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lginate의 Na 흡착효과와 다시마 첨가 김치의 개발

        하정옥(Jung-Ok Ha),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여러 식이섬유의 Na흡착효과를 측정하였고 다시마내의 alginate의 Na 흡착능을 측정하고 다시마 첨가김치의 소금(Na) 흡착기능으로 저염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려고 하였다. 여러 식이섬유의 표품으로 Na흡착효과를 시험한 결과, alginate와 sodium alginate, 그리고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가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Sodium alginate는 산에서도 용해된 상태로써 위장에서부터 Na를 흡착하여(29.9%) 소장까지 내려가지만(33.8%) alginate와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는 소장의 알칼리 상태에서 32.3%와 27.4%의 Na흡착능을 보였다. 다시마내의 alginate함량은 건다시마의 경우 건조물당 22.2%, 염장다시마는 21.9%, 30분 침지 후 3회 세척한 염장다시마는 19.8%였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염장다시마를 세척한 다시마를 0.5×3 cm형태로 절단하여 김치레시피의 30%첨가한 김치를 제조하였다. 다시마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젖산균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김치에 비해 환원당 함량과 젖산균이 많았으며 발효속도는 다소 빨랐고 특히 다시마첨가김치는 대조김치와 다시마젓갈첨가김치보다 탄산미가 많고 군덕내가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다시마 첨가김치는 대조김치에 비해 수용성 식이섬유의 양이 건조물당 6.2%에서 9.2%로 증가되었다. In ordr to develop a low Na functional kimchi using sea tangle, the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in sea tangle along with other dietary fibers was evaluated in vitro. The adding type and amount of the sea tangle that contains alginate in kimchi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a tangle added kimchi were also studied. Na-binding capacity of various dietary fibers such as cellulose, pectin, gua gum, carageenan, alginates (sodium alginate, alginate, alginate from sea tangle) was measured by equilibrium dialysis method in pH 2 and pH 7 in vitro. Gua gum, carageenan and a group of alginates effectively bound to Na+. Espacially sodium alginate showed high Na-binding capacity of 29.2% in pH of stomach (pH 2.0) and 33.8% in pH of small intestine (pH 7.0), however, the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could not bind Na in pH of stomach (pH 2.0), but 27.4% in pH of small intestine (pH 7.0) condition. The content of alginate in sea tangles (dried sea tangle, salted sea tangle and washed salted sea tangle) was 19.8~ 22.2% on dry matter basis. The sea tangle added kimchi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the flake type (0.5×3 cm) of sea tangle with a quantity of 30% in kimchi from the data of the sensory analysis. The addition of the sea tangle to the kimchi increased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 suggesting the Na-binding capacity increased. The sea tangle added kimchi (SK) and sea tangle and fermented anchovy added kimchi (SAK) showed higher levels of reducing sugar and acidity than the control kimchi (CK). I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SK and SAK showed higher score in overall acceptance, and lower score in acidic ordor than CK, however, SK showed less moldy taste and more fresh acidic taste than SAK.

