference and unity, of language and thought, of comparative and prophetic, of content and form, or of experience and speculation, but rather embraces the mutual relationship and reciprocation among them. Unless we make an interdisciplinary examination of mutual relationship among those aforesaid academic areas, thus, a biased understanding of his hermeneutics would be inevitable. Thus,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 synthetic analysis of Schleiermach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in order to see its applic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Holy Scripture. Scheiermacher, though approving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in Scripture, still asserts that the text of Holy Scriptur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as all other writings, an assertion that seems not to edify the historic Protestant hermeneutics of Scripture.

      • KCI등재후보

        도덕과 하나님의 칸트적 우선순위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2 기독교철학 Vol.15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ority between God and morality in Kant`s mind. A careful examination on Kant`s works would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for Kant, God is prior to morality in an epistemological sense, while morality is prior to God in an ontological sense. There is not found a conceptual conflict between these two kinds of priority between God and morality in Kant but rather a delicate harmony.

      • KCI등재후보

        성경과 성상에 대한 다메섹 요한의 해석학

        한병수 ( Han Byung-so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8 기독교철학 Vol.25 No.-

        이 논문은 동방의 마지막 교부로 알려진 다메섹의 요한이 왜 성상의 제작과 경배를 옹호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와 그것의 신학적인 오류를 논구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관념적인 문자보다 시각적인 영상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런 경향이 교회에 스며들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추구를 위해 우리는 어떠한 수단까지 동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신학적인 근거를 타진하는 것이다. 다메섹의 요한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있어서 무엇보다 교회의 전통과 인간의 오관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그는 교회의 전통 중에서 특별히 “성상에게 주어진 존경심은 성상의 원본이신 하나님께 주어지는 존경심과 같다”는 동방의 교부 바질의 신학적인 입장을 수용한다. 그리고 인간이 진리의 지식을 수용함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것처럼 지각이 선행되지 않은 이해는 없다고 생각하여 오관에 의한 성상의 지각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이르기 전에 선행하는 필연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입장에 그는 성경적인 논거들, 즉 하나님이 모세에게 성막 제작을 명령하신 것과 말씀이신 하나님이 육신으로 오신 것은 모두 하나님의 성상화를 성경 자체가 지지하고 있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연구자는 이러한 교부의 주장이 성경적인 측면에서, 교부 자신의 신학적인 논리에서, 그리고 종교개혁 신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비판할 수 있는지를 결론에서 제시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asons why John of Damascus, the last father of the Eastern church, advocates of making and honoring icon, and the theological error of the reasons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what kind of tools is usable to get the knowledge of God, especially in our age when the visual media are replacing the contemplative letter and this trend flows into the church. John of Damascus stresses the importance of ecclesiastical tradition and the sense perception for the knowledge of God, by accepting Basil’s theological view in which “honor given to icon is equal to honor given to its archetype,” and Aristotle’s epistemological view in which there is nothing of which the sense perception is not prior to its understanding. In further support for the justification of iconography, this Eastern father employs Moses’ building of the tabernacle commended by God and the incarnation of God’s Son as the strong biblical evidences. On these grounds is his assertion that the sense perception of God through icon is prior to the knowledge of him. The paper, however, criticizes iconography in a biblical and epistemological view.

      • KCI등재
      • KCI등재
      • 교회의 통일성: 루터의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5 조직신학연구 Vol.23 No.-

