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fO<sub>2</sub> 열처리 온도 및 두께에 따른 RRAM의 전기적 특성

        최진형,유종근,박종태,Choi, Jin-Hyung,Yu, Chong Gun,Park, Jong-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3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RRAM with different annealing temperature and thickness have been measured and discussed. The devices with Pt/Ti top electrode of 150nm, Pt bottom electrode of 150nm, $HfO_2$ oxide thickness of 45nm and 70nm have been fabricated. The fabricated device were classified by 3 different kinds according to the annealing temperature, such as non-annealed, annealed at $500^{\circ}C$ and annealed at $850^{\circ}C$. The set and reset voltages and the variation of resistance with temperatures have been measured as electrical properties. From the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set voltages were decreased and the reset voltage were increased slightly, and thus the sensing window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measurement temperatures. It was remarkable that the device annealed at $850^{\circ}C$ showed the best performances. Although the device with thickness of 45nm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the point of the sensing window, the resistance of 45nm devices was large relatively in the low resistive state. It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 device performances with ultra thin RRAM if the defect generation could be reduced at the $HfO_2$ deposition process. 본 연구에서는 RRAM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소자의 $HfO_2$ 열처리 온도와 두께에 따라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제작한 소자는 상부전극이 Pt/Ti(150nm), 하부전극은 Pt(150nm), 산화층 $HfO_2$의 두께는 45nm와 70nm이고, 열처리를 하지 않은 소자와 $500^{\circ}C$, $850^{\circ}C$ 로 열처리를 한 3 종류이다. 온도에 따라 소자의 전기적 성능으로 셋/리셋 전압, 저항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에 따른 기본특성 분석 실험 결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셋 전압은 감소하고 리셋 전압은 증가하여 감지 여유 폭이 감소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850^{\circ}C$ 소자가 고온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보였다. $HfO_2$ 산화층의 두께 45nm 소자가 70nm 소자보다 감지 여유 폭이 크지만 결함으로 LRS(Low Resistive State)에서 저항이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HfO_2$ 산화층 증착 시 결함을 줄일 수 있는 공정조건을 설정하면 초박막의 RRAM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흥부전」의 전승(傳承) 양상(樣相) - 출판문화(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최진형 ( Choi Jin-hy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4

        이 논문은 구매자와 출판자의 이해가 만나는 지점에 주목하여 出版文化의 측면에서 「흥부전」을 살피고자 하였다. 즉 坊刻本과 活字本에 주목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 이들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변화의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경판본」의 주요 특징은 ‘놀보 박 辭說의 擴張’이다. 많은 지면을 할애한 놀보 박 사설은 결국 놀보에 대한 육체적 징치를 목적으로 하는데, 실제 사설의 대부분은 ‘都市 遊興에의 指向’을 보인다. 이 점은 「경판본」이 지닌 독특한 美感과 연관된다. 「연의각」은 「옥중화」나 「강상련」과 달리 이해조의 개입이 적은 편이어서 소리꾼의 구술이 더 많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연의각」에는 판소리 唱本의 性格이 온전히 남아 있다고 보인다. 「신문관본」은 싼 값에 古典 作品을 널리 보급하고자 했던 육전소설 발간 취지가 주목된다. 「박문서관본」은 「경판본」과 「연의각」을 주로 하여, 改作者 노익형의 독특한 개작의식을 반영한 활자본으로 보인다. In the 19th Century buyers and sellers were interested in published book : banggakbon and hwaljabon, because buyers wanted enjoyment from reading book and sellers wanted profit from selling book. This paper brings to a focus at culture of publishing about Heungbujeon's transmission. Many pages are allotted to nolbu-baksaseol in kyungpanbon. These pages represent the purpose of physical punishment to nolbu in the first place, in addition to represent the pursuit of entertainment at city in 19th century. Yeonuigak's adaptor was Lee, Hae-jo who had illuminism and had tried to adapt classical novels according to his ideology. But Yeonuigak was adapted version of Heungbujeon and it had many characteristics of pansori, because of its original text was Shim, Jeon-soon's oral text. Six coin novel Heungbujeon was published at Shinmungwan that belongs to Choi, Nam-sun. He had publishing business and carried out a project that kept and popularized important books by publishing. So Six coin novel Heungbujeon was result of his project. Bakmunseogwanbon has some characteristics of adaption that was made by publisher Roh, Ik-hyung.

