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구축 및 사용성평가

        임명준(Myungjoon Lim),표경선(Kyung-Sun Pyo),이금주(KuemJu Lee),박지영(Jiyoung Park),최현(Hyun Choi),권효순(Hyosun Kweo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1 No.2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에서 접근성이 부족하여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스마트홈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스마트홈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평가는 시나리오기반사용경험평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평가, 그리고 심층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휠체어 사용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사용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존 거주지에 비해 구축된 스마트홈의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층설문 결과, 스마트홈 내부의 부분적인 개선 요구사항 또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홈 구축 시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주거환경 구축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elchair users found difficulties in living independently in their house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The state of the art smart home technology may enable wheelchair users to live independently. In this study, we built a smart home, and tested its usability with three community dwelling wheelchair users. Three evaluation methods such as scenario-based test, K-IADL(Korea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test,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ll three users responded positively for using the smart home. Through this study, we also found several necessary amendments in building smart homes for wheelchair users.

      •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사용성평가

        임명준(Lim, MyungJoon),표경선(Pyo, Kyung-Sun),권효순(Kweon, Hyosu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 내 일상생활에 있어 접근성의 미확보로 커다란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주거환경에 적용된 스마트홈은 장애인의 주거환경을 편리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을 구축하고 그 스마트홈에 대해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휠체어 사용 장애인 3 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사용 전후를 비교한 평가(사용성평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평가, 심층설문)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홈 구축 시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주거환경 구축에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elchair users found difficulties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houses. The smart home implemented by smart technologies enables wheelchair users to live independently. In this study, the smart home was built, and the usability testing for t he s mart home was performed. Three participants on a wheelchai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three evaluations (usability test, Korea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n-depth interview) were assessed. Post-test showed positive outcomes than pre-test. Through this study, we found several necessary elements for wheelchair users on building a smart home.

      • SCOPUSKCI등재

        황사의 PM<sub>10</sub>이 WI-26 VA4 Cells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NFκB, TGF-β, Fibronec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경선,김유진,윤진영,경선,안창혁,이상,박정웅,정성환,Park, Kyeong Seon,Kim, Yu Jin,Yoon, Jin Young,Kyung, Sun Young,An, Chang Hyeok,Lee, Sang Pyo,Park, Jeong Woong,Jeong, Sung Hwa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연구배경: 황사는 동북아시아에서 자연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름 $10{\mu}m$ 이하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10, $PM_{10}$)를 다수 포함하여, 흡입하면 하부기관지 및 폐의 가스-교환부분까지 침착 가능하여 호흡기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에 포함된 $PM_{10}$을 기관지상피세포에 작용시켜 활성산소 및 $NF{\kappa}B$, $TGF-{\beta}$, fibronectin이 증가 여부를 확인하고 섬유화의 신호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공기포집기로 포집한 $PM_{10}$ 입자를 추출하여 기관지 상피세포인 WI-26 VA4 cells (KCLB)에 $PM_{10}$을 농도에 맞게 노출시켰다(0, 50, $100{\mu}g/ml$). ROS는 DCF-DA를 세포에 반응시킨 후 생성된 DCF를 FACScan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TGF-{\beta}$, fibronectin, $NF{\kappa}B$는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하였다. 항산화제인 NAC를 이용하여 각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 과: $PM_{10}$을 가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50{\mu}g/ml$, $100{\mu}g/ml$에서 ROS, $TGF-{\beta}$, fibronectin, $NF{\kappa}B$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항산화제인 NAC를 처리한 세포는 ROS, $TGF-{\beta}$, fibronectin, $NF{\kappa}B$의 발현이 $50{\mu}g/ml$, $100{\mu}g/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황사의 $PM_{10}$은 WI-26 VA4 cells에서 ROS 생성을 증가시키고 $NF-{\kappa}B$, $TGF-{\beta}$, fibronectin 생성을 증가시켜 섬유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may be toxic to human tissue. Ambient air particulate matter ${\leq}10{\mu}m$ in aerodynamic size ($PM_{10}$), which change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complex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The Asian dust event caused by meteorological phenomena can also spread unique particulate matter in affected areas. We evaluated production of ROS, $TGF-{\beta}$, fibronectin, and $NF{\kappa}B$ by exposing normal epithelial cells to Asian dust particulate matter. Methods: Bronchial epithelial cells were exposed to 0, 50, ${\leq}100{\mu}g/ml$ of a suspension of $PM_{10}$ for 24 h. ROS were detected by measurement of DCF release from DCF-DA by FACScan. $TGF-{\beta}$, fibronectin, and $NF{\kappa}B$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PM_{10}$ exposur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GF-{\beta}$, fibronectin, and $NF{\kappa}B$. ROS production and $TGF-{\bet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50 or ${\leq}100{\mu}g/ml$ $PM_{10}$. Fibronectin and $NF{\kappa}B$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leq}100{\mu}g/ml$ of $PM_{10}$. Conclusion: $PM_{10}$ from Asian dust particles might have fibrotic potential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via ROS induction after $PM_{10}$ exposure.

