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아이티 혁명의 기억과 블랙인터내셔널리즘 - 에메 세제르와 C. L. R. 제임스의 비교 연구 -

        하영준 이주사학회 2019 Homo Migrans Vol.20 No.-

        이 연구는 프랑스령 카리브 식민지 마르티니크 출신의 세제르(Aimé Césaire)가 쓴 희곡 《크리스토프 왕의 비극(1963)》과 영국령 카리브 식민지 트리니다드 출신의 제임스(C. L. R. James)가 쓴 희곡 《블랙 자코뱅(1967)》을 비교 연구한다. 그리고 이들의 논의를 역사적으로 검토하면서 평면적 비교에 그치기보다는 상호 관계-차이와 긴장-에 관심을 둔다. 기존의 지배적 가정, 즉 제임스가 1938년에 쓴 역사서 『블랙 자코뱅』이 아이티 혁명과 관련된 세제르의 저작들 영향을 미쳐다는 가정과는 달리, 세제르가 1967년의 제임스의 《블랙 자코뱅》의 수정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가정에서 두 작품 사이에 관계를 분석한다. 이들 작품은 스콧의 문제 공간 개념을 활용하자면 아이티 혁명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에서 반식민주의적인 서사에서 탈식민주의적인 서사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리고 근대성과 탈식민화에 대한 흑인 급진주의 사상과 블랙인터내셔널리즘 내에 존재하는 이론적ㆍ정치적 긴장과 차이를 드러낸다. This study compares The Tragedy of King Christophe: A Play written in 1963 by Aimé Césaire from the French colony, Martinique, with the play, the Black Jacobins written in 1967 by C. L. R James from the British colony, Trinidad.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differences and tensions between the two work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not the simple comparison. Until now, researchers have assumed that Césaire’s works on the Haitian Revolution were influenced by James’ famous historical book, The Black Jacobin, written in 1938. Bu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assuming that Césaire exerted some influence on James' play, The Black Jacobins(1967). To use David Scott's ‘problem-space’ concept, The two works are associated with a shift from anti-colonial narrative to post-colonial narrative in reconstructing memories of the Haitian revolution. And they also reveal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differences and tensions in Black internationalism and Black radicalism on the conception of (Western) modernity and post-colonialism.

      • Mass Dictatorship and Transnational History: “Exploring the Conceptual Basis for the Connection”

        하영준 이주사학회 2013 Homo Migrans Vol.8 No.-

        Mass dictatorship as a working hypothesis originated in these post-dictatorial situations as the problematic emerged after Ko- rea’s democratization. It is not about justifying dictatorship as an indispensable condition of modernization. It is an attempt to illu- minate the violent nature and the mechanism behind modernization and nationalization endlessly reproducing the desire of the masses for dictatorship. The Idea of mass dictatorship centers on dictator - ship as a ‘normal exception’ of a nation-state. It takes the ‘excep - tion’ of dictatorships as a prism through which the ‘normality’ of the nation-state system is revealed as a product of violence and oppression. In other words, the mass dictatorship project is an at- tempt to grasp the workings of power by the nation-state, through getting to the bottom of the mechanisms of modern power and con- sent supporting the system of dictatorship. By dealing withthese problems, it opens the door to think out the possibilities of a trans - national history stimulating and developing critical imaginations regarding the nation-state system.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is not very clear. On what foundations, is Mass dictator - ship transnational?What exactly does the appellation‘transnational’ stand for in Mass dictatorship?This paper will scrutinize the links between Mass dictatorship and a transnationalperspective for his- tories.