      • KCI등재

        판소리 다섯 바탕의 전승과 재창조 심청가 <심청전>의 전승 양상 - 출판 문화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최진형 ( Jin Hyoung Choi )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19 No.-

        Shimcheongje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 which had been loved in classical novel list. This work`s manuscripts are almost 100 volumes and much more than other works. A bangkakbon(방각본) and hwaljabon(활자본) are very important at a process of transmission of Shimcheongjeon. But there are few paper about them. So, this paper bring to a focus at culture of publishing about Shimcheongjeon`s transmission. Shimcheongjeon have 2 kinds of bangkakbon which are kyungpan(경판) 1and wanpan(완판). The text of kyungpan pedigree have a characteristic of written language novel. The text of wanpan pedigree have a characteristic of pansori. But two pedigree`s characteristics are not exclusive. These elements are result of publisher`s effort which publisher accommodates taste and needs to public. Shimcheongjeon have important 3 kinds of hwaljabon which are Kangsanryeon, Six coin novel Shimcheonjeon and Monggumdojeon. Kangsanryeon`s adaptor is Lee Hae-jo. He has illuminism and has tried to adapt classical novels according to his ideology. Kangsamyeon is adapted version of Shimcheonjeon and it have many characteristics of pansori, because of its original text is Shim Jeon-soon`s oral text. Six coin novel Shimcheongjeon is published at Shinmunkwan that belongs to Choi Nam-sun. He has publishing business and carried out a project that keep and popularize important books by publishing. So Six coin novel Shimcheongjeon is result of his project. Monggrenudojeon has many characteristic of adaption that is made by publisher Roh Ik-hyung. Several descriptive units of this text are deleted by him, for example Shimcheong`s rebirth, her father`s gaining eyesight. Maybe he would have regarded this units as unreal. And there are many narrator`s excessive intervention in this text. Therefore, this text would have failed to gain in public favor.

      • KCI등재

        특집 : 국어국문학 연구와 함께한 반교어문학회 30년 ; 고전 산문 연구의 조명과 지평

        최진형 ( Jin Hyung Choi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2

        이 연구는 고전 문학의 여러 연구 분과 중 고전 산문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그 간의 성과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조망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고전 문학 분과는 크게 고전 산문과 고전 시가로 나눌 수 있고, 고전 산문 분과는 다시 구비문학, 한문학, 고전소설 분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학회지의 1집~31집에 실린 논문 중 이 세 분야에 해당하는 논문을 뽑아 총61편을 선정하였다. 이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 현황 분석, 분야별 분석, 주제별 분석 등 세 가지 세부 영역별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각 영역의 연구 동향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아울러 분석 과정에서 발견한 몇 가지 문제점을 제시하였는데, 이 문제를 적절하게 수정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앞으로 진일보한 학회 운영 및 학회지 발간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former researches and to take a view of the direction of later researches through analyzing study trends on the field of classical prose among many branches of classical literary researches. The main branche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are classical prose and verse, the branch of classical prose could be devided into the branches of oral literature,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and classical novels once again. I select 61 theses appropriated to the three fields from the theses included in between Journal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vol. 1 and vol. 31. I analyzed the theses by the each sides of general conditions, branches and themes so I could have examined closely the study trends of each fields. In addition, I suggest some problems which are founde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I consider that management of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publication of its journal can take a major step forward if correct and compensate the problems properly.

