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적 관점의 창의성 이론에 기반 한 조율놀이 교수모형 개발 및 타당화

        태진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In the future society, developing the creativity is required more and the creativity must be developed from the infant age. Meanwhile,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creativity in childhood.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offering data that general teach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see in terms of how each of the relevant variables needs to be combined and functioned in every stage of the teaching activity, by developing a 'teaching model' available for being simply applied to the actual scene of the class activity for realizing the education of creativity in line with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est in childhood.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y of creativity in 'interactive perspectiv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developed a specific Tuning Play teaching model according to the phased process of educational activity on the basis of this, and verified the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o suggest class model of promoting infants creativity as interactive Perspective that enhances successful cooperation as well as constant ‘shared thought'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pecific pedagogy model for enhanc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미래사회에서는 창의성의 발휘가 더욱 요구되고 이러한 창의성의 계발은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유아기의 효과적 창의성 계발을 위해서는 발달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유아기의 발달수준과 흥미에 맞는 창의성 교육의 실현을 위해 실제 수업활동 장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모형을 개발하여 각 관련 변인들이 교수활동의 매 단계에서 어떻게 결합하고 기능해야하는지에 대해 일반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상호작용적 관점의 창의성 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교육활동의 단계별 과정에 따른 구체적인 조율놀이 교수모형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 창의성 증진에 관한 구체적 교수모형이 많이 부족한 현 실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성공적인 협업’과 ‘공유된 사고’의 지속을 증진하는 상호작용적 접근으로서의 유아 창의성 증진 수업모델을 제안하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재아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요소 탐색

        태진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4

        It is quite significant for gifted young children with excellent potential to enhance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with intact talent in the regular child curriculum, the early education stage.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arch the components necessary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To this end, 78 literatures related to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out of 217 dissertations which were contained in journals related to gifted young children and performed from 2002 to 2019, the period when domestic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was promoted in full scale were finally chosen and analyzed. The study extracted 34 components in 8 categories. Eight categories are recognition/attitude, training teachers/talent, expertise in inclusive education, distinction/lesson materials, educational program/supporting materials, environment, cooperation/advice, system/policy, etc. Presenting definition related to relevant components shown in the literature and background of selection, this study suggested and discussed what components should be significantly considered to prepare for supporting system of inclusive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in the regula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초기 교육 단계인 정규 유아교육과정 안에서 우수한 잠재성을 타고난 유아영재가 재능을 손상 받지 않고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강화해 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영재 통합교육 실행에 필요한 요소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영재교육이 본격화된 시기인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유아영재 관련 등재 학술지 논문 217편 중 통합교육 실행 관련 문헌 78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개 범주의 34개 요소를 도출하였다. 8개 범주는 인식/태도, 교사교육/자질, 통합교육 전문성, 판별/수업자료, 교육프로그램/지원자료, 환경, 협력/자문, 제도/정책 등이다. 본 연구는 문헌에 나타난 해당 요소 관련 정의 및 선정 배경을 제시하였고 향후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영재 통합교육 지원 체제 마련을 위해 어떤 요소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지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태진미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2

