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수학의 변화

        최종성,Choi, Jong-Sung 한국수학사학회 200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0 No.1

        프랑스 혁명이라는 렌즈를 통하여 사회적 변화가 수학에 어떠한 경로로 어떤 변화를 야기 시키게 되었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활동한 주요한 수학자들의 삶의 궤적을 추적함으로써 수학자 개인 혹은 집단과 사회의 관계를 볼 것이다. 혁명은 모든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불어넣는다. 새로운 국가는 위기타개를 위해 과학자들에 의무를 부여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과학자 집단이 생겨나게 된다. 이는 수학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정치적 재배치와 에꼴 폴리테크닉으로 대변되는 교육 개혁은 수학에 있어서 카르노와 몽주로 대변되는 소수의 새로운 기하학 분야가 주류의 해석학과 어깨를 견줄 정도로 성장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되는 사실을 살펴본다. This paper examines a historical case- the French Revolution- of conceptual change in mathematics. The case that is a space of possibility gave birth to a new community of mathematical practitioners. Carnot and Monge shared the particular conceptions of the problems, aims, and methods of a field and contributed to found Ecole Polytechnique. I intend to show how Carnot's and Monge's mathematical endeavours responded to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French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무업(巫業) 없는 무당 -개종상황에 놓인 조선의 무당들-

        최종성 ( Jong Seong Choi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4 宗敎學硏究 Vol.32 No.-

        This article attempts to approach the situation of shaman``s conversion to other religious community in Joseon Dynasty. The academic study of shamanism seldom pays attention to deconversion or apostasy from shamanic beliefs and practices. It, rather, emphasizes on shamanic initiatory crisis and ordeal, rite of passage, and religious function of the shamanic practitioner. In fact, the dominant academic trend towards the shamanizing processes provides a focus on the changeless and everlasting life of shamans even in the multiple religious society. But we can see numerous shamans who renounced their own religious practices and specialty in premodern Korea. They sometimes gave up their shamanic trade and sold off their paraphernalia(steel rattles and swords) in a hurry at a dirt cheap price, in order to follow Saengbul (Living Buddha) or Mireukbul(Maitreya) living at that time. They were no longer ritual practitioners but rather religious consumers who converted to other charismatic religious movements. This article is just the beginning for the study of Korean shaman``s conversion situation. We need to collect the historical and ehthnographic detail that can analyze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shamanic conversion situation.

      • KCI등재

        조선 전기의 종교문화와 무속

        최종성(Choi Jong-Seong)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1

        한국 무속은 한국인의 간절한 종교경험을 담고 있는 종교문화이다. 종교문화의한 현상으로서 무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종교문화와의 관계 혹은 전체 종교문화의 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는 우선, 조선 전기의 종교문화 속에 처한 무속의 종교문화적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당시 지배종교였던 유교의 타종교에 대한 문화론을 점검한다. 유교는 이론적인 벽이단론과 제도적인 힘을 바탕으로 한음사론을 통해 타종교문화에 대한 反혼합주의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중에서도 무속은 대중적인 의례문화를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음사론의 주된 대상이었다. 조선전기에 무속은 유교문화의 이상을 더럽히는 위험한 오염원으로 간주되었지만, 비상시에는 고대의 문화적 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권도의 문화론에 힘입어 별기은, 기우제, 치병 및 저주 등의 종교문화를 지속할 수 있었다. 그러나 16세기에 공식적인 국행기은이 종식된 채 외산천의 내행기은만이 은밀하게 지속되었고, 17세기에 폭무기우와 별기은식의 산천기우도 유교식의 종교문화로 대체되었으며, 18세기에 법제가 강화되면서 서울 내에서의 무속 치병과 저주술은 크게 위축되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Musok’s religious culture in its relationship with Confucianism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escribe early Chosun Musok as a religious culture, we need to understand the religious background surrounding it. Accordingly a point to be considered firs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non-Confucianism(Buddhism, Taoism, Musok etc.). It is natural that there can be both syncretism and anti-syncretism between the two religions. But Confucianism laid great emphasis on anti-syncretism to protect the religious authenticity and purity. Confucianism built up cultural identity through exclusion non-Confucian cultures. Among Chosun Confucian, the notion of proper ritual(正祀) and improper ritual(淫祀) was a widely accepted idea functioning as a framework which helped them to differentiate Confucian culture from non-Confucian cultures, specifically Musok. Confucians aimed at enhancing the purity and ideals of Confucian culture by establishing the proper ritual and simultaneously endeavored to exclude Musok by classifying it cultural pollution sources and regualating the improper ritual. But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 Confucianism accepted Musok in the event of a disaster, usually supported by an apologetics of a way of adapting to exigent circumstances(權道). Although Musok byogieun(別祈恩), rainmaking ritual(祈雨祭) and therapeutic /anti-therapeutic ritual were the target of Confucian criticism for being excessive and improper, they continued to serve an important function for nation or royal family and masses by seeking blessings and warding off misfortune. Confucianism could not substitute official Confucian ritual for Musok ritual. As a result, Musok ritual continued to exist as national rituals in the Confucian society until 17th century.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의례 매뉴얼과 민속종교

        최종성(Choi, Jong-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관혼상제를 다룬 의례 매뉴얼의 출간과 필사가 일제강점기에 범람을 이루었다. 그러한 의례 매뉴얼은 대개 의례준칙, 사례서, 축문집, 종교예식서, 일용예식서 등 5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런 5종의 의례 매뉴얼은 목표와 내용이 서로 달랐지만, 당대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민속과 종교의 형성에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상통하는 면이 있다. 당시 의례 매뉴얼은 엘리트 지식인의 지적인 성과물이기보다는 전근대의 예서와 문집에서 폭넓게 발췌하고 시대적 변화에 맞춰 첨삭을 가하는 수준에서 편집 · 발간된 것이며, 근대 인쇄술의 원조로 특정 계층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유통되었다. 의례 매뉴얼은 깊이보다는 넓이를 강조하고 체화보다는 참조를 중시하는 민속지식을 대량으로 보급시키고 확산시켰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례 매뉴얼에 대한 질적인 분석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그것이 얼마나 일반인들에게 참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양적 이해라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의례 매뉴얼의 이해를 통해 당대는 물론 이후 20세기 민속의례 및 민속종교의 방향과 특질을 읽어내는 통로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Many kinds of ritual man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were publish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itual manuals are classified by 5 different types: ‘ritual standards’, ‘rit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ritual books for the written prayers’, ‘religious ceremonial books’, and ‘general manners books’. All of them contributed much to the formation of folk rituals and religions, even though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ch book were different. The ritual manuals were not intellectual results of elites, but rather compilations of pre-modern ritual books and contemporary manners. These were widely spread among the people with the help of modern printing techniques. The ritual manuals aimed at common readers who wanted to look for ritual references easily. They were not just made for the special upper class.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ritual and religion of the 20<SUP>th</SUP>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ritual manual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