      • KCI등재

        재담의 활용 양상과 판소리의 변화 -장재백 소리책 춘향가를 중심으로

        최진형 ( Jin Hyung Choi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재담은 재치있고 재미있는 소리를 뜻한다. 언어의 묘미를 살려 재치있게 말하고, 거기에서 재미를 느끼게 하거나 웃을 수 있게 한다. 음악과 결합된 재담을 재담소리라고 한다. 판소리는 조선 후기 최고의 공연 예술로 부상하기 전, 광대들의 여러 공연 레퍼토리 중의 하나였다. 그 때의 관련 레퍼토리는 줄타기, 땅재주, 재담, 탈놀이 등이었다. 따라서 재담은 판소리 사설의 구성에 관여하면서 중요한 영향 관계를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최근 판소리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전망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 판소리 소리책이다. 판소리 소리책은 이전 시기의 판소리가 어떠한 모습을 지녔었는지 추론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가 근대 이후 어떠한 변화의 길을 걸어왔는지 그 궤적을 추적하는 데 여러 모로 유용하다. 판소리 소리책 중 현대 판소리와 동일한 체계의 음악적 구성을 보이면서, 풍부한 문학적 내용 특히 재담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장재백 소리책이다. 이텍스트에서 추출한 재담을 기준으로 삼아 다른 이본과 대비해 보면 재담 활용의 변모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장재백 소리책에 존재하는 재담의 1/2 이상이 조상현 창본에는 제거되거나 소략한 형태로 전승되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러한 현상은 신재효 본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다만 활자본이나 세책본에서는 재담의 활용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재담의 비중을 줄이는 것은 음악적 완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대중적 공연물로서의 위상을 고려한 판소리의 정체성 확립 의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독서물로 활용되는 판소리 사설은 독서 행위를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거나 이윤 추구를 위한 개작을 목적으로 하였기에 재담이 지닌 흥미성이나 자극성을 적극 활용하려 하였고, 그 결과 창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Jaedam means that the story is interesting and witty. When the story was told, it had been made use of the taste of the language skillfully. The audience could be able to feel the joy and laugh from it. Jaedam is called Jaedam-sori when it coupled with the music. Before Pansori rise to the best performing arts of the late Joseon arts, Pansori was one of the several performance repertoires of Kwangdae[farceur]. Tightrope, Tangjeju, Jaedam and masque were the repertoires at that time. Therefore, Jaedam is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and effective relationship on the composition of lyrics of Pansori. Recently, it is expected that Pansori Lyric-book could allow a new standpoint and viewpoint for the history of Pansori. Through Pansori Lyric-book, the form of Pansori at the previous time could be guessed. In the other hand, it also could be the useful method to trace the changed tracks of current Pansori since modern times. Lyric-book by Jang Jae baek contains plenty literary contents, especially Jaedam, variously. The Lyric-book has a same system at the musical structure as the current Pansori compared to others. I had applied Jaedam extracted from the Lyric-book as a criterion and compared it with other Lyric-books. And to in include, I determine the changing aspect of using Jaedam. 1/2 or more of Jaedam contained in Lyric-book by Jang Jae baek are deleted or have been handed down rough in the text of Cho Sang hyun`s singing. Such a phenomenon, it appears worse in the text of Shin Jae hyo.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use of Jaedam is enhanced in rental books and printed books. It is considered that reducing the ratio of Jaedam is associated with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Pansori as a public performance, while increasing the musical perfection. Compared to this, it is considered that lyrics of Pansori as texts to read shows a different aspect to a singing text because it had been adapted for whether the seeking profit or stimulating imagination through reading.