      • 題款의 조형적 특징 硏究

        하영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6 문화와예술연구 Vol.7 No.-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매우 큰 테마이 다. 그러나 화면상에서 간단하게 알 수 있는 차이점은 그림에 있는 글씨 와 도장이다. 동양화는 形과 色 이외에 이러한 글씨와 도장 그 자체도 예 술적 조형요소가 되며 또한 도장은 신용의 상징으로 문서에 찍혀져 진품 임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서예가나 화가가 자기 작품에 서명이나 시 문을 적어 넣고 도장을 찍는 것을 題款이라고 한다. 제관은 그림이 그려지게 된 내력이 적혀있거나 친구나 뒷사람들의 감상 소감이 적혀 있다. 그러므로 제관의 내용을 이해해야 그림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이 제관을 풀이할 수 있다면 작품 감상에 역시 도움이 되며 대개 저명한 文人들이 많이 쓰므로 그 筆體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동양화는 이러한 제관과 그림이 어우러져 완전한 한 폭의 그림이 되는데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가 문제가 된다. 그림 ․ 서예 ․ 도장의 결합은 동양화의 예술 특유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동양화의 구도에서는 어떻게 제관을 할 것인가 하는 특수한 문제 가 발생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제관의 조형적 특징을 6가지 나누어 분 석하였다. 1. 전체 화면의 범위를 확정한다. 2. 색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3. 감상을 풍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4. 화면에 변화가 부족한 것 을 보충한다. 5. 경물을 충당하는 작용을 한다. 6. 호응작용을 통하여 정 신과 눈길을 끈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This is a very crucial underlying theme. The salient difference we can notice with ease is letters and seals in paintings. Apart from form and color, such letters and seals can be formative elements. Affixing one's seal plays the role of proving a work of art is authentic. Adding seals to signatures or verses a calligrapher or a painter writes or draws on their work is referred to as “jegwan”. As a history of producing some work or a feeling of appreciating the work is added to jegwan, we can properly appreciate a painting only when we understand this jegwan. Interpreting jegwan is conducive to appreciating a work of art. As celebrity men of literature usually write jegwan, we could have a good opportunity to feel their calligraphic style or their traces. Intrinsic to Oriental painting or Eastern art is a marriage of painting, calligraphy, and sealing. With this a specific problem arises: how to make jegwan in the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This thesis considers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jegwan, analyzing its formative hallmarks, focusing on the following six points: 1) what decides the scope of the entire scene, 2) what works to regulate colors, 3) what works to enrich our appreciation, 4) what makes up for lack of change in the scene, 5) what works to supplement the scenery, 6) what draws our attention through its responsive operation.

      • KCI등재

        Anti-inflammatory and Neurotrophic 2H-1-Benzopyran Derivatives of Chaenomeles sinensis

        하영준,이태현,Lalita Subedi,김혜령,문규리,Sun Yeou Kim,김충섭 한국생약학회 2022 Natural Product Sciences Vol.28 No.1

        Two 2H-1-benzopyran derivatives, methyl 8-hydroxy-2,2-dimethyl-2H-1-benzopyran-5-carboxylate (1) and methyl 8-hydroxy-2,2-dimethyl-2H-1-benzopyran-6-carboxylate (2), including a new compound (1) were isolated from the twigs of Chaenomeles sinensis.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ased on analysis of NMR data including 1H and 13C, COSY, HSQC, and HMBC and HRMS data. The isolated compounds (1 and 2) were assessed for their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y by measuring inhibition levels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BV-2 cells and for their neurotrophic activity by the secretion of nerve growth factor (NGF) in C6 cells. Compounds 1 and 2 exhibited powerful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with IC50 values of 17.14 and 19.30 μM, respectively, without cell toxicity, and also showed moderate effects on the stimulation of NGF secretion levels with 113.15 ± 3.54 and 130.20 ± 8.03%, respectively. The biosynthetic pathway of 1 and 2 was proposed that they would be derived from a protocatechuic acid and an isoprenyl unit.

