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대화에서의 청자 소외 양상 분석 - 교사 발화의 응답성 분석을 중심으로 -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화법학회 2021 화법연구 Vol.- No.51

        This study focuses on the answerability of utterance that enables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class, categorizes the answer structure of teacher utterance, and explores the signs of listener alienation in class for each type. Examining the teacher's utter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answerability” and “listener alienation” highlights the nature of the conversation and “building a relationship.”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reflection on the existing efficiency-centered teacher speech discourse. In this study, listener alienation was viewed as ‘a state in which the status as an answerer of the teacher's utterances has not been stably granted to an individual, and therefore, she/he neither expects nor forms any ‘educa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Based on this concept, the answer structure of the teacher's utterance was categorized and the types of listener alienation that could occur for each type was explored. Primari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nswer structure of teacher utterance can be classified into six types. Signs of listener alienation were observed in four types. In view of this, implications for teacher speech were drawn.

      • KCI등재

        읽기 관여(reading engagement)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이 연구는 읽기(교육) 분야에서 관여(engagement)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읽기 교육의 용어로 관여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이에 본고에서는 ‘engagement’, ‘engaged’라는 용어와 표현이 교육학 일반, 뇌인지 과학, 그리고 읽기 및 리터러시 교육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맥락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관여 개념의 구성 요소로 ‘전략적 노력’, ‘자발적 참여’, ‘몰두와 열중’ 등이 주로 다루어지며, 관여 개념은 무언가를 열심히 행하는 주체의 특성을 함축하는 의미역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여 패러다임 하에서 독자상과 읽기 수행의 특성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읽기 교육의 용어로서 관여 개념을 정리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 전략적임의 의미역 확장, 2) 행위주도적 독자상 정립, 3) 한국 문화 특성을 반영한 읽기 관여 개념 및 구성 요소의 타당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the character of being an idea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as a term of reading education, we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s 'engagement' and 'engaged' are used in education, brain cognitive science, and reading and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rategic effort”, “voluntary participation”, “enthusiasm and enthusiasm” are mainly dealt with as components of the concept of engagement, and the concept of engagement has a meaning that implies the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who is doing something hard. We also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can be explained under the paradigm of Engagement. In addition, as a preliminary task to summarize the concept of engagement as a term of reading education, 1) expanding of the concept of ‘strategic’, 2) establishing an agentic reader-oriented image, and 3) validity of the concept of reading engag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 개발 연구

        편지윤 ( Pyun Ji-yun ),서혁 ( Suh Hyuk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4