      • KCI등재

        판소리와 시조의 텍스트 소통 양상

        최진형 ( Jin Hyung Choi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4

        판소리와 시조는 장르적 성격이 매우 이질적이다. ``서사``와 ``서정``은 본질적으로 서술의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서술의 입체화를 본질로 삼는 서사 장르와 서술의 차단을 본질로 삼는 서정 장르는 애초부터 화합하기 어려웠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판소리와 시조의 경우는 ``가창``이라는 실현화 방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소통의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생각된다. 시조 텍스트가 판소리 텍스트에 수용 될 때 ``서사 구성력``이 작용한다. 상황이나 인물의 심리를 적절하게 묘사하는 한편 낯익은 것을 낯설게 하거나 서술의 입체화에 기여하는 것이 시조 텍스트를 판소리 텍스트에 수용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판소리 텍스트가 시조 텍스트에 수용되는 것은 문화 담론 차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서사물 향유의 경험이 시조의 소재나 사설공유의 차원에서 연관되는 것을 비롯하여, 예컨대 이별과 상사의 담론이 문화적으로 공유되면서 작품의 구조나 작시법의 차원에서 재구성 또는 재창조의 과정을 거치면서 ``서정화``를 지향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가곡, 시조, 판소리, 무가, 가사, 잡가 등 가창되는 모든 장르들이 텍스트 소통이 가능한 동일한 자장에 놓여있었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ansori and Sijo have a very heterogeneous generic nature because ``Narrative`` and ``lyric`` is a different way of describing essentially. The essence of epic genre makes a stereo description and the essence of lyric genre makes a exclusion of description. So it is difficult to harmonize these two genres from the beginning. But I assume tha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Pansori and Sijo is opened because they share same realization way as ``singing`` in case of the two genre. ``Narrative configurability`` would be acted when Pansori text accept Sijo text. When Sijo text is accepted to Pansori text, the effect can be achieved that is to contribute to the stereo description or to makes familiar things to the strange meanwhile adequately describing the situation or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from the side of a cultural discourse what the Pansori text is accepted to the Sijo text. There are cases to aim ``Lyricization``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reconstruction or recreation in a versification or a structure of the work how to culturally share discourses of farewell and adoration. In the meantime, there are also cases that the experience of enjoying narratives is involved to the subject of Sijo or sharing narrative. Confirmation is very important that the every singable genres like Gagok, Sijo, Pansori, Muga, Gasa, Japga are placed in the same field where the interaction among the texts is possible.

      • FRCM 시스템이 적용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휨 성능 평가

        최진형 ( Choi Jin-hyeong ),김병찬 ( Kim Byung-chan ),김동환 ( Kim Dong-hwan ),정찬유 ( Jung Chan-yu ),김길희 ( Kim Kil-h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최근 보수 · 보강공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FRCM 시스템으로 보강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FRCM 시스템 적용 유 · 무이다. 실험 결과, 무보강 실험체 비하여 FRCM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의 최대내력 및 연성 등의 휨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획논문> 도봉구의 전래 구비문학 - 도봉전자대전 사업과 관련하여 -

        최진형 ( Choi Jin Hy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19 No.-

        도봉구는 고려 및 조선 시대에 한성부(漢城府)의 성외 지역인 동시에 도읍지의 일부였고, 한때는 경기도 양주군(楊州郡)에 속했었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적 · 자연적 환경과 관련된 구비전승이 다수 전한다. 구비전승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구비문학인데, 그 갈래로는 설화 · 민요 · 무가 · 판소리 · 민속극 · 속담 · 수수께끼 등을 들 수 있다. 도봉구 지역 구비문학의 사례는 설화, 민요, 무가, 탈춤 등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도봉구 지역의 특색을 드러낼 수 있는 구비문학은 주로 설화에 집중되어 있다. 도봉구에는 신화류의 이야기가 거의 전하지 않고 전설, 민담류의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전설에는 지역명 유래담이 많이 전하며, 효자, 효부에 관련된 이야기도 많이 전한다. 민담에는 도봉 지역이 과거 서울 외곽에 해당되는 지역이었다는 점이 작용하여 임금들의 암행(暗行)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풍부하게 전한다. Dobong-gu was a area of the outside Hanseong castle and a part of the capital city in Joseon Dynasty simultaneously. It belonged to Yangju-gun, Gyeonggi-do once, so there are lots of oral heritages in Dobong-gu relative to its historical and natural environment as well. Oral literature is the most typical thing in oral heritages. There are many types in oral literature such as tales, folk songs, shaman songs, Pansori, folk dramas, proverbs and riddles. Cases of oral literature in Dobong region are discovered its vestiges in tales, folk songs, shaman songs and traditional Korean masked dances. However, oral literature which presented regional distinct characteristic is mainly centralized on tales. Stories of myth type are rarely passed down in Dobong region but the stories of legend and folktale type are transmitted well. In the legend type, stories about the origin of place name are passed down a lot, and stories related to devoted sons and devoted daughter-in-laws are also transmitted a lot. In the folktale type, there are many stories in associated with king’s incognito traveling abundantly. It is affected by the fact that Dobong region was placed on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city.