      • KCI등재

        儒家ㆍ道家의 意境 類型 考察

        하영준,나옥자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5

        의경은 ‘言志說’에서 출현하여 『易傳』의 ‘入象眞意’란 명제를 통해 ‘象’의 특수한 기능을 인식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 개념은 문학 예술가들에 의해 ‘意象’이라는 단어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唐代에는 ‘의상’ 외에도 ‘境’ 또는 ‘境界’를 비롯해서 ‘의경’이 비평용어로서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다. 의경은 여러 가지 층위의 개념을 지니고 있는데, 1차적 개념은 작가가 창작구상 중에 情景交融을 통해 떠올리는 의중의 형상, 곧 審美意象으로서 이때의 의경의 존재 층위는 작가이다. 2차적 개념은 작가 의중의 형상을 표현한 예술형상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의경의 존재 층위는 작품 자체이다. 의경의 이 두 가지 개념은 전통적인 의상의 개념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의경의 본질적인 특징으로서 ‘상’과 ‘象外之象’의 관계에 주목해야한다. 작품 속에 창조된 유한한 예술형상이 상상의 세계로 이끌고 나아가 어떤 정취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면 의경을생성하였다고 말할 수 있는데, 상상의 공간 구축과 정취 및 분위기의 창조가 곧의경의 제3차적인 개념이다. 그런데 이 제3차적인 개념은 예술형상으로 직접 표현되지 않은, 이면에 내포된 함의이기 때문에 감상자의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감상자는 유한한 예술형상을 통해 상상의 공간으로 진입해야 하며 정취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3차적인 개념의 의경 층위는 감상자라고 해야 할 것이다. 『周易』은 八卦로 8개의 기본적인 사물을 대표한다. 우주 만물은 바로 이 8개의 기본 유형이 진화 발전한 것으로 팔괘가 64卦, 384爻로 진화함으로서 우주만물을 상징하게 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팔괘는 음과 양의 두 효로 나룰 수 있는데, 陽剛과 陰柔는 가장 기본적인 의경 유형으로 모든 의경은 이 두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劉勰은 『文心雕龍』에서 詩品을 ‘八體’로 나누었는데 첫째, 둘째자리를 차지한 것은 ‘典雅’과 ‘遠奧’이고, 司空圖의 『二十四詩品』 중 첫째, 둘째 자리를 차지한 것은 ‘雄渾’과 ‘沖淡’으로 이 두 쌍 중 한 쪽은 유가의 최고 이상이고, 다른 한 쪽은 도가의 최고 이상이다. 유가를 숭상한 사람은 언제나 전아· 웅혼의 양강의 미를 으뜸으로 여겼고, 도가를 숭상한 사람은 충담·원오의 음유의미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런 유가와 도가의 의경의 차이는 다시 ‘농담’과 ‘신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름답게 채색하고 아로새긴 아름다움[錯彩鏤金]’인 ‘濃’과 ‘물에 핀 연꽃의 아름다움[出水芙蓉]’인 ‘淡’은 의경의 ‘경’에 착안하여 전체적 경계를 논한 것이다. 의경의 ‘의’에 착안할 경우에는 유가와 도가의 이상적 경계 문제가 神·逸 논쟁으로 표현된다. Euigyeong (意境)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expressing one’s intention (言志說) and evolved into perceiving the special function of “images(象)” through the proposition ipsang jinui (立象盡意) referring to conveying mean ing with images. This concept of images has been widely adopted by literary persons through the term “euisang(意象)” and the term “euigyeong” along with “gyeong(境)” and “gyeonggye(境界)”. Euigyeong can be defined with multipronged concepts. The first concept is the image of an artist’s intention or an aesthetic image that is come up with through a fusion of emotion with a real scene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creation.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definition is the artist. The second concept refers to an artistic image representing an artist’s intention.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definition is the artwork itself. As these two concepts of euigyeong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euisang ,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images(象) as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 of euigyeong and images beyond images(象外之象) or the outside of images. If some finite images in a work of art lead viewers to a world of imagina tion or arouse some mood or atmosphere, we can say that this work has molded euigyeong . The third concept of euigyeong may be associated with any forging of imaginary space generating a mood or atmosphere. An appreciator’s accurate perception is required to grasp this third concept of euigyeong since it is merely an inner connotation without any firsthand representation of artistic images. That is, the appreciator has to be able to enter an imaginary space and feel the mood or atmosphere through finite artistic images. Accordingly, the subject of euigyeong in this third definition is the appreciator. In the I Chingor Classic of Change seight hexagrams refer to eight basic things. All things in the universe can be represented with 64 hexagrams and 384 trigrams evolved from these eight hexagrams. To arrange this again, the eight hexagrams can be divided into the two trigrams of yin and yang. Potent yang and gentle yin are the two most fundamental types of euigyeong : All euigyeong is derived from these two types. Liu Xie in his book The Literary Mind and the Carving of Dragon (文心雕 龍) classified the grades of poetry into eight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m, the first and second traits are “refinement” and “profundity” while the first and second traits Sikong Tu classified in his book Twenty-Four Grades of Poetry (二十四詩品)are “sublimity” and “modesty.” The former is an overriding ideal of Confucianism while the latter is the crowning ideal of Taoism. Those respecting Confucianism have always regarded the beauty of refinement, sublimity and potent yang as best while those revering Taoism have highly appreciated the beauty of modesty, profundity, and gentle yin. The difference of euigyeong in Confucianism and Taoism can be distinguished by nongdam (濃淡) and sinil (神逸). The “nong(濃)” referring to “beautifully colored or engraved beauty” and the “dam(淡)” meaning “the beauty of lotus flowers flourishing in water” are the concepts to discuss the boundaries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terms of “gyeong” of “euigyeong.” The concepts such as “sin(神)” and “il(逸)” can be adopted to discuss the matter of an ideal border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terms of “eui” of “euigyeo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海上畵派 花鳥畵의 造形性 硏究 - 任伯年⋅虛谷⋅吳昌碩을 중심으로

