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최종서 ( Jong Seo Choi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1

        연구개발 지출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연구에서는 주로 횡단면 회귀식 혹은 패널회귀식의 분석에 의존함으로써 이익 혹은 주가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회귀모수가 상이한 기간 및 기업 사이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왔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개별기업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이익이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에 따른 효익을 반영하며 주가가 과거와 현재의 연구개발 지출이 생성하는 효익의 경제적 가치를 반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익모형과 주가모형의 두 개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지는 재귀적 연립방정식을 추정한다. 이익모형은 이익을 유형자산, 광고선전비 및 연구개발비의 함수로 설정하여 보고이익수치를 통하여 실현된 연구개발 지출의 효익을 측정한다. 주가모형은 지분의 시가를 장부가치, 비정상이익 및 연구개발비의 함수로 설정하며 회계수치와 연구개발 지출에 대한 시장에서의 평가를 측정한다. 이 연립방정식 체계에서는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이 이익을 생성하고 이익이 시장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모형의 회귀계수는 기업별로 별도로 추정된다. 분석결과 횡단면분석 혹은 패널 접근법에 의존하고 있는 여러 선행연구와는 달리 연구개발지출이 경제적 효익을 지닌다는 데 대한 지지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다. 이익모형의 추정결과 이익이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의 효익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난 기업은 전체 표본의 10-15%에 불과하였다. 또 주가모형의 분석에서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체기업의 20% 미만에 지나지 않았다. 추가적인 강건성 검증에서 이익의 척도 및 변수의 형태를 달리하여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에 통합표본 및 연도별표본을 사용한 추가적 횡단면분석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연구개발 지출과 이익 및 주가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횡단면 접근방법이 생략변수 혹은 예외치의 영향을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동일한 자료로부터 접근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관찰될 수 있다는 사실은 회계변수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함에 있어서 연구방법의 선택에 보다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반드시 시계열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한다거나 횡단면연구에 입각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지출과 기업이익 및 주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기존의 관념에는 중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개별 기업의 수준에서 연구개발 지출의 경제적 효익은 다수의 횡단면 연구에서 제시하는 것만큼 강건한 것은 아닐 수 있다. The literature on the economic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xpenditures is based primarily on cross-sectional regressions or panel data regressions with time and firm fixed effects such that the parameters relating R&D to accounting earnings and/or market value are cross-sectionally constant. This paper utilizes firm-specific time-series data to examine whether reported earnings reflect benefits from past R&D expenditures and whether market values impound the economic value derived from the benefits of past and present R&D expenditures. This study estimates a recursive system of two equations: one for earnings and one for valuation. The earnings equation associates earnings with recorded tangible assets, advertising, and R&D expenditures. It intends to extract realized R&D benefits from reported earnings numbers. The valuation equation relates market values of equity to book values, abnormal earnings, and R&D expenditures. It determines how the accounting and R&D numbers are valued in the market. This system of equations assumes that past R&D generates earnings that create market value. Model parameters are estimated for each firm separately. Unlike many previous studies based on cross-sectional and panel data analyses, this study finds very weak empirical support for the economic benefit of R&D expenditures. The results from the earnings equation indicate that reported earnings reflect realized benefits from past R&D for only 10-15% of the sample firms. The results from the valuation equation indicate that R&D affects firm valuation for only less than 20% of the sample firms at best. In a series of additional robustness tests, regardless of earnings measures and the types of variables, very weak empirical support remained to prevail. More specifically, I estimate polynomial distributed lag (PDL) models with varying lag terms both for earnings and valuation equations. Valid data for earnings, prices, book values, R&D expenditures, advertising expenditures, tangible assets for 18 consecutive years were available for 168 firms from 1990 to 2007. In the earnings equation PDL model, the cross-sectional mean and median of the sum of lagged coefficients of total R&D expenditures are of negative values. Moreover, the firms with 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 estimates outnumber their positive counterparts. I find that the aggregate R&D parameter estimat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at 0.1 level for only 22 firms out of 168 sample firms. Similarly, in the valuation equation PDL model, the cross-sectional mean and median of the comparable coefficients are negative. The R&D valuation parameter estimat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for only 18 firms at 0.1 level. In an additional analysis, I conduct cross-sectional analyses on pooled and yearly cross-sectional samples both for earnings and valuation equation models. Interestingly,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both models are significantly positive, largely consistent with many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cross-sectional approach. This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time-series and of cross-sectional approaches suggests that either or both approaches could be fraught with technical problems. From the standpoint of time-series context, cross-sectional analysis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The cross-sectional approach makes use of comparisons across firm expenditures on R&D. Comparisons across firms can only isolate the effects of R&D if they control for other influences on earnings or market values that may vary from one firm to another. However,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observe and control for all firm differences that could affect earnings or market values. This possibility of correlated omitted variables bias is one of the primary disadvantages of cross-sectional models of R&D. Futhermore, the coefficient estimates in crosssectional studies may be influenced by firm outliers, which is likely to be the cas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ime series approach is superior to cross-sectional or panel data approaches and that many of the prior studies are problematic. Nevertheless, this paper raises significant doubts about the seemingly robust finding that R&D and corporate earnings and market valu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he economic benefit of R&D expenditures is simply not as robust as many of the existing literature appears to indicate on a firm level basis.