      • KCI등재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하정옥(Ha, Jung-Ok)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이 글은 대한민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하나로 2006년부터 시작한 <난임(불임) 부부지원사업>을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해명하고자 한 연구 질문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사업>은 여성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에서 출발하였는가? 이 <사업>은 협소한 의미에서의 생식 건강에 대해서도 아무런 고려가 전제되지 않았고 그러다보니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그리고 개인적·사회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없다. 오히려 여성의 생식 건강 개념이 축소·변형되는 결과를 가져와, 여성의 몸은 합계출산율의 분모와 분자를 생산 혹은 재생산하는 숫자로 취급되었고 또한 여성의 건강은 ‘저출산 대응’을 위해 도구화되었다. 둘째, 이 <사업>은 저출산의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사업>은 다른 저출산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지는 않는가? 이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불임과 저출산에 대해 그 원인 관계나 결과로서의 효과 측면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바 없고 주무 부서 또한 이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선행한 바 없다. 또한 저출산의 다른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조사나 연구도 수행된 바 없기에 정책 수행의 통합성을 기대할 수 없어서 과연 ‘저출산 대처’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 알 수 없다. 셋째, 이 <사업>은 그 명칭이 가리키는 바 과연 불임부부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가? 물론 아무런 공적 지원이 없는 상황과 비교한다면 재정 지원은 분명 도움이 되었지만, 지원과 함께 약제비 상승 등으로 인해 비용이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불임부부의 건강이나 행복추구보다는 숫자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여전히 당사자들을 대상화시키는 한계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hereinafter the “Program”), started in 2006 as one of the measures taken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deal with low fertility in Korea, in terms of the health of women and children and in terms of the actual effects.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id the “Program” start wit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for women"s health? Or rather, has the “Program” caused the concept of women"s health (including reproductive health) to change or deteriorate?; Second, can the “Program” be an effective measure to deal with low fertility? And does this “Program” not cause internal contradictions with other low fertility policies?; Third, does the “Program” live up to its name and actually really help couples with infertility? Are the actual beneficiaries the infertile couples or in fact the drug companies and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Program” and low fertility. In addition, it will analyze how national policy deals with women"s health in conjunction with the amendments of the “Maternal-Child Health Act” implemented since 2009, and previous analysis on the “Maternal-Child Health Program”.

      • KCI등재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과학과 젠더 개념

        하정옥(Ha Jung Ok)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1

        이 글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핵심 개념인 과학과 젠더를 켈러와 하딩, 하러웨이의 논의를 비교하면서 검토한다. 켈러는 본격적으로 과학과 젠더를 하나의 분석틀에서 다룸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가능성을 열었다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젠더 개념은 여전히 이데올로기이자 개인적 정체성에 머물고, 젠더 없는 과학으로 대안을 설정함으로써 “나쁜 과학”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하딩은 젠더의 다차원을 설정하여 기존의 젠더 논의의 혼란을 정리하였고 나쁜 과학이 아닌 “일상 과학”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분석 대상의 경계를 제거하였다. 그렇지만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이 인식론적 특권을 가질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찾으려는 노력과 서구백인중산층여성의 중심성을 탈피하고 여성들간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론적 성공을 거두지 못해 후반기에는 결국 생물학적 차이에 기반한 “여성적 입장”이라는 미완의 분석으로 남았다. 하러웨이는 “상황적 지식”의 부분적 시각 특권을 제시함으로써 다시금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을 질적으로 전환시켰다. 또한 그의 구성적 젠더 개념은 젠더를 고정된 주어진 변수로 다루지 않고 끊임없이 구성되는 변수로 다룸으로써 과학기술과 젠더를 상호 역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science and gender, the two most crucial concepts in the feminist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mainly by comparing E.F. Keller, S. Harding, and D.J. Haraway. Keller is well said to create the potentiality of feminist STS to be an individual sector by analyzing science and gender in one frame in earnest. However, her gender concept still only stayed on ideology, individual-focused identity, and criticism over "bad science." Harding, on the contrary, recognized the multi-aspects of gender, settling down the traditional confusions around the gender discussion, and focused on "science as usual" rather than bad science for analysis, clearing off the boundary among what to analyze in the feminist STS. However, as her efforts to find out a common ground to hold epistemological privilege and her attempts to get out of focusing on the Western/middle class/white women and to take differences among women into consideration could not bring a theological success, her elaboration dropped into a biological difference-based "women's standpoint" in the later. DJ. Haraway upgraded the feminist STS into another quality of dimension again as she presented a partial perspective privilege of the "situated knowledge." Moreover, she made it possible to make a dynamic analysis of science and gender by regarding gender as a constantly-in-the-making variable rather than a fixed given one.