        하영준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The Shanghai School was composed the new atmosphere in the traditional picture to accept the west picture of the color, clear sense of the times, Clear product of the work and the symbol of sanction. Because this was able to share all the classes with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specific classes together immediately. It is the vitality of the Shanghai School. In this paper, the scene composition and the blank space of the Shanghai School was cornerstone of modern picture in China with new sense of the times that I studied the processing method to a moulding center of the modern picture. The structure of the screen is one of indispensable elements in the moulding art. Important thing is immediately ‘the blank space’ processing method in such structure. The processing of the blank space is very important in China art. However, the `blank space' processing methods are different every writer in the picture. The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of Ren bonian used a screen structure of the ‘古’ a model. The lower column of the screen makes the blank space of various shape as the space of the ‘the contents’ and the upper portion in space of the ‘the air’ takes out some branch from the lower column then, it expressed the Book of Odes of garden on the drawing a small bird. Xu Gu has importance to ‘中’ a model of constituting top and down that make empty which is excellent and outstanding. In addition, it used slant pencil line which arranged the blank space of the ‘井’ a model for repetition, and the form is a square but the screen constitution is round. It is one of an importance characteristics of his painting that the constitution of ‘女’ a model of Wu Changshih through blank space of the trapezoid. For this, he used diagonal line structure and left under angle of the screen for removing structure premeditatedly. 본 논문은 화조화의 조형성을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화파는 동⋅서 문화의 충돌과 융화를 촉진하면서 중국 근대회화의 초석이 되는 ‘해상화파’로 이 화파의 임백년⋅허곡⋅오창석의 화조화를 중심으로 구도와 여백 처리방식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인화가 지닌 정신성을 바탕으로 현대회화의 조형성을 접목시키고자 한 것으로 전통 문인화에서 현대 문인화로 재창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백이십여 년 전 중국의 상해는 오히려 기형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었다. 아편전쟁으로 인해 상해항구가 개방되면서 상해는 계속적인 발전을 통해 중국의 최대 상업도시를 이룩하는 동시에 국제성을 띤 대도시로 성장했다. 상해의 경제와 문화는 동⋅서 문화의 충돌과 융화를 촉진하면서 중국 근대회화의 초석이 되는 ‘해상화파’를 출현시켰다. 해상화파는 색채와 구도를 통한 선명하고 뚜렷한 시대감각과 작품의 분명한 상품성, 제재의 상징성, 서양회화의 수용 등의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회화에 새로운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화면의 구도는 조형예술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의 하나이고, 이러한 구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바로 ‘여백’ 처리방식이다. 그러나 회화에서 ‘여백’ 처리방식은 작가마다 다르다. 임백년의 화조화는 ‘古’자 형의 화면 구도를 애용하였다. 화면의 하단은 실(實)의 공간으로 다양한 모양의 여백을 만들고, 상단은 허(虛)의 공간으로 단지 몇 가지를 하단에서 끄집어내 그 위에 작은 새를 그려 전원의 시경을 나타내었다. 허곡은 ‘중축선(中軸線)’ 화면 구도를 중시하여 위⋅아래가 비어 뛰어나고 빼어나다. 또한 그는 사선적인 필선을 사용하여 ‘井’자 형의 여백을 반복적으로 배열함으로써 형태는 네모나나 화면구도는 둥글다. 오창석의 ‘女’자 형의 구도에서 발견되는 사다리꼴의 여백은 그의 그림의 중요 특성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그는 대각선 구도와 화면의 左下角을 없애는 구도를 자주 사용하였다.