        이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를 마련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교육의 토대 마련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기존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검사 도구의 평가 틀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평가 요소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관련 학습 요소를 어떠한 폭과 깊이로 마련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요소를 마련하였다. 사실적 이해 범주에 해당하는 평가 요소로는 ‘탐색’과 ‘내용확인’을 제시하였으며, 추론적 이해 범주에 해당하는 평가 요소로는 ‘통합 및 관계 생성’과 ‘정교화 및 해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이해 범주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평가’와 ‘재설계’를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다. 또한 각 평가 요소의 내용을 양식-텍스트-맥락 차원에서 마련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를 상세화·체계화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 assessment elements of multimodal text reading. For this, framework of the existing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test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s in depth to examin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reading of multimodal text.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have prepared a cognitive assessment element for reading of multimodal text. The assessment elements corresponding to 'literal comprehension' were presented as 'navigate' and 'identify of contents', and the assessment elements corresponding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were presented as 'integration and relationship making' and 'sophistication and interpretation'. Lastly, as elements of 'critical comprehension', 'evaluation' and 'redesign' are presented as sub-elem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each assessment element was prepared in the ‘mode-text-context’ to attempt to systematize the cognitive assessment element of multi-form text reading.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편지윤(Pyun Ji Yun),변은지(Byeon Eun JI),한지수(Han Ji Soo),서혁(Suh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Beaugrande와 Dressler의 7가지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의 텍스트성(Textuality) 이 단일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영상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결속성(cohesion)’은 복수 양식의 중층적 결합에 의해 실현되며, 의미구조 간의 ‘응집성(coherence)’이 텍스트 표층에 가시적으로 재현되는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단일양식 텍스트와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의미구성의 방향성을 다 채롭게 의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식의 중층적 결합체를 텍스트로 용인하려는 수용자의 의지가 강력히 요구된다는 점에서 ‘의도성’과 ‘용인성’에서도 복합양식 텍스트만의 독특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성’의 측면에서는 양식의 존재 및 의 미 작용 방식 등이 얼마나 새롭고 예측불가능한지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상황성’의경우 높은 재현성을 기반으로 텍스트 생산 맥락에의 접근이 용이하고, ‘상호텍스트성’의 경우 텍스트 간 상호 관련성을 지니는 ‘단위’가 양식의 결합체 차원으로까지 확대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영상성(imagance)’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텍스트성 차원에서 종합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논의의 실제성·타당성을 제고해 나가는 적용 연구, 더 나아가서는 참여 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어떻게 텍스트 차원에서 구성해 나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피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 as text.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extuality’ between ‘Multimodal Texts’ and ‘Monomodal Texts’ based on seven textualities of Beaugrande and Dressler(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Also, we tried to confirm the textuality of the multimodal text more precisely by analyzing video text. The ‘cohesion’ of the multimodal text is implemented by the multi-layered combination of modes and differs from the monomodal text in that between semantic structures of ‘coherence’ is represented visually on the text surface layer. In addition, the ‘intentionality’ and the ‘acceptability’ also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at the reader’s volition to accept the multi-layered combination of modes as a text is strongly demanded, and in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meaning composition can be variously intended. In the case of the ‘informativity , how new and unpredictable the presence and meaning functioning of mode are important. And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were discussed focussing on accessibility of the context of text production and expansions of the unit of text. In addi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argued tha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imagance’ is need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tudy area of multimodal text is expanded in that it discusses overall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modal tex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research that will improve the actuality and validity of discussion based on various case analysis and how the participant will intertwine the multimodal text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 독자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분석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읽기 개념에 대한 청소년 독자들의 인식 양상을 확인하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청소년 독자 571명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판`과 `숨쉬기`, `TV 시청`, `훈련`, `등산`, `게임`, `여행`, `퍼즐 맞추기`, `식사`, `자유로운 대화`, 총 10개의 개념적 은유가 도출되었다. 다만, 분석 과정에서 각 개념적 은유가 읽기의 특정 국면을 초점화하여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각 개념적 은유가 지시하는 읽기의 의미 영역을 분석하여 `읽기효용`, `읽기 경험`, 그리고 `읽기 과정`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은유분석 결과를 통해 청소년 독자들이 읽기를 구체적인 활동 차원에서 인식하고, 그 효용과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가치화하며, 텍스트 내적 세계에 참여하는 양상으로 읽기를 경험함을 확인했다. 또한 읽기에서 텍스트를 강조함에 따라 독자의 역할을 텍스트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수동적 차원에서 한정하는 등 독자의 참여 영역을 협소하게 설정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했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adolescent read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reading and providing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s metaphor analysis. Analysing 571 learning readers` metaphor to `reading`, three metaphorical categories are identified. From the `usefulness of reading` category, `toehold` and `breathing` conceptual metaphor(CM) are induced. In the same way, from the `reading experiences` category, `game`, `travel`, `climbing`, `watching television` and `training` CM, and from the `reading process` category, `puzzle`, `taking a meal`, and `free conversation` CM are induced. This study shows diversity in adolescent readers` perception on read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cretely about adolescent readers` concept of reading and to provide reading education reflecting their context and situations.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편지윤 ( Pyun Ji-yun ),한지수 ( Han Ji-soo ),변은지 ( Byeon Eun-ji ),서혁 ( Suh-hyuk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본고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 작용이 확장된 시각성 하에 상(image)의 연합을 이루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복합양식 텍스트의 근본 속성으로 ‘보여주기(showing)’를 제시하였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가 지닌 ‘보여주기’의 제 양상을 종합할 수 있는 복합양식 텍스트성(multimodal textuality)으로서 ‘영상성(imagance)’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양식 텍스트의 ‘보여주기’ 속성을 ‘도상성(Iconicity)’, ‘중층성(Multi-layer nature)’, ‘공간성(Spatiality)’, ‘유도성(Inductivity)’, 그리고 ‘감각 전이성(sensory transitionality)’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속성이 ‘단일양식 텍스트(문자 텍스트), 정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로 어떻게 달리 실현되는지를 살펴, 영상성의 의미역을 상세화·체계화하였다. 본고는 복합양식 텍스트 자체의 내적 논리 체계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성으로서 '영상성'을 제안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모 하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추후 다양한 복합양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영상성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와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적 자질과 속성을 구체화하는 텍스트성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Considering that the symbolic action of multimodal-text takes the form of 'sh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way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existing and functioning as tex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as ‘Iconicity’, ‘Multi-layer nature’, ‘Spatiality’, ‘Inductivity’, and ‘Sensory transitionality’. Also,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imagance’ as multimodal textuality. An important point in 'imagance' is that the semantics of modes operate in a way that forms a unified 'image'. It implies that the meaning is realized through the union of sensory image of a variety of modes and mental representations, and that the unity of image operates in ‘visual representation’ to materialize it in the form perceptible to re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agance’ as the multimodal textuality based on the internal logic system of the multimodal text itself and, by doing so,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aiming at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 reception capacity of the multimodal text.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imagance realization targeting the actual multimodal text and studies exploring the textual qualities and attributes of the multimodal text are expected.

