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지식론 "판소피아"(Pansophia)와 Royal Society 설립배경의 관계

        최진경 ( Jin Kyoung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3

        17세기 영국 왕립학술원(Royal Society)에 관한 사이프랫(Syfret)의 연구동향에 따르면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왕립학술원의 ‘기원’ 연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 왕립학술원의 기원, 즉 왕립학술원 형성 과정에 외국인이자 체코의 교육.신학자인 코메니우스(JohannAmos Comenius, 1592-1670)가 연관되어 있다는 논의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메니우스가 과학연구단체인 이 왕립학술원 형성과정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코메니우스의 판소피아 사상’, 둘째 ‘하틀리브 써클(Hartlib Circle)과 코메니우스의 영국방문’ 그리고 셋째 왕립학술원의 전신(前身)인 ‘1645년 그레셤 칼리지 그룹(Gresham College Group)’이다. 이 세 가지 논의를 통해 먼저 코메니우스의 판소피아 사상이 왕립학술원의 초창기 모임과코메니우스가 연결되는 발단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코메니우스는 하틀리브 써클을 통해 자신의 판소피아 사상에 기초하여 학문의 토대와 사회전반에 대한 개혁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학자들의 연합 학술단체 설립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왕립학술원의 형성과정과 연결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discloses how Comenius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For this, three topics are dealt with in the main discourse: ‘Thought of Comenius`` Phansophia’, ‘Hartlib Circle and Comenius`` visiting in England’ and ‘1645 Gresham College Group as precursor of Royal Society’. The reason why these topics are dealt with is that first, Pansophia of Comenius, a system of knowledge including the realms of human activity for world reform, gave a stimulus to the necessity of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 like the Royal Society, and made the clue of interacting with important figur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Second, Hartlib Circle, based on the spirit of Comenius` Pansophia, prepared for Comenius` visiting in England for reformation of knowledge, British schools and churches. And during his visiting in England, Comenius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1645 Group’, precursor of the Royal Society, in discussing with Hartlib Circle formation of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 as preparation for the world reform. By the research,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thought of Comenius` Pansophia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menius and the Royal Society and that Comenius was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presenting overall direction of reforms based on his Pansophia through the Hartlib Circle, and encouraging scholars to establish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The purpose of this paper discloses how Comenius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For this, three topics are dealt with in the main discourse: ‘Thought of Comenius`` Phansophia’, ‘Hartlib Circle and Comenius`` visiting in England’ and ‘1645 Gresham College Group as precursor of Royal Society’. The reason why these topics are dealt with is that first, Pansophia of Comenius, a system of knowledge including the realms of human activity for world reform, gave a stimulus to the necessity of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 like the Royal Society, and made the clue of interacting with important figur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Second, Hartlib Circle, based on the spirit of Comenius`` Pansophia, prepared for Comenius`` visiting in England for reformation of knowledge, British schools and churches. And during his visiting in England, Comenius had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1645 Group’, precursor of the Royal Society, in discussing with Hartlib Circle formation of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 as preparation for the world reform. By the research,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thought of Comenius` Pansophia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menius and the Royal Society and that Comenius was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Royal Society, presenting overall direction of reforms based on his Pansophia through the Hartlib Circle, and encouraging scholars to establish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Scholars.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교육개념 팜패디아(Pampaedia) 의미 고찰

        최진경(Jin Kyoung Cho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5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6