      • KCI등재

        재담의 존재양상을 통해 본 < 흥부전 >의 전승과 변모

        최진형 ( Choi Jin-hyung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 흥부전 >은 설화의 모방담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작품의 전체적 구조는 대립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단순화하면, 흥보의 가난함과 선함이 놀보의 부유함과 악행에 대립되며, 보상을 받은 흥보와 몰락한 놀보가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실제 작품에서 이러한 대립쌍이 동등하게 취급되지는 않는다. 흥보의 가난과 그의 가족이 겪는 고통은 중시하지만 놀보의 부유함 자체에는 집중하지 않는다. 또한 흥보의 선함과 보상에 비해, 놀보의 악행과 몰락은 훨씬 높은 강도로 다루어진다. 말하자면, 흥보의 ``가난``과 놀보의 ``몰락``이 작품의 주요 관심사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가난과 몰락, 즉 타인이 겪는 ``불행``은 편안하게 지켜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 흥부전 >에 재담이 필요했던 이유, 특히 판소리 공연물 < 흥보가 >가 재담소리로 간주되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재담은 보통 재치있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지칭된다. 언어의 묘미를 살린 이야기에서 재미를 느끼거나 웃을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 흔히 가벼운 언어유희로 다뤄지기도 하지만, 날카로운 풍자나 기발한 착상을 통해 반성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 흥부전 >에 나타난 재담은 가난한 자의 참상과 고통을 지켜보는 데에, 또한 탐욕스러운 자에 대한 단호한 징치를 바라보는 데에 도움을 준다. 웃음으로 눈물을 씻어내기도 하고 웃음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반추하게 하기 때문이다. < 흥부전 >의 사설은 전승의 과정에서 적지않은 변모를 보인다. 물질 위주의 자본주의적 가치관이 팽배하게 되면서 인간에 대한 시각, 세계에 대한 시각이 심각한 굴곡을 겪게 된 것이 시대의 저변을 흐르던 변화 요인이라면, 판소리의 향유층이 확장되고 변동되면서 사설과 음악의 고급화를 지향하게 된 것은 표면적 변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흥보의 인물상에 무능함과 뻔뻔함이라는 성격이 덧입혀지기도 하고, 놀보의 박사설이 대폭 줄어들거나 육체적 징치가 소거된 채 경제적 몰락 위주로 바뀌게 되기도 하였다고 판단된다. 재담의 경우, 흥보 가족이 겪는 가난이 희화화의 대상으로 다뤄지거나 상업적 웃음을 유발하는 데 그치는 등 심각한 변모를 겪었음이 확인된다. < Heungbujeon > has a nature of being an ``imitation story``, so the piece has a structure of conflict. To simplify, the poverty of Heungbo(흥보) and the wealth of Nolbo(놀보) is being opposed to each other. Heungbo who was rewarded, and Nolbo who was ruined are also being opposed. However, these oppositions are not treated equally in the actual piece. The poverty of Heungbo and the pains his family experienced are emphasized, but the wealth of Nolbo is not. Also, compared with the reward for Heungbo`s good nature, Nolbo`s evil deeds and his ruin are handled with a much bigger scale. Heungbo`s poverty and Nolbo`s ruin, so to speak, is the primary interest of this piece. Poverty and ruin(the unhappiness of others) are not something that can be watched comfortably. That is why jaedam is needed in < Heungbujeon >, and especially why pansori(판소리) performance < Heungbujeon > was assumed as a Jaedamsori. Jaedam usually means ``a witty and amusing story``. Think of stories that can make one laugh or feel amused because they contain the charm of the language. They are commonly treated with light ``plays with words``, but causing reflective thinking by using sharp satire or brilliant ideas also appears frequently. The 재담 that appeared in < Heungbujeon > helps one look at the misery and horrors the poor go through, and the stern punishment applied to those who are greedy. That is because it causes readers to clean the tears with laughter or learn a new meaning within that laughter. The saseol(辭說) of < Heungbujeon > went through countless change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s capitalistic values started to overflow, the viewpoint on human beings and the world went through a serious deformation, and that controlled the base of the era.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audience of pansori, which led to the pursuit of gentrification for saseol and music, is the superficial reason for the changes. It is judg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incompetent`` or ``brazen`` were added to Heungbo`s personality, the story of Nolbo`s bak(박) reduced immensely or the physical punishment given to Nolbo got deleted and changed to financial collapsing. Also with jaedam, the poverty that Heungbo`s family experienced is treated as targets for caricature or just commercial laughter. As shown by these facts, serious transfigurations are identified in this piece.