      • KCI등재

        AI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환경에서 비판적 리터러시에 대한 단상

        편지윤(Pyun, Ji-yun)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9

        이 연구는 새로운 소통 주체로서 ‘AI 알고리즘’이라는 비-인간 행위자의 등장에 주목하여, AI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환경에서의 소통 특성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주체적 대응을 가능케 하는 기제로서 비판적 리터러시를 탐색하였다. 논의 전개를 위해, “AI 알고리즘이 추론이나 판단 등의 지능적 역할을 통해 텍스트의 생산, 수용, 유통 등 텍스트를 매개로 하는 활동 전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AI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환경’으로 명명하고, 이러한 환경하에서의 텍스트 매개 소통의 특성을 참여 주체, 텍스트, 그리고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AI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환경에서 소통의 근간 원리인 Grice(1975) 대화 격률이 교묘하게 위반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그 위반에의 대응을 중심으로 비판적 리터러시의 실천 방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양, 질, 관련성, 그리고 태도의 격률 위반에 대응하는 비판적 실천을 “종합적 진실에 근사하기 위한 차이의 추구, 알고리즘 상상에 기초한 질적 검증 및 재구성, ‘보이지 않는 관련성’의 발견과 ‘설명으로서의 책임’ 실현, 명료함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한 주도성(agency) 회복”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비-인간 행위자인 AI 알고리즘의 등장으로 현실화된 새로운 텍스트 환경에서 인간행위자의 역할과 리터러시 실천의 방향성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mergence of a non-human agent called ‘AI algorithm’ as a new communication subject, and explored critical literacy as a mechanism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AI algorithm-based text environment and to take an subjective practices. For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AI algorithm-based text environment’ is defined as “an environment where AI algorithm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overall text-mediated activities such as text production, response and distribution through intelligent roles such as reasoning and judgmen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ext-mediated communication in this new environment were examined focusing on participants, texts, and interaction patterns. Based on this, the violation of Grice(1975)"s maxim in the AI algorithm text environment was reviewed. After that, the practices of critical literacy in the AI algorithm-based text environment were explored, focusing on how to respond to violations of the maxim. Specifically, the critical practice in response to the violation of the maxim of quantity, quality, relation, and manner is “the pursuit of differences to approach the comprehensive truth, qualitative verification and reconstruction based on ‘algorithmic imaginary’, discovery of invisible relevance and the realization of ‘accountability’, and recovery of agency through raising the issue of clarity”. The above discus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role of human agents and the direction of literacy practice in a new text environment realized by the advent of AI algorithms, which are non-human agents.