        ‘파이데이아’는 오랫동안 교육사(敎育史)에서 중심적인 교육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근대교육학의 창시자 코메니우스(J. A. Comenius)는 기존의 이 ‘파이데이아’ 개념에 ‘판-’을 접두어로 붙여서 새로운 교육개념 ‘판-파이데이아’(πᾶν-παιδεία, pan-paideia), 즉 ‘팜패디아’(Pampaedia)라는 독특한 교육개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개념을 토대로 자신의 교육이론을 전개하며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메니우스의 교육개념 팜패디아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파이데이아 교육개념과의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코메니우스는 성경적-신학적 인간론에 기인하여 인간의 본성을 이성 · 덕성 · 경건성(신앙)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이러한 인간본성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팜패디아 교육개념을 통해 드러내주고 있다. 팜패디아 개념연구를 통해, 팜패디아는 성장세대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과 인간의 전 생애를 아우르는 평생교육적인 의미와 신앙형성을 중요시하는 교육으로써, 파이데이아 개념보다 더 포괄적인 교육개념임을 보여주었다. 이에 팜패디아 개념은 ‘기독교 전인적 평생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Paideia’ has been understood as a central no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However, Comenius, the forerunner of modern education, created a new educational notion, ‘Pan-paideia’(πᾶν-παιδεία), namely ‘Pampaedia’, by attaching a prefix of ‘Pan’ to the existing conception ’Paideia’. And based on the notion of Pampaedia, Comenius expanded and systematized his theory of educ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Comenius’ educational conception, Pampaedia’s uniqueness and the distinction from Paideia, and then revealed the educational meaning contained in Pampaedia. In the current study of concept of Pampaedia, Comenius shows human nature includes reason-virtues-piety(faith), and pursues the perfection of the human nature. Pampaedia, differing from Paideia, focuses on education for not only growing-generation, but also all human being and on building of religious piety, therefore Pampaedia encompasses more modern and more universal educational conception than Paideia does. Therefore Pampadia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ion of ‘Christian lifelong education for whole man’ having harmony and completeness.

      • KCI등재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Unitas fratrum) 교육실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최진경 (Jin-Kyoung Cho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1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Unitas fratrum)는 15세기에 체코의 얀 후스(Jan Hus)의 교회갱신운동의 영향으로 탄생한 작은 개신교 신앙공동체이다. 이 교회 공동체는 구교와 신교의 종교전쟁가운데서 루터파 및 칼빈파와 교류·연합하면서 로마-가톨릭교회의 반(反)-종교개혁에 투쟁했던 중요한 신앙공동체였지만, 이들의 교회 정치적, 신학적, 교육적 유산과 영향은 교회사에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가 작은 규모의 공동체였음에도 로마-가톨릭교회의 끊임없는 박해가운데서도 성경의 진리를 따라 교회 개혁적이며 세계 개혁적인 공동체로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의 지대한 교육적 노력 때문이었다. 또한 이들의 교육적 노력의 한 열매로 위대한 교육신학자 코메니우스(Jan Amos Comenius)가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들의 교육적 노력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형성의 자양분이 되었고, 코메니우스 또한 이들의 교육적 노력을 더욱 체계화하는데 기여했기 때문이다. 이에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교육적 활동을 조명해 보는 것은 기독교 교육사적으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교육적 활동을 살피고 기독교 교육사적 가치를 밝히며 그 영향을 드러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의 교육 실제를 신앙교육과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 과정에서 코메니우스 교육과의 연관성도 드러내 주었다. 이 연구 결과 이 교회 공동체의 교육적 특징으로, 신앙과 교육에서 성경의 절대적 우위성, 기독교 신앙의 핵심요소로써 믿음-사랑-소망, 교리교육의 강조, 양성평등 교육, 인문교육과 신앙교육의 조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적 유산들이 코메니우스의 교육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Unitas fratrum’ is a small Protestant community which was born in the 15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urch renewal movement of Jan Hus of Czech. This Unitas fratrum was an important church community, having fought against the Counter-Reformation of the Roman-Catholic Church in association with Lutheran and Calvinist in religious wars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nd had church-political, theological and educational heritage and influence. However, sh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church history. It was above all because of her enormous educational efforts, that the Unitas fratrum was able to do function as a church-reforming and world-reforming church following the truth of the Bible in the constant persecution of the Roman-Catholic Church. Jan Amos Comenius, a great educational theologian, was born based on the educational efforts of Unitas fratrum. Her educational effort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Comenius’ educational thought and Comenius has als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Unitas fratrum.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and necessary research in Christian educational history to illuminat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Unitas fratr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Unitas fratrum and reveal her value and influence in Christian educational history, but also reveal its relationship with Comeniu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Unitas fratrum focusing on religious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as fratrum include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in religion and education, faith - love - hope as main elements of Christian faith, emphasis on catechesis, gender-equality in education, and harmony between artes liberales and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ese educational heritage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Comenius’ educational formation.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팜패디아(Pampa edia) 교육원칙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사상