      • KCI등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채무 대비 연금자산의 적립수준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최종서(Jong-seo Choi),노정희(Jung-hee Noh)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는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채택한 기업을 대상으로 퇴직급여채무 대비 연금자산의 적립수준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한 연구이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는 퇴직급여채무 대비 연금자산이 법적으로 권고하는 최소수준에 미달하여 적립될 경우, 3년 이내 이를 해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근로기준법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는 임금채권과 퇴직금채권이 다른 채권에 비해 우선적으로 변제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기업의 도산이나 파산 시 다른 채권에 비해 퇴직급여채권이 1순위로 변제되므로 퇴직급여채무와 적립수준에 관한 회계정보는 채권투자자들의 의사결정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당기의 퇴직급여채무 대비 연금자산의 적립수준이 높을수록 차기의 회사채 신용등급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적립수준이 전년도 대비 감소하는 기업일수록 다음해에 회사채 신용등급이 하향조정 되는 경향도 확인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효과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 요구하는 최소적립수준에 미달하는 과소적립기업들에게서만 관찰되어 퇴직급여 지급재원의 과소적립과 과대적립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비대칭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unding level of defined benefit pension liabilities affects corporate bond ratings. In order to pursue the research objective, we collect 3,194 firm-year observations of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in the KRX which adopted DB pension plans over the period of 2005 to 2014. We employ ordered probit model for test purpose whereby corporate credit ratings are regressed on pension funding levels and control variables. We also use ordinary least square analysis to examine whether the magnitude of funding level changes is associated with the bond rating changes. According to the Guarantee of Workers` Retirement Benefit Act (Article 16), firms with DB pension plans shall maintain the ability to pay the benefits. In order to secure such ability, employers are required to maintain “minimum level of reserve” at the end of each fiscal year. If the reserve balance proves to be less than the required minimum level at any fiscal year end, employers should make up for the deficiency in the following 3 years. The replenishment process has a direct impact on the company`s internal cash resources. Moreover, pension liabilities shall be paid in preference to taxes, public charges and other claims. When a firm goes into bankruptcy,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are senior to secured or unsecured bond payments. As such, the claim of unfunded pension obligations could potentially reduce the future payoff to other bondholders, resulting in lower credit ratings.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low pension funding level tends to decrease bond`s credit rating. In addition, an improvement or deterioration of pension funding levels is associated with bond rating changes. We fi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ore pronounced for under-funded firms, whose reserve balance is below the required minimum level. This study is, to our knowledge, among the first research endeavor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on corporate bond credit ratings in Korean capital market context. Notably in this paper, we document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ing level of DB pension plans and corporate credit ra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corporate bond investors and contribute to rational decision making by capital market participants.