      • KCI등재

        고전문학 : 판소리 서사체의 주제에 대한 일고찰

        최진형 ( Jin Hyung Choi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국문학의 다른 분야와 달리 판소리 서사체의 `주제`를 다루는 데에는 매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판소리 서사체는 공연물로서의 `판소리`, 언어적 제시 형태인 `판소리 사설`, 변개 과정을 거쳐 독서물로 자리잡은 `독서물화 된 판소리 사설`을 아우르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소리계 소설`이란 용어로 여러 개념을 뭉뚱그리고, 수많은 이본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일한 주제론을 펼치는 것은 커다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이원론적 주제론은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소리의 구조와 주제를 총체적 차원에서 아우르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게다가 교육 현장에서 무비판적으로 활용됨으로 인해 주제 인식의 고착화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주제 인식은 향유자의 기대지평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면서 구현된다. 그러므로 판소리 서사체의 일반적 향유자와 중인층·양반층, 그리고 현대 향유자의 주제 인식은 모두 상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양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면서 주제를 논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주제 구현의 구체적 요소로 서술자의 태도, 인물 묘사, 갈등 전개와 결말 방식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향유자의 의식을 이본에 반영할 가능성이 높아 당대의 주제 인식은 물론이고, 주제 인식의 통시적 변화상을 파악해 내는 데에도 용이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동시에 판소리가 우리에게 전하고자 했던 궁극적 전언을 제대로 읽어낼 때 바람직한 주제 파악에 한 발 다가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t is necessary to give extra attention to study on literary theme of Pansori narrative differing from on other field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ecause the concept of Pansori narrative implies `Pansori(being played)`, `Pansori Saseol(being presented by language)` and `Pansori Saseol as a textbook(being a textbook with changing process)`. So we should not argue generally with the idea such as the novel based on Pansori that the Pansori narrative have limited themes without concerning different version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me has been realized with answering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horizon of expectation by readers and audience, therefore each of the general participants, Yangban classes·Jungin classes and contemporary readers hav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theme separately. Now I argue that we need an attitude to research themes with considering vary possibilities. Elements of the realization of the theme are consist of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the character description,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nd the process of closing. These elements have a high chance of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readers and audience, so they make easy to figure out the times understanding of the theme and diachronic change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heme. I conclude that we need to have a positive consideration for the elements and a proper reading for the message of Pansori in order to figure out the t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