        최진경(Choi, Jin-K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팜패디아』(Pampaedia)는 코메니우스(Johan n Amos Comen ius, 1592-1670)의 마지막 교 육학저서로써 그의 교육 사상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작품 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듬어지고, 모든 것으로 다듬어 지며, 확실하게 다듬어지는 것” (OMNES homines excoli, et OMNI BUS excoli, et OMN INÒ exc oli), 이것은 『팜패디아』의 중심문장이다. 이 중심문장에는 코메니우스의 세 가지 교육 원칙이 나타나있다: ‘모든 사람’(πάντ ες-omnes, 판테스-옴네스), ‘모든 것’(πά ντα-omnia,판타-옴니아), ‘ 확실하게’(πάντως-omn ino, 판토스-옴니노). 코메니우스는 이 단어 들을 통해 각각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방법에 관 한 교육원리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세 가지 교육원칙이 의미하는 바를 각각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또한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이 기독교 신앙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 결 과 팜패디아의 교육원칙에 나타난 중심 메시지는 하나님께로 되돌아가는 교육임을 보여주었 다. 이를 통해 코메니우스의 팜패디아 교육은 기독교적인 교육으로써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신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해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Pampaedia is an important work in Comenius- research as the last pedagogical writing of Johann Amos Comenius(1592-1670). “All men is to be developed in all respects and in all thoroughness ”(OMNES homines excoli, et OMNIBUS excoli , et OMNINÒ excoli). This is the core-statement of Pampaedia. The statement shows t hree principles of Comenius' educat ion ‘all men’(πάντες-omnes), ‘all respects’’(πάντα-omnia), ‘all thoroughness’(πάντω ς-omnino). Through these three words Comenius deals with educational principles about educational target-student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The current study revels what each of three educational principles means and then shows that Comenius' educational though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ough t of Christianity. Furthermore, the study states that the education of Pampaedia may be a theoret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Because the central message of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pampaedia shows an education returning to God.

      • KCI등재

        일반 :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와 전인적(全人的) 신앙교육 방향

        최진경 ( Jin Kyoung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기독교 신앙교육은 인간의 전인격성(全人格性)에 기초한 돌봄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기독교 교육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성경은 인간을 지정의(知情意)라는 통합적 인격체로 이해하고 있고, 이러한 인간의 전인성 회복에 관심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메니우스의 인간론(하나님 형상론)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인적 신앙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서론에서는 코메니우스 인간이해에 대한 연구가 기독교 토대연구로써의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전인으로써의 하나님 형상에 대한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를 다루었다. 그는 하나님 형상으로써의 인간을 ``이성적 피조물``(知)이요, ``하나님의 대리자``(情)요,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意)로 이해하였다. 이에 그는 ``지성``, ``덕성``, ``경건성``을 인간의 본성을 이루고 있는 전인적 요소로 보았고, 이 지성과 덕성과 경건성 속에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존재자들 (하나님, 인간, 자연사물)을 이해하고 이들과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론에서는 지정의를 통한 전인적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전인적 신앙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즉 전인적 신앙교육의 목표는 인간의 하나님 형상회복에 있고, 교육과제는 인간의 지성과 덕성과 신앙심을 일깨우고 계발시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존재자들과의 관계성을 회복하는데 있으며, 교육내용은 지성과 덕성과 경건성 계발과 연관되어야 하며, 교육방법은 인간의 지정의를 고려한 것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는 하나님 형상론에 근거한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를 통해 전인적 신앙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방향성에 대해 다루었다. This thesis emphasize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the care based on human`s whole personality. Because the Bible, the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theory, understands the human as integral being of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First of all, this thesis looked into the thought of Comenius` Imago Dei, who insisted the restoration of the human nature as Imago Dei through a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He understood ``human as Imago Dei`` as ``rational being``, ``God`s representative`` and ``Being of having free will``. Therefore he saw ``intellect``, ``virtue`` and ``piety`` as the wholistic elements composing the nature of human, and in these three elements there is the capacity which can understand all beings(God, human being, natural things) around the human and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them. So in this main chapter it w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whole personal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 was talked in conclusion. Namely the goal of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al is to restore human nature to Imago Dei; educational task to awaken and develop intellect, virtue, and piety in human in oder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all beings in the worl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intellect``, ``virtue`` and ``piety``; educational method should consider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of human. This thesis introduced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rough the Imago Dei based on Comenius` anthropology.