      • KCI우수등재

        이연법인세 정보를 이용한 이익조정의 탐지

        최종서 ( Jong Seo Choi ),문승엽 ( Seung Yup Moon ) 한국회계학회 2008 회계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와 관련된 측정치들이 경영자에 의한 이익조정을 탐지 혹은 식별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경영자가 회계기준 하에서의 재량의 여지를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하면 장부이익은 상대적으로 엄격한 세법규정 하에서 산출되는 과세소득과의 사이에 차이를 초래한다. 재량적 이익조정은 특히 일시적 차이에 영향을 주고 이는 이연법인세의 수준 및 변동에 반영되므로 이연법인세 정보를 활용하면 이익조정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 이연법인세 회계제도가 시행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으로서 금융업에 속하지 않으며 이연법인세를 보고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연법인세 관련변수인 이연법인세대, 이연법인세의 순변동, 이연법인세의 비기대변동이 상이한 이익조정 유형을 판별하는지, 또 전통적인 발생액 관련변수들에 비해 증분적 탐지능력을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때 이익조정의 여부는 규모조정 이익수준과 이익변동의 횡단면분포를 이용하여 조작화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수준과 이익규모의 횡단면분포에서 비교적 높은 양의 값을 갖는 구간에서는 이익증가조정이, 그리고 음의 값을 갖는 구간에서는 광범위한 구간에 걸쳐 이익감소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익수준의 분석과 관련하여 이연법인세대, 순이연법인세변동, 비기대이연법인세변동의 순서로 이익조정을 판별하는 능력이 있었으나 발생액에 대한 증분설명력에 있어서는 순이연법인세변동, 비기대이연법인세변동, 이연법인세대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이익변동의 분석에 있어서는 순이연법인세변동과 비기대이연법인세변동은 넓은 구간의 비교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판별능력이 있었으나 이연법인세대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발생액에 대한 증분설명력에 있어서도 이연법인세변동과 비기대이연법인세변동만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익조정연구에 있어서 전통적인 발생액 예측오차모형이 지닌 측정오차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및 여기서 파생되는 이연법인세 관련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줌으로써 이익조정 연구의 방법론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연법인세 관련정보 공시의 질과 양을 향상시킴으로써 재무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재무제표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음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deferred tax related variables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Managers typically have more discretion in financial reporting than in tax reporting and can exploit such discretion to manage income that does not affect current taxable income. Such earnings management will generate book-tax differences that increase a firm`s deferred tax liability. Deferred tax related measures, therefore,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s well as the degree of a firm`s earnings management.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the 1999-2003 period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The empirical tests are designed to confirm differences in deferred tax metrics including the level of deferred tax liability, changes in net deferred tax, and unexpected changes in net deferred tax, between the two sub-samples classified by the level and the change of net and normal income. The incremental usefulness of these metrics over traditional accrual measures is another issue to be explored. One of the findings indicates that the firms in the upper positive intervals tend to exhibit significant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firms in negative interval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We find that the deferred tax metrics are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income increasing firms from control groups under the level study context, in the order of deferred tax liability, net changes in deferred taxes, and unexpected changes in deferred taxes. The incremental usefulness of these metrics relative to the accrual measures is the highest with the changes in net deferred tax, followed by the unexpected changes in deferred taxes. Under the income change study setting, deferred tax liability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The other two variables exhibit moderate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ion of earnings management. This implies that deferred tax information has the potential to convey relative qua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aside from book-tax differences. This study also paves a way to methodological improvement in the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by providing an alternative detection tool free from measurement errors.

      • 가속도계를 이용한 파고알고리즘 및 파고센서 개발

        최종성(Jong-Seong Choi),신홍렬(Hong-Ryeol Shin),서장원(Jang-Won Seo),김정식(Jung-Sik Kim),박상욱(Sang-Wook Park),정동근(Dong-kun Jung),박종수(Jong-Su Park),김임학(Lim-Hak Kim),박태용(Tae-Yong Park)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wave height algorithm and sensor. Principle of wave height algorithm was written and made with vertical acceleration measurement by means of an accelerometer placed on a Tilt Assembly System. The field-test of two times for data analysis of wave height sensor was lasted for 8 days with Development Sensor Buoy, Waverider Buoy(Waverider-SG) and Wave Radar(SM-050) in the east costal area. In data analysis of Development Sensor Buoy and Waverider Buo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 difference not exceeding 20㎝.

      • KCI등재

        K-IFRS 도입 이후 감가상각방법 변경기업의 가치관련성

        최종서 ( Jong Seo Choi ),공경태 ( Kyung Tae Gong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6