        그간 많은 선행 연구들이 영재성 발현과 성취를 위해 부모 조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부모의 참여를 어떻게 유도하고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무엇을’, ‘왜’ 라는 측면에서 영재부모를 위한 지원 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채 막연히 영재학생의 부모역할이 중요하므로 그들을 교육해 야한다는 취지아래 부모교육을 통한 지원이 일반화 되어왔다. 이러한 현실은 자칫 영재부모 지원을 위해 보다 중요한 사항을 놓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 율적인 부모지원을 위해 다양한 차원에서 영재부모 지원의 개념을 살펴보고 영재부 모지원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탐색했다. 나아가 현재 영재학생의 부모지원 체제가 가 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함으로 써 총체적인 영재부모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태진미 한국영재학회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academically examined about whether STEAM education is really needed, as part of the convergence-style gifted education for training a producer in creative knowledge, through the documentary and Delphi survey. Based on the results, it developed STEAM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for being applied to the domestically gifted education field, and examin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of surveying validity and class satisfaction, the STEAM education materials of having be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indicated to be useful in the aspects of the appropriateness for teaching-material compos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promotion in the convergence-based thinking ability. The currently domestic situation is in being short of fundamental discussion about necessity or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for gifted student, compared to an effort for emphasizing and activating policy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focusing on STEAM. Hence,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basic research o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 has significance in the aspect as saying of expanding applicability of STEAM education as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창의적 지식의 생산자 양성을 위한 융합형 영재교육의 일환으로서 STEAM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문헌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문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영재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STEAM교육 자료를 개발했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및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영재 STEAM교육 자료는 교재 구성의 적절성과 학습 만족도, 융합적 사고능력의 함양 면에서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의 상황은 STEAM 중심의 융합형 교육의 정책적 강조와 활성화 노력에 비해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 등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영재 STEAM교육에 관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STEAM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효율적 적용 방안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태진미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최근 정부는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따라 영재성의 분야를 초월해 STEAM교육을 중심으로 창의 융합형 콘텐츠를 폭넓게 개발·적용할 전망이다. 한편 그간 STEAM 중심의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정책은 그 정책적 중요성의 강조 및 보편적 확산의 노력에 비해 다양한 학습자들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 접근 방법 및 전략 면에서 논의가 부족했다. 특히 일반학생들과 다른 영재학습자들의 특성과 교육적 요구에 기반 한 STEAM교육의 적용 방안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폭넓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 및 STEAM교육 관련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해 영재를 위한 STEAM교육의 효율적 적용 방안을 탐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영재를 위한 창의 융합형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overnment is predicted to broadly develop and apply creativity convergence contents focusing on STEAM education beyond the field of gifted-ness according to the third general plan for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these days. In the meantime, the policy for creative STEAM education focusing on STEAM has been short of a discussion in the aspect of specific approach and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divers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compared to an effort of emphasizing and universally expanding its policy-based importance. Especially, an academic discussion failed to be made extensively about a plan for applying STEAM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demands of gifted learners who are different from general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pursue an efficient application plan of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by carrying out the delphi survey targeting 16 experts related to STEAM education including the gifted.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pplying and evaluating creativity convergence contents for the gift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탐색

        태진미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국내 영재교육이 단기간에 많은 성과를 거두고 안정권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영재교육 분야 중의 하나인 예술계 영재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영재교육은 어떠한가? 국내 영재교육의 성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는 다양한 분야 영재교육의 실제적 현황 탐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전주기적 현황을 탐색하고 음악영재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중요한 사항들을 중심으로 향후 개선되어야 할 과제들을 도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간 많은 연구들이 양적 통계 자료 또는 설문지형의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한편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 관련 다양한 실무자들로부터 현장의 소리를 수집해 총체적으로 분석 고찰함으로써 그간 표면적으로 다루어졌던 문제점들에 대해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음악영재교육 관련 실제 상황과 입장에 대한 다면적 이해의 노력을 통해 정책과 실제, 의도와 결과 간의 괴리를 줄여 향후 보다 효과적인 음악영재교육 방향을 수립하고 교사, 행정가 양성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실제에 기반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domestic Gifted education is evaluated to attain many achievements and to reach stable circle in short term. What about the present situation of artistic talent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talent education areas, especially music talent education? The result of domestic Gifted education can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by actually searching the present situation of diverse Gifted education areas. In this sense, this research aims to search the overall situation of domestic music talent education and to draw the tasks to be improved later mainly on the basis of important matters for efficient operation of music talent education. Thus far,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mainly through quantitative statistical data or survey materials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Meanwhile, this research tries to deeply understand the problems that have been superficially managed so far by collecting the voice of diverse practical staffs related to music talent education for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more effective music talent education in the future by lessening the gap between policy and reality, intent and result, etc through diverse comprehension of actual situation and position related to music talent education and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based on reality to cultivate teacher and administrator and to develop curriculum.