      • KCI등재

        비대면(uncontact) 환경 속의 교회교육 과제

        최진경(Jin-Kyoung Cho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7

        코로나19로 인해 교회는 ‘비대면’(uncontact)이라는 새로운 교육환경을 경험하면서 교회교육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교회교육의 새로운 환경 변화 앞에서, ‘교회교육은 무엇을 견지하며, 무엇을 변화시켜야 할까?’ 본 연구는 이 물음을 가지고,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을 다시 돌아보며 이 시대에 교회가 해야 할 교육적 과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교회의 본질적인 특성(거룩성, 공동체성, 일치성)을 견지하며 이를 위해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복음 증거, 예배, 교제, 봉사)을 지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회교육은 이제 인간 삶의 다양한 경험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대를 이해하고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독교의 지식 전달을 넘어서 일상의 삶(경험)을 주목하고, 기독교 진리로 인간의 경험을 해석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수행을 위해 앞으로 교육방법론적인 연구 또한 더욱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Due to Corona-19, church is being asked for new changes in church education, as church experience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alled “uncontact”. In the face of the new environmental changes in church education, "What should church education hold and what should be changed?" With this ques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educational tasks that the church must do in this era by looking back on the essential ministry of the church.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tasks of church education were presented. First, whether contact or uncontac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holyness, communality, unity), and for this purpose, the essential ministry of the church (marturia, leiturgia, koinonia, diakonia) must be continued. Second, church education should now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experiences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to understand this era and communicate with peopl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uman experience beyond simply transferring knowledge of Christianity, and to interpret the human life experience with Christian truth.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성경이해에 기초한 초(初)신자 및 세례·입교 청원자 교육 커리큘럼 연구