      • KCI등재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하정옥(Jung-Ok Ha)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2

        이 논문은 2006년 ≪제1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입안과 함께 시작되어 2015년 현재 10년째에 이르고 있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이하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사업>은 저출산 대응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시술 결과 태어나는 아기들이라는 가시적 효과를 산출하면서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은 이같은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며, 국민의 생물학적 재생산 과정에 국가가 개입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알려져 있다시피 <사업>의 핵심내용은 출산을 원하지만 임신이 어려운 남녀에게 보조생식술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두고 그간 난임부부의 오랜 숙원이었던 처치비용의 공적 지원이 이뤄진 것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지만, 이것을 행복추구권 혹은 건강권의 증진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한 인식이다. 첫째, <사업>은 한국사회 가족가치의 변화에 조응하지 못한 인구정책이다. 이미 입안 당시에 일상인이 갖고 있는 가족 가치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이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은 법률혼 부부만이 부모가 될 수 있다는 기존의 모델을 그대로 전제하여 추진되었다. 둘째, <사업>의 시행으로 보조생식술의 수요가 창출된 측면이 있다. 사업의 필요성을 강변하기 위해 ‘불임 진단자’의 증가를 ‘불임인구’의 증가로 대체하는 것은 국민의 재생산 건강에 대한 지표를 호도함으로써 정작 필요한 재생산 지원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셋째, <사업>으로 인해 한국의 체외수정시술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증가는 여성과 아이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지원의 프레임을 인구정책으로부터 의료복지로 전환하고, 정책의 목표 또한 단순한 출산장려가 아니라 여성과 아이의 건강 증진으로 바꾸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정책의 대상을 (특정 형태의 가족구성원으로서의) ‘부부’가 아니라, 의료비 지원을 필요로 하는 개인으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The article seek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National Support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This program bega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06 "First Basic Plan on Low Fertility and the Aging Society" and remains in force to the present (2015). It is widely believed to have been successful insofar as it has delivered visible results as a means by which to counter low birth rates. What"s more, by provid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related financial support, it has allowed infertile couples to defray fertility medicine-related costs. Hence, in certain quarters, it is considered to be a policy that has enabled the realization of health-related rights (i.e. the right to reproduce) and/or the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This article seeks to critique three broad aspects of the project. First, the project is a population policy that has not kept up with changes in family values. Even as there was a perception of such changes in family values at the time of the project"s introduction, the project was still premised only upon giving birth-related aid to couples who had unions recognized by the law. Second, though the project"s very implementation has created demand, "those diagnosed as infertile" have become "infertile members of the population" thus glossing over the need for the policy. Lastly, the project has resulted in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number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operations, and this increase has negatively impacted the general health of women and children born as a result of such procedures.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re is a need to shift the provision of aid for ART from a population policy paradigm to a medical welfare paradigm. Policy should not aim to raise birth rates, rather it should aim to improve the health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Moreover, in the long run, such policies should not target couples (as the members of a particular kind of family), but provide individuals in need with assistance in defraying medical expenses.

      • KCI등재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하정옥 ( Ha Jung Ok ) 한국과학사학회 2014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30-year history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Korea in terms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on IVF have consistently ranked South Korea as one of the countries with highest average number of embryo transferred. The continuous rise of IVF treatment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the multiple births in the country almost twice over the last 20 years. However, multiple births can be risky to the health of newborn babies. In general, countries, which have established national registries and conducted follow-up surveys on the children conceived via IVF treatments, show substantial decreases in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In South Korea’s case, there are no accurate records or follow-up surveys on babies born via IVF. Though there are clearly many reasons why this situation exists,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ra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In countries where expert organizations were actively involved in establishing governance for IVF, it was possible to prevent increases in multiple pregnancies and lower the health risk of newborns. This strongly shows that the proper control of these technologies is possible when expert organizations take full responsibility and make active and dedicated efforts to institutionalize the outcomes of their work.