      • KCI등재

        드라마 텍스트와 읽기의 즐거움 : 유튜브 ‘드라마 리뷰’ 채널의 사례를 중심으로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1

        이 연구는 드라마를 텍스트로서 읽는 현상에 주목하고 그 읽기의 양상을 ‘즐거움’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읽기 연구의 시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 읽기에 대한 확장된 관점의 필요성을 논하였으며, 이러한 논의의 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 사례로 유튜브 드라마 리뷰 채널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리뷰 채널의 참여자들은 드라마 리뷰를 생산 및 공유하는 가운데 1) 텍스트의 호명에 ‘응답’하며 노는 즐거움, 2) 해석 공동체에 ‘참여’하는 즐거움, 3) 해석 및 담론에 대한 ‘의미 경쟁’을 통한 즐거움, 그리고 4) 텍스트 앞에서 ‘나’와 ‘우리’의 삶을 마주하는 즐거움 등 다양한 읽기의 즐거움을 향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즐거움은 리뷰 채널의 참여자들이 더 깊이 드라마를 분석 및 해석하고, 더 적극적으로 리뷰 생산 및 공유에 참여하게 하는 등 드라마를 텍스트로서 읽는 실천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읽기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reading dramas as texts to examine the aspects of reading dramas in terms of pleasure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reading research. To this end the necessity of an extended perspective on text reading is discussed. In addition, a case analysis of the YouTube “Drama Review” channel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value of this discu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articipants in the review channel reported enjoying the following four types of pleasure while producing and sharing drama reviews: 1) the pleasure of playing while “responding” to the call in the text, 2) the pleasure of “participating” in the interpretation community, 3) the pleasure of “meaning competition,” and 4) the pleasure of “facing” the lives of “me” and “us” through the text. This pleasure allowed the participants of the review channel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rama more deeply, which is the driving force behind reading the drama as a text and which also encourages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producing and sharing reviews. Through the above analysis, implications for reading research were derived.

      • KCI등재

        초등국어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편지윤(Pyun, Ji-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아동의 국어능력 발달과 그 교육의 책임 주체로서 교육 실행의 토대가 되는 국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취한다. 이에 초등 예비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초등국어교육에서 무엇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국어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기초교육과 쓰기 교육’, ‘의견 말하기 중심의 표현 교육’, ‘독서 교육 중심의 문식성 교육’, ‘말하기 중심의 언어사용 교육’으로 유형화되었다. 각 유형별 의미연결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 키워드들이 연결망 내에서 어떠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살펴 인식의 의미 구조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국어교육에 대한 인식 형성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 교사양성 과정에서 보완되어야 할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regar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being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s language abilities, making it imperative for them to form an awareness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for educational practice. Hence, the perception of what should be important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was investigated among 138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cess. As a result of analysis by topic model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were categorized as: basic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opinions and speaking, literacy education centered on reading education, and language use education centered on speaking. Keywords were extracted by perform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each categor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perception was explored by examining the roles and positions these keywords occupy in the network. Based on this analysis, the importance of forming awareness of Korean education among pre-service teachers was re-emphasized.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rawn toward the educational content to be supplemented in the teacher-training process.

      • KCI등재

        ‘독자 반응 텍스트’의 평가 준거 개발 연구 ―정보 텍스트(설명 및 설득 목적의 글) 읽기를 중심으로

        편지윤 ( Pyun Jiyun ),서혁 ( Suh Hyuk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3

        이 연구는 정보 텍스트 대상 독자 반응 텍스트의 평가 준거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국어교육 현장 및 이론 전문가 11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를 진행하여 정보 텍스트 대상 독자 반응 텍스트의 평가 준거를 마련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평가 준거의 평가 영역은 ‘생각의 구성’과 ‘생각의 표현’이며, 영역별 평가 요소는 ‘읽은 글과의 관계 설정-읽은 글의 내용 파악-비판적·창의적 반응-자기 성찰’, ‘조직의 일관성 및 적절성-표현의 적절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독자 반응 텍스트 우수 사례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 텍스트 대상 독자 반응 텍스트가 ‘읽기를 위한 쓰기’로서의 읽기 교육적 의의를 지님을 명료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학 텍스트 읽기와는 구별되는 정보 텍스트 읽기의 특성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요구된다. 셋째, 텍스트 특성에 따라 독자의 의미 반응이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텍스트의 하위 장르별 독자 반응 텍스트의 평가 준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riteria for evaluation of the reader response text to information text. Delphi was conducted by 11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to prepar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response text. The two evaluation areas of thinking are a) configuration and b) expression. Each area’s evaluation elements include the following: a) ‘setting the relationship with text’, ‘understanding the textual content’, ‘critical-creative thinking’, and ‘reflective response’, b) ‘consistency and adequacy of composition’, and ‘adequacy of expression’. It also validated the compliance with the assessment criteria by correlating with the best case of reader respons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