        최진경(Jin Kyoung Cho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8 No.-

        신앙은 하나님의 선물로써 인간의 의도와 계획에 의해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가르치는 교육적 행위는 기독교교회의 역사와 늘 함께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자신이 세우신 사역자들의 교육적 활동을 통해 구원사역을 지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사역자들이 행해야할 중요한 교육적 직무가운데 하나로써 초신자(初信者) 및 세례입교 청원자 교육의 중요성을 교육-신학적 관점에서 논하며 이를 위한 교육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먼저 서론에서는 신앙교육이 교회 공동체의 신앙의 기초석(基礎石)을 놓는 중요한 사역으로써 교회의 본질적 과제임을 상기시켰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초신자 및 세례입교 청원자를 위한 주요 교육내용으로 ‘믿음-사랑-소망’을 가르쳐야 함을 교육-신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왜냐하면 믿음-사랑-소망은 성경과 교회의 전통적인 카테키즘(Catechism) 신앙교육의 핵심이며 기독교 진리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믿음-사랑-소망’을 초신자 및 세례입교 청원자 교육을 위한 교육적 틀로 삼고 이를 교과과정(Curriculum)의 주제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신자는 세례입교 후에도 지속적으로 믿음-사랑-소망에 대한 주제를 심화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Christian faith as the present of God can not be obtained through human"s intention and plan. Nevertheless, educational actions have gone in company with the history of Christian church. Christ still keeps doing his work of salvation through their educational actions which are having done by his workers called by himself. This study asserted that the importance of religious education was discussed from the educational-theological view because it was one of the ministry"s educational tasks and then a curriculum for new christians and catechumen was suggested. First in the introduction of the paper, it was reminded that religious education was an essential task of church, which laid the foundation of faith for the church community. And then in the main section, it was mention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teaching of "faith-love-hope" as principal educational contents for new christian and catechumen in the educational-theological perspective. Because "faith-love-hope" is not only the core of the Bible and the catechism, but also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truth. Thus, this paper suggested that "faith-love-hope" should be the educational frame for new christian and catechumen and then based on the teaching of "faith-love-hope". the concrete curriculum for them was proposed. And then in the section of conclusion, the paper referred to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briefly. It was also asserted that the follow-up curriculum which was capable of confirming and deepening the teaching of "faith-love-hope" was required for those believers even after their baptism. Furthermore, I believe church"s lasting educational effort for the Christian truth can be contributed to its role as a guard of truth.

      •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 연구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최진경 ( Choi Jin K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이 연구는 여성영웅소설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성영웅소설은 젠더의식 함양과 다양성 수용 등과 관련된 교육적 가치가 있다. 특히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이와 같은 교육적 가치를 잘 구현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현행 교육방향을 함께 고려하여 효과적인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흐름 및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여성영웅소설이 처음 교과서에 수록되기 시작한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국어과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여성영웅소설 교육이 갖는 몇 가지 방향성과 개선되어야 할 지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 문학의 특질로서 ‘영웅의 일대기 구조’의 교육은 문학사적 지식의 측면이 아닌 서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둘째, 수록 제재의 다양화라는 추세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재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 활동이 작품을 통해 얻은 지식, 기능, 태도를 학습자의 실제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방한림전>의 교육적 의미는 크게 두 측면에서 규정된다. 먼저 장르관습의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서사의 탈피 양상을 띤 개성적인 텍스트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긍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창작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주제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다양한 삶의 형태를 내포하고 있어 젠더와 소수적 삶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효용을 지닌 작품으로 학습자의 비판적·창의적 사고 유발을 돕는다. 다만 <방한림전>은 장르관습에서 탈피한 변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영웅소설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홍계월전>과 <방한림전>을 함께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습 과정을 설계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도입, 이해, 적용, 심화의 네 단계로, ‘작품 감상 → 작품의 서사구조 비교 → 작품의 주제의식 비교 → 토론’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고전에 흥미를 느끼고, 고전을 통해 다양한 가치를 학습하여 실제 사회에서 접하게 될 다양한 문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thod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In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have an educational value related to developing gender consciousness and accepting diversity. In that sense, BanghallymJeon is a representative work of female heroic novels. Therefore, this study design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Before mapping out the curriculum, we survey the tendency of female heroic novels education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in which female heroic novels were first included in textbooks, to the latest textbooks revised in 2015. First, the biographic narrative structure of hero, a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needs to be edu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continuity rather than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Second, the education of various literary works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s in textbooks. Third, this paper point out that learning activities are required to be newly composed as a process that can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quired through the text to the real world. The educational meaning of BanghallymJeon is newly described in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genre conventions, BanghallymJeon is defined as a unique text since it is a break from the traditional female heroic narratives. Second, in the aspects of the theme, it is explained as a story with a social utility because students can learn the proper perspective of various types of gender and minority from the topic of the story. Especially, BanghallymJeon is a variant form that breaks away from genre conventions, so that learning effect will maximize when an understanding the classical example of female heroic novels is premised. Thus, the learning process was designed to utilize both HonggyewolJeon and BanghallymJe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including introduction,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advancemen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classic novels and learn various values through classics to foster attitudes that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