      • KCI등재

        ‘書畵同源論’의 ‘源’의 의미 고찰

        하영준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In terms of the hist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development, a conflation of calligraphy with painting first appeared in the Tang era. The creation of painting was made by Wen Tong, Su Shi, and others using calligraphic brushwork during the Song Dynasty. The “Theory on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同源論) based on the same method of brushwork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firmly settled by Zhao Mengfu and Kejiusi during the Yuan Dynasty. As the problem of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yoked with the matter of “literati painting,” an aesthetic standard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origin”(源) in the “Theory on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同源論) developed after Zhang Yanyuan in the Tang Dynasty comes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use of brushes in calligraphy and painting is the same in the process of aesthetic creation. This aspect is represented by Zhang Yanyuan’s observation that “One who is excellent in painting often writes with a good hand.” and “The technique of using the brush in calligraphy and painting is the same.” Second, the composition of calligraphy bears a parallel to that of painting. One letter in a work of calligraphy begins from one dot and one stroke of the brush, and a phrase is formed when the letters written like this are linked. The whole is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This is like the composition of painting. Third, calligraphy can be integrated into painting with a common denominator of “euigyeong” or artistic conception. This means both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aesthetically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subjective emotion. The two can be united in terms of “artistic conception”. What Zhang’s assertion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the same in the use of brushes” means is that the two are the same not only in brush technique and composition, but in artistic intention beyond form and composition. 서화(書畵)의 발전 역사의 각도로부터 보면 서화의 융합은 당대(唐代)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송대(宋代)에 이르면 문동(文同)과 소식(蘇軾) 등에 의해 서법(書法)의 용필법(用筆法)에 의한 회화창작이 이루어진다. 원대(元代)에 이르면 조맹부(趙孟頫)와 가구사(柯九思)에 의해 이론과 창작의 측면에서 서화의 ‘용필동법’을 바탕으로 하는 ‘서화동원론(書畵同源論)’이 확고하게 자리 잡는다. 이와 더불어 ‘서화동원’과 ‘문인화(文人畵)’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하면서 ‘서화동원론’이 서화의 심미표준으로 그 위상이 확립된다. 장언원(張彦遠) 이후 전개된 송·원대 이후의 ‘서화동원론’에서 근거로 삼고 있는 ‘동원(同源)’의 ‘원(源)’의 개념은 창작과정에서 세 가지로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예와 회화는 용필(用筆)에 있어서 동일하다. 둘째, 서예와 회화는 구도에 있어서 유사하다. 셋째, 서예와 회화가 각각의 ‘의경(意境)’을 공통분모로 하여 양자가 통일된다. 이것은 서예와 회화 모두 주관적 서정(抒情)를 표현하는 심미적 특성을 갖는다는 견해로 ‘의경’의 차원에서 양자가 동일하다 것이다. 결국 장언원이 말하는 ‘서화동체론’에서 말하고 있는 “서예와 회화는 용필에 있어 방법이 같다(書畵用筆同法)”는 것은 서예와 회화 양자의 공통점이 형태에서 찾을 수 있는 필법과 구도의 외재적 형식의 동일함에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재적 심미경계인 ‘의경’의 동일함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郭熙의『林泉高致』에 나타난 ‘遠’의 意境에 관한 硏究