      • KCI등재

        한국 생명윤리 담론의 탈젠더성에 대한 비판

        하정옥(Ha Jung-Ok)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이 글은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생명윤리 담론의 탈젠더성을 비판한다. 한국에서 생명윤리 담론은 최근의 연구부정 행위 논란뿐만 아니라 이미 1990년대 말부터 이 기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주류를 형성한 바 있다. 이 글이 비판하는 생명윤리 의제의 탈젠더성은 난자와 배아의 탈구화로 집약되는데 이는 난자와 배아가 그것이 배태된 여성의 몸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그것을 얻는 구체적 장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가리킨다. 2006년을 전후로 난자가 윤리적 의제로 부상한 상황에서조차 난자의 탈구화는 여성의 몸을 “인체”로 호명하고 그것이 생명윤리의 의제화가 되는 정당성 또한 체세포복제배아 연구가 수많은 난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거나 여성의 몸에 상당히 침투적인 시술을 수반하기 때문이 아니라 난자가 배아가 될 존재라는 것으로 제시한다. 생명윤리 의제의 탈젠더성은 단지 그것이 여성의 몸을 보지 못하는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 기술 개발을 둘러싼 맥락 가운데 한국 사회의 성별 정치가 자리잡고 있음을 보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렇듯 생명윤리 의제의 탈젠더성은 이 기술이 재생산 장의 여성의 몸을 필요로 함을 보지 못하고 그 결과 이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인가라는 핵심적인 질문을 던지지 못하는 한계를 갖게 된다. 이 글은 이러한 생명윤리 의제화에 대한 비판을 통해 과연 과학기술에 대한 젠더 이슈란 무엇인가 또한 고찰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ize the degenderedness of bioethics discourse around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The bioethics discourse in Korea has been the mainstream in the criticism of this technology since the late of 1990s. The degendereness of the bioethics agenda can be encapsulated into the disembodiment of oocyte and embryo, which refers to the coming-off of oocyte and embryo from women’s body and the clinical settings. Even in about 2006, when oocyte was raised as a core ethical agenda, the disembodiment of oocyte was presented under the basic assumption that a woman’s body is referred to as “a [general] human body.” And the oocyte became the critical agenda justified by the fact that the oocyte would be an embryo, not by that the research on cloned embryo needs lots of oocytes or enormously invasive operations on women’s body. The degenderedness of the bioethics agenda has the limits in that it cannot see women’s body nor can be aware of the role of the gender politics in the drastic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in Korea. This leads to a fundamental drawback that it dismisses a core question whether th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the research requiring a woman’s body as a reproductive setting. In this paper, I intend to examine what is the gender issue around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by criticizing the bioethics agenda. What is the target of the gender analysis? Is it just the appearance of a line of women for donating their oocytes? By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ses questions, I will deal with what should be focused in analyzing the gender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일상의 변동, 그리고 전/근대-식민/제국의 지식생산과 성별분업

        하정옥(Ha, Jung-Ok)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한글로 출판된 《가정보감》을 분석한다. 《가정보감》은 1910년대부터 상업용 출판으로 여러 종이 간행되었고 해방 후에도 2000년대까지 꾸준히 간행되었다. 식민지 시기 《가정보감》의 주요 내용은 한글과 셈법, 서간문의 각종 형식, 의례절차, 술수, 응급처치, 지리 정보 및 각종 행정 서식이다. 표제어 ‘가정’에서 언뜻 추측되는 것과는 달리 《가정보감》은 여성용 도서가 아니라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정보감》은 당대 일본이나 유럽에서 발간된 가정백과사전이나 식민지 조선에도 소개된 가정학 교과서와 다르다. 가정백과사전이나 가정학 교과서는 명확히 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또한 (서구) 근대 과학 지식을 가정 영역에 적용하려는 의도를 가진 반면에 《가정보감》은 당시 식민 당국이나 지식인이 ‘미신’으로 범주화한 술수에 관한 내용을 상당한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오히려 《가정보감》은 조선 후기에 활발히 간행된 일용유서와 그 목적 및 내용을 교감한다. 《가정보감》이 다루는 내용은 일상의 운용에 필요한 지식이며, 《가정보감》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꾸준히 판매되었다는 점에서 당대 일상의 영역이 표준화된 지식을 필요로 하게 되었음을 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의 내용이 단순히 ‘근대적’ 지식이 아니라 전근대-근대 또는 전통-현대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으며 지식의 운용 주체 또한 성별 분업에서 복잡한 변동을 겪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가정보감》은 그 제목이나 일부 내용을 동시대 또는 19세기 중국이나 일본에서 편찬된 책에서 가져오기도 하지만, 거꾸로 식민지 조선에서 발간된 《가정보감》의 내용을 인용하는 책이 1920년대 말 일본에서 발간되기도 한다. 즉, 동아시아 국가 간에 그리고 제국-식민지 간에 지식의 일방적 전달이 아닌 상호 교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Gajeong Bogam (家庭寶鑑, Household Treasure), a book so highly-valued it was considered a must-read for every household. First appearing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Gajeong Bogam acquaints the reader with various categories of information including Hangeul (the Korean alphabet), basic mathematical operations, diverse manuals for the writing of letters, traditional ritual processes, shushu (checking one’s dispositions, choosing special days, diverse taboos, etc.), first aid, geography, and a variety of administrative functions. Although the title ‘household’ suggests a deeper significance for women, Gajeong Bogam was in fact designed for both women and men. In this respect it differs from other household encyclopedias published in Japan and Europe, as well as those household textbooks, in that these were clearly targeted at women alone and aimed to extend modern scientific (western) knowledge into the household realm. Gajeong Bogam, in purpose and content, had much in common with an Iryong Yuseo (日用類書, Daily Encyclopedia) serie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18th and 19th centuries). From the fact that Gajeong Bogam presen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daily life and continued to be distributed and sold, it could be inferred that even one’s daily existence in Korea began to require a standardized form of knowledge. The knowledge required, however, was not just ‘modern’ but was, more accurately, a cross between pre-modernity and modernity, or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knowledge. The book also reflects the fact that the operators and managers of daily knowledge and lifestyles had changed in terms of the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While the title and some of the content of Gajeong Bogam are a reflection of the books published in China and Japan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some parts that were published in colonial Joseon were cited in other publications in Japan as late as the late 1920s.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of knowledge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s well as between empires and colonies.