      • KCI등재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방안

        태진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3

        Gifted education can have a greater efficacy and a wider scope of application when gifts in various types of gifted students, born with excellent potentials, are discovered through differential instructions in classrooms and when the cooperation systems are established to enable their gifts to be expressed through proper education. Hence,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16 experts from relevant areas in order to seek differential instructions in regular classrooms and strategies for cooperating with offici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We contacted a panel, who were believed to be capable of presenting credible ideas, through the recommendations of experts from relevant area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among them three times in total. As for the study results, first, we described the results focusing on the needs for leaners, teachers, curriculum, education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Second, we derived a method to determine offici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make its effective connection to education, and further proposed a gradual procedure for implementation required for a general application. 우수한 잠재력을 타고난 다양한 유형의 영재들이 차별화 교수를 통해 정규교실에서 그 재능이 발견되고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영재성을 발현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영재교육의 기회 확장 및 효과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시행 및 공식 영재교육기관 간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16명의 관련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신뢰할만한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패널을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추천을 통해 섭외하였고 총3차에 걸쳐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차별화 교수 시행을 위한 준비로 학습자, 교수자, 교육과정, 교육환경 및 정책적 지원 측면에서의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공식 영재교육기관의 판별 및 교육과의 효과적 연계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고 보편적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단계별 시행 절차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고학년 다중지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태진미,박소연,김승혁,박경미,김정혜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4 창의력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의 다중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개발하고 검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다중지능 측정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다중지능의 조작적 정의와 문항 개발을 위해 전문가 패널 13명에게 2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155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375명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을 거쳐 본검사에 활용할 122문항을 선정하였다. 1,062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고 문항 양호도 검증과 검사의 실용성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진의 회의를 통해 최종 97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개발된 검사는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다중지능 8개 영역의 신뢰도는 .811에서 .87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검사 대상자 중 87명에게 초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검사를 시행하여 유사 영역을 측정하는 역량과 지능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port test to measure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For the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research related to measuring multiple intelligences was first reviewed. To operationally define multiple intelligences and develop test items, a panel of 13 experts underwent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resulting in 155 preliminary test items. A preliminary test was administered online to 375 participants, and after item analysis, 12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The main test was administered to 1,062 participants, and after verifying item quality and considering test practicality through research team meetings, 97 final items were confirmed. The final developed test confirmed construc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ight multiple intelligence domains ranged from .811 to .878, which is satisfactory.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87 of the main test participants took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for Elementary Students, confirming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petencies measuring similar domains and intelligences.

      • KCI등재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태진미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4

        최근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해 ‘예술교육’이 국내외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한편 현재 국제사회에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교육 트랜드’로 주목하고 있는 예술교육의 경향은 과거 전통적 예술교육과는 목적, 내용 및 운영방식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개념의 국제적 예술교육 동향을 분석 소개함으로써 정부가 현재 추진 중인 초중등학교에서의 예술교육 활성화, STEAM과 같은 과학기술분야에서의 예술융합교육 일환으로서의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예술교육의 지향 방향을 제시하였다. For recently training th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rt education' is being greatly noted at home and abroad. In the meantime, this art education, which is being paid attention now as the educational trend of 'new alternative' in international society, has grea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objective, contents, and an operating method from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past.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nd introduced the international art-education trend in a new concept, pointed out problems of art education as a part of activating the art education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hich is being driven now by the government, and of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in the science technology field like STEAM, and suggested the desirable art-education orientation direction of satisfy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needs hereafter.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 교육연극 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태진미,박양숙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012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선정한 STEAM 교사 연구회의 활동을 토대로 수행되었다. 현장의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지원하여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교육연극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를 대응표본 t-test 한 결과 세 학년(2,4,6) 모두 과학적 태도의 7개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창의성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0.55점으로 가장 많이 상승하였고, 협동성(0.47), 개방성(0.45) 순으로 상승한 반면, 비판성과 끈기성은 각각 0.37, 0.3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 교육연극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이 '즐겁게'참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 특성'에 부합하는 신개념의 '효율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activity of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teachers' research council, which was selected by KOFAC in 2012. It developed and applied STEAM program based on the storytelling educational drama available for being participated 'happily' by supporting the promotion in fiel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n verified whether the developed program is showing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program, all of three(2,4,6) school years were indicated to have grown significantly in 7 sub-spheres of scientific attitude. Even out of it, the creativity sphere climbed the most with 0.55 point compared to other spheres. It increased in order of cooperative attitude(0.47) and openness(0.45). On the other hand, criticality and tenacity stood at 0.37 and 0.39 point, respectively, thereby having indicated relatively low increase level. In conclusion, the STEAM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educational drama was confirm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efficient' STEAM educational program in new concept, which conform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ppy'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