        본 논문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의 통일적인 이해를 연구한다. 기존의 루터 학자들은 루터의 교회론을 하나의 특정한 주제와 결부시켜 이해했다. 물론 루터의 교회론은 성찬론과 이신칭의 교리와 거룩함과 하나님의 말씀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중에 하나와 교회의 본질을 결부시켜 이해하면, 오히려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 자신의 포괄적인 이해가 희석된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는 방법은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루터의 교회론을 하나님의 뜻과 예정, 신앙, 성령, 성도, 그리스도, 복음에 대한 루터의 이해와 연관시켜 논구한다. 본 논문이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의 생각을 포괄적인 방식으로 연구하는 이유는 루터 자신이 교회의 본질을 이러한 여러 주제들과 결부시켜 논구하고 있기에, “새로운 피조물 전체”(tota nova creatura), “하나님의 백성”(polulus Dei), “의인들의 연합”(communio iustae), “신자들의 연합”(communio fideles), “성도들의 연합”(communio sanctorum), “택자들의 연합”(communio electi)이라는 루터 자신의 다양한 표현들에 근거하여 루터가 생각하는 교회는 오직 하나님께 속한 백성이며,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은 참여할수 없는 신자들의 연합이며, 거룩하지 않은 자들은 참여할 수 없는 성도들의 연합이며, 하나님의 기뻐하신 뜻 이외에 인간의 노력이나 공로를 비롯한 이 땅에서의 다른 어떠한 것에도 기초하지 않은 택자들의 연합이며, 이 땅에서 거듭나지 않은 어떠한 자도 참여할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피조물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Luther’s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 Church in interrelation to other common doctrines. The previous scholarship on this issue tends to, focusing one specific aspect of Luther’s ecclesiology, present the partial observation of his view on the nature of the church, particularly in reference to either of sacraments, justification and God’s Word. But this approach could, and indeed did, cause the full picture of Luther’s ecclesiology to be distorted, or maybe unconsciously neglected. A solution to overcome the weakness of each of those sacramental, justificational, and Christological approaches is the integrative approach in which the paper deals with Luther’s integrative view on the nature of the church in doctrinal connection with Christ, faith, Holy Spirit, and Predestination. Upon this approach,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church, to Luther’s eye, is tota nova creatura, polulus Dei, communio iustae, communio fideles, communio sanctorum, and communio electi.

      • KCI등재

        아만두스 폴라누스 교의학의 신학적 구조

        한병수(Byung Soo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본 논문은 아만두스 폴라누스 교의학의 신학적 구조를 소개하며 종교개혁 시대와 정통주의 시대의 관계성에 대한 오해들 중의 하나인 신학의 철학적 변질 문제를 해명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종교개혁 신학은 성경적, 인문학적, 실천적, 수사학적, 후험적, 그리스도 중심적인 특징을 가졌으나 종교개혁 이후의 정통주의 신학은 합리론의 영향으로 철학적, 스콜라적, 이론적, 논리적, 선험적, 예정론 중심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둘 사이의 신학적 이질성과 단절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17세기 초반에 개혁주의 신학의 교의학적 체계를 가장 높은 차원까지 끌어올린 바젤의 신학자 아만두스 폴라누스(Amandus Polanus, 1561–1610) 역시 이러한 신학적 이질성과 단절의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바르트, 파울렌바흐, 그리고 딜은 폴라누스 신학이 철학의 영향으로 인해 종교개혁 신학을 떠났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폴라누스 신학의 면밀한 검토는 이러한 주장들의 증거력이 1차 문헌과 그 시대의 일반적인 학풍에 기반하지 않았다는 인상을 제공한다. 폴라누스 저작들은 그가 “성경의 증거”와 “모든 사람들의 보편적 동의”와 “교회의 증거”와 “참된 이성”을 순서대로 존중하되 신학의 내용에 있어서는 언제나 성경의 증거과 교회의 건강한 전통에 자신의 신학 전체를 의탁하고 있음을 증거한다. 비록 신학적 체계를 세움에 있어서 철학의 방법론적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이 각 교리의 신학적인 결론에 영향을 준 경우는 거의 발견하지 못한다. 오히려 교리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정교한 틀에 담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함이 더 타당하다. 나아가 모든 교리들을 하나의 거대한 도표에 담아 교리들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교리의 단편적인 혹은 단절적인 이해의 취약점도 극복하게 한다. 즉 폴라누스 같은 종교개혁 이후 세대의 교의학은 비록 철학적인 도구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왕성하게 활용하긴 하였지만 그것이 신학적 변질을 초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개혁 신학의 보다 온전하고 체계적인 수용과 계승을 견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고려 속에서 본 논문은 특별히 폴라누스 교의학의 삼중적인 신학적 구조, 즉 우리의 신학과 신학의 원리와 신학의 구조를 다루되 종교개혁 신학과 종교개혁 이후의 정통주의 신학 사이에 교리적 단절과 괴리가 있다는 주장을 반박하되 정통주의 신학의 교리적 체계화와 구조적 통합화는 종교개혁 신학과의 결별이나 이탈이 아니라 종교개혁 인물들이 확립한 계시 중심적인, 성경 의존적인 신학의 체계적인 보존과 발전적인 통합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osition of misunderstanding in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Reformation theology and Reformed orthodox theology by digging into the theological structure of Amandus Polanus.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re had emerged many scholars who argued the difference and discontinuity between Reformation theology and Protestant orthodox theology: the former was characterized as biblical, humanistic, practical, rhetorical, a posteriori, and Christocentric, while the latter was characterized as philosophical, scholastic, theoretical, logical, a priori, and predestinational. Also charged of this argument was Polanus who established a most developed system of Reformed theology in the seventeenth century. Barth, Paulenbach, and Deal criticized Polanus for departing Reformation theology on account of depending theology on philosophy, especially, Aristotelian logic. A close examination on Polanus’ primary sources, however, shows that he, indeed, used philosophy both Aristotelian and Ramist but did not sacrafice theological doctrines as a result of basing theology on philosophy with respect to doctrinal content, rather grounding his theology on Scripture, the universal content of all people, church’s witness, and true reason. Many tables of theological distinctions as provided in his writings enable the readers to grasp a grand picture of theology by which they can perceive the theolog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doctrines so that a partial or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each doctrine may be overcame by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whole theological system. Examining Polanus’ theological structure and contending the argument that there is a doctrinal discontinuity and gap between Reformation and post–Reformation eras, this paper intends to argue that the doctrinal systematization and structural unification of Reformed orthodoxy is not the departure from Reformation theology but a result of methodical effort for the systemic preservation of revelation–centered, scripture–dependent theology already established by the Reformers.