      • 한국 대학생의 학문 공동체 윤리에 관한 연구

        하정옥 ( Ha Jung-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학문 공동체 윤리에 관한 것으로, 경기 소재 4년제 종합대학교 대학생 1,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에 기초하여 한국 대학 사회의 학문 공동체 윤리 현황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대학생들의 학문 공동체 윤리 상황은 매우 심각하였다. 매우 많은 학생들에게서 다양한 위반 경험이 보고되었는데, 특히 인터넷 자료 짜깁기 경험은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험한 바 있으며 또한 그 어떤 행위보다도 자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위반 경험 양상은 각 행위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와 조응하여, 엄격한 평가를 내리는 항목일수록 덜 위반하였고 허용적인 기준을 갖고 있을수록 더 많이 위반하였다. 이러한 위반 경험과 행위에 대한 평가는 개인적 요인과 맥락적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가장 유의미한 맥락적 요인으로 지적된 동료들의 행위에 대한 대응이라는 문항을 가지고 개인적 요인과의 설명력 비교를 해 보았을 때, 성별이나 학년·소속 같은 개인적 요인보다는 맥락적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문적 충실성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의식 변화와 그것을 견인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함께 갖춰져야 한다. 한국의 대학 사회가 학문 공동체 윤리 정립에 대해서 특히 제도적 정비가 아직은 많이 미흡한 상태이지만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academic ethics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made for 1,200 students of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earch shows a seriously scant regard for ethics of the college students. Numerous cases of ethical violation were reported; most students have plagiarized another person’s postings from the Internet, which turned out to be the most common misdeeds in the campus. And the level of transgression corresponded with the student’s evaluation of each deed, - in case of a deed they usually consider highly immoral, they showed the tendency of less violation of it; when they have more permissive standard toward a deed, they violated it more often. These ethical transgression and violation of college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individual factor and contextual factor. To see which explains the students’ethical sense better, I compared the individual factor with the response to the peer behaviors, which was pointed out as the most significant contextual factor in many precedent studies on this subject. The result proved that the contextual factor has stronger influence on the transgressions and violations. To boost academic integrity in the universities, the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ethical awareness, and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bring about and spearhead the positive change in students needs to be set up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universities in Koreaare still lack of such institutional framework to establish the academic ethics; however, further chang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need for such system is widely shared.