        하영준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Guo Xi(郭熙) is a famous landscape painter and landscape theorists in Song Dynasty. he is also the most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landscapes painting. His painting style and the painting theoretical "Lin Quan Gao Zhi(林泉高致)" has a high academic value on Chinese painting history. In this paper, "Lin Quan Gao Zhi" of Guo Xi researched and analyzed after then it tried to explain Guo Xi's theory of creation in the base ideology 'Afar' to combine work. Firstly we was combined the Guo Xi's paintings from the view of history and social philosophy which based on the researching result. The Guo Xi's paintings idea on the connotation in Chinese philosoph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Afar' thought and The Guo Xi's 'Afar' were considered. Chuang-tzu(莊子) ideas and Ch'u(楚) the culture of the country happened in the next a sense of the esthetic way, for example, historical research. It was studied the example in the culture of Ch'u and thought of Chuang-tzu which happened the way of the esthetic appreciation and contemplation for 'Afar'. Finally it exposed to contemplate the way viz., cling to 'Afar' wait-and-see. Through the peculiar sight such a commonness life spirit and idea, which the Guo Xi's paintings idea was looked the side way of the spirit-peace. The Guo Xi's paintings idea gave a deep impact on Chinese art history, He suggested ‘Afar’ which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future generations of his articulation of the middle for his picture theory. Discuss about the concept of 'Afar' and more systematically, it was newly practiced in their work bold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omething that the older people did not. He created ideas paintings for 'Theory of Three-Afar(三遠說)' when practice was specifically. Thus, the theory is a way of linking the actual creation. He advocated 'Afar' idea in the Chinese Painting Thoughts for the first time and he had created a practical man, there can be no doubt. 곽희는 중국 북송대의 저명한 산수화가이자 이론가로 중국 산수화 발전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산수화풍과 화론서인 『임천고치(林泉高致)』는 중국 고대회화와 미학사상 연구에 있어서 학술적 가치가 대단히 높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양철학에서의 ‘원(遠)’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곽희의 창작이론의 근거인 ‘원’ 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원’에서 일어난 심미관조(審美觀照) 방식인 ‘신유원관(神遊遠觀)’을 장자의 사상과 초나라의 문화를 예로 들어 고증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조방식에 드러나 있는 ‘상평원(尙平遠)’ 사상을 우주의 정체성을 표현한 평담한 생명정신이라는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원’에 나타난 ‘심령(心靈)의 안돈(安頓)’이라는 의경(意境)을 살펴보았다. 곽희의 회화사상은 동양 회화사에 깊은 영향을 주었는데, 그의 화론 가운데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그가 제시한 ‘삼원설’이다. ‘원’의 개념에 대해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논하고, 자신의 작품 안에서 대담하게 새롭게 실천한 것은 이전 사람들이 하지 못했던 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그가 ‘원’ 사상을 작품을 창작할 때 구체적으로 실천하였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