      • SCOPUSKCI등재

        황사의 PM10이 WI-26 VA4 Cells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NF-κB, TGF-β, Fibronec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경선 ( Kyeong Seon Park ),김유진 ( Yu Jin Kim ),윤진영 ( Jin Young Yoon ),경선영 ( Sun Young Kyung ),안창혁 ( Chang Hyeok An ),이상 ( Sang Pyo Lee ),박정웅 ( Jeong Woong Park ),정성환 ( Sung Hwan Jeo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연구배경: 황사는 동북아시아에서 자연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름 10μm 이하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10, PM10)를 다수 포함하여, 흡입하면 하부기관지 및 폐의 가스-교환부분까지 침착 가능하여 호흡기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에 포함된 PM10을 기관지상피세포에 작용시켜 활성산소 및 NF-κB, TGF-β, fibronectin이 증가 여부를 확인하고 섬유화의 신호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공기포집기로 포집한 PM10 입자를 추출하여 기관지 상피세포인 WI-26 VA4 cells (KCLB)에 PM10을 농도에 맞게 노출시켰다(0, 50, 100μg/ml). ROS는 DCF-DA를 세포에 반응시킨 후 생성된 DCF를 FACScan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TGF-β, fibronectin, NFκB는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하였다. 항산화제인 NAC를 이용하여 각 물질의 발현 억제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 PM10을 가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50μg/ml, 100μg/ml에서 ROS, TGF-β, fibronectin, NFκB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항산화제인 NAC를 처리한 세포는 ROS, TGF-β, fibronectin, NFκB의 발현이 50μg/ml, 100μg/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황사의 PM10은 WI-26 VA4 cells에서 ROS 생성을 증가시키고 NF-κB, TGF-β, fibronectin 생성을 증가시켜 섬유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may be toxic to human tissue. Ambient air particulate matter≤10μm in aerodynamic size (PM10), which change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complex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The Asian dust event caused by meteorological phenomena can also spread unique particulate matter in affected areas. We evaluated production of ROS, TGF-β, fibronectin, and NFκB by exposing normal epithelial cells to Asian dust particulate matter. Methods: Bronchial epithelial cells were exposed to 0, 50, 100μg/ml of a uspension of PM10 for 24 h. ROS were detected by measurement of DCF release from DCF-DA by FACScan. TGF-β, fibronectin, and NFκB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PM10 exposur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GF-β, fibronectin, and NFκB. ROS production and TGF-β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50 or 100μg/ml PM10. Fibronectin and NFκB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100μg/ml of PM10. Conclusion: PM10 from Asian dust particles might have fibrotic potential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via ROS induction after PM10 exposure. (Tuberc Respir Dis 2008;65:504-5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