      • KCI등재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하정옥(Ha, Jung-Ok)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2

        이 논문은 새로운 임신 기술이 수반하는 '위험'에 대해, 특히 체외수정(IVF) 기술로 태어난 아이들 건강 조사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흔히 시험관아기로 불리는 이 기술은 불임부부에게 자신의 아이를 가질 수 있는 희망을 준 기술로 찬사를 받았고 전 세계에 널리 확산 되었다. 그런데 이로부터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에 대한 우려가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제기 되었다. 이러한 우려는 아이들에 대한 추적조사 자료와 함께 실증적으로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체외수정 시술에서 한 번에 이식하는 배아의 수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러한 추적조사가 거의 이루어진 바 없고 한번에 이식하는 배아의 수도 그동안 별 변화가 없었다. 이와 함께 전체 출생 인구에서 다태아가 차지하는 비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 다른 한편, 전 세계적으로도 아이들에 대한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반면 이 기술이 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소수의 연구가 있을뿐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기술 '위험'의 인지와 대책 마련에서 지구적 불균등을, '위험' 문제구성에서 성별 정치의 일면을 읽을 수 있다. 또한 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고 어떤 대책이 마련되는가를 보면 기술 위험의 사회적 구성 또한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risks of technology,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health outcome surveys and follow-up of children born through IVF (in vitro fertilization, also known more colloquially as test-tube babies). From the early stage of IVF's development, the disabilities of children born through IVF was the key target for risk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follow-up studies of the children born through IVF have been working through samples or complete enumeration surveys in mostly European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health outcomes of IVF children were relatively poorer than for other children, and the multiple pregnancies and births from multiple embryo implantations was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for this. Such an analysis result was followed by legislative or administrative regulation of the number of embryos allowed to be transferred in actual IVF practice. Risk management statu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Since the first 'test tube baby' was born in Korea in 1985, 235,000 cases were accumulated between 1992, when official reporting began, and 2007. However, no follow-up study of the children has been conducted nor has the official regulation of the number of embryos been transferred along with the technology. Even today, the rate of transferring 4 or more embryos in an IVF procedure is more than 50% in Korea, and the ratio of multiple-births to the total number of babies born began rapidly increasing in the 2000's. I suggest that the risk of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not just as a side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but as an essential part of those processes. Furthermor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risks, which considers risk according to the locality's statu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also be observed.

      • KCI등재

        배꼽수술부터 줄기세포까지

        하정옥(Ha, Jung-O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2 젠더와 문화 Vol.5 No.2

        이 글은 한국의 재생산 기술의 역사를 발전주의 비판과 여성주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일명 배꼽수술로 불린 난관 결찰술부터 시험관아기 시술을 거쳐 오늘날의 줄기세포로 대표되는 세포 유전학 연구까지 한국의 재생산 기술은 동일한 행위자에 의해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재원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선행하는 기술의 공세적 개발과 여성의 몸에 대한 급속하고도 광범위한 적용이 후속 기술의 빠른 정착의 주요한 선제 조건이 되었다는 점에서 이들 기술은 연속선 상에 있다. 재생산 기술은 여성의 몸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재생산 기술에 뒤따르는 결과는 인구통제이든 새로운 가족/국가의 구성원의 탄생이든 공동체의 미래와 직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재생산 기술의 실천은 여성의 몸과 공동체의 미래를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재생산 기술 역사를 관통 하는 일관된 틀은 성과 지향적 발전주의이다. 그 결과 여성의 몸과 공동체의 미래는 위험에 처하게 되지만 이 위험에 대한 문제 규정이나 대처는 모두 개인의 몫으로 돌려질 뿐 공적인 문제로 인식되지 않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nd the criticism of developmentalism, tracing a series of technologies―contraception technology (eg. laparoscopic tubal ligation), conception technology (eg. in vitro fertilization), and cytogenetic research (eg. stem-cell). Those technologies have been practised in the same field by identical actors and resources: They share a genesis. Moreover, the rapid and broad applications of preceding technologies on women’ bodies have set the stone of launching new technologies. The dominant frame of shaping the history of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Korea has been outcome-oriented developmentalism. In the meantime, the consideration of women’ bodies and community’ future has never been a public issue: Instead, risks related to reproductive technologies have been regarded as an individual issue and have been managed by each individual or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