      • KCI등재후보

        언약의 통일성

        한병수(Han Byung Soo)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1 No.-

        본 논문은 신구약 혹은 언약의 통일성을 논한다. 이런 주제와 관련하여 종교개혁 시대의 존 칼빈과 정통주의 시대의 사무엘 러더포드 견해를 비교하며, 종교개혁 시대와 정통주의 시대에도 언약의 통일성이 강조되어 왔음을 보이고 현대의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는 두 시대간의 극단적인 단절성에 대한 반례도 제공하려 한다. 언약의 통일성 개념은 종교개혁 당시의 칼빈에 의해서도 고백되어 왔고 이후의 정통주의 시대에도 보존되어 왔으나 언어의 미세한 차이를 보면서 각자가 처한 환경에서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의 차이로 인하여 강조점과 정교함의 정도가 달랐다. 당연히 종교개혁 신학과 정통주의 신학의 단절이나 대립은 최소한 칼빈과 러더포드 안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본 논문은 주장한다. 비록 러더포드 언약론에 법언약 혹은 국가적 언약의 통일성 개념이 추가되어 있지만 종교개혁 언약론의 통일성을 버리거나 왜곡하는 것은 전혀 없기에 러더포드 시대의 과제를 해소하는 고백적 경계선 안에서의 노력으로 이해함이 좋을 듯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nity of covenant or between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With regard to this issue, I intend in this paper to demonstrate, by comparing the views of John Calvin in Reformation era and of Samuel Rutherford in orthodox era, that the unity of covenant, as in the patristic and medieval ages, was also underscored in the eras of the Reformation and orthodoxy, thereby providing an evidence in opposition to the assertation of some contemporary scholars that there is a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eras. With the case of Calvin and Rutherford,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indeed, a difference in emphasis of covenantal character between the eras, not in essence of their understanding of coven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