        본 논문에서는 K-IFRS 도입 이후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회계정책을 변경한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 회계수치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연속하여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를 함께 공시한 486개 회사로 패널표본을 구성하고 4년간의 분석기간에 걸쳐 1,944건의 기업-연도 관찰치를 수집하였다.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 258개 기업과 미변경기업 228개사의 가치관련성을 비교하였고 나아가 감가상각 회계정책의 변경으로 감가상각비가 감소한 177개 기업과 증가한 81개 기업의 가치관련성도 비교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표본을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상장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반복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변경기업과 미변경기업간의 표본선택편의에 의한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실시한 프로빗분석에서 부채비율, 경영성과, 장부가치 대시장가치비율, 기업규모는 회계변경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한편 대형회계법인의 감사를 받는 기업일수록 회계변경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에서 감가상각정책을 변경한 기업의 순이익은 가치관련성이 하락하는 반면 순자산 장부가치의 그것은 상승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순이익의 가치관련성 저하 및 순자산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 상승현상은 감가상각율이 하락된 집단과 상승한 집단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나 별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이용한 경우의 분석결과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넷째, 상장시장의 유형에 따라 표본을 구분하여 분석을 반복한 결과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순이익의 가치관련성 하락과 순자산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 상승이 재확인된 반면 코스닥시장 상장기업표본에서는 순이익과 순자산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이 함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xamine value relevance changes of primary accounting numbers of the firms which chose to switch depreciation policies for property, plant, and equipments subsequent to the adoption of K-IFRS. In order to pursue the research objective, we collect 1,944 firm-year observations by constructing a panel sample consisting of 486 listed companies which disclosed separate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ver 2009 and 2012 on a consecutive basis. We compared value relevance attributes of the financial information between 258 switching firms against 228 non-switching firms based on both separate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We also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with regard to 177 firms which experienced decreasing depreciation rates and 81 firms whose depreciation rat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depreciation policy changes. In addition, we replicated the afore-mentioned analyses for sub-samples classified according to market types, i.e., KRX versus KOSDAQ samples. Main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robit test reveals that the firms with lower leverage, lower operating performance as measured by ROA and CFO, lower book to market ratio, smaller size, and larger external audit firms are more likely to switch depreciation policies. Secondly, we observe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per share of the switching firms tends to decrease whereas that of book value per share tends to increase relative to non-switching counterparts. Thirdly, the switching firms which experience decreasing as well as increasing depreciation rates alike exhibit decreased and increased value relevance of EPS and BPS respectively, albeit with varying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eparate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Fourthly, in additional tests applied to sub-samples classified according to market types, KRX switchers exhibited declining and enhanced value relevance of EPS and BP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from the entire sample. On the other hand, the KOSDAQ switchers demonstrate decreasing value relevance both of EPS and BPS. In the aftermath of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K-IFRS for listed companies in domestic capital markets, a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achieved increased earnings and net assets, coupled with reduced depreciation expenses being reported in financial reports via depreciation policy changes. Tax authority chose to allow tax return reconciliation which recognizes depreciation expense as reported by tax payers with a view to alleviate tax burdens stemming from the increased earnings accompanied with depreciation policy changes. Consequently, the improvements in the income numbers pursuant to the depreciation policy changes did not ensue commensurate increases in tax liabilities which result in negative cash flow effects. We conjecture that the disconnection in the reported income numbers and the tax obligation caused by the tax concession is likely to have impeded the linkage between real value changes and the 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s. This line of inference leads to declining value relevance of EPS numbers. For a group of companies with increased depreciation expenses, the decreased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s expected as the decreased net income numbers are accompanied by stable tax burdens, there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stock price and bottom line income numbers. The pervasive decrease in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regardless of the types of policy changes and the market types is explained by the mismatches in the changes in reported income numbers and the changes in tax obligations. On the other hand,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of net assets is expected to enhance provided that the adjusted book value affected by depreciation policy change reflects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depreciable assets more faithfully. If the gap between the real value and the book value tends to magnify as a result of the depreciation policy change which does not conform with the principle of economic substanc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ook and market values of net assets may deteriorate. This line of logic brings us to conclude that the changes in the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of net assets is more or less of a nature of an empirical question. The inconsistent results observed from KRX and KOSDAQ sub-sample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s of changes in the value relevance of BPS is explained by the degree of conformity with the economic substance achieved by the depreciation policy changes exercised in either markets. In the KRX market, the switching companies are likely to have changed their policies so that the book values of depreciable assets better measure the real economic values, whereas their KOSDAQ counterparts may have failed in achieving the desired conformity.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상장기업은 K-IFRS 도입을 전후하여 보고 영업현금흐름을 조정하는가?

        최종서 ( Jong-seo Choi ),노정희 ( Jung-hee Noh ) 한국회계학회 2018 會計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회계이익수치와 더불어 기업의 성과측정치로 상호보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영업현금흐름의 보고수치를 국내 상장기업들이 재량적으로 조정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영업현금흐름 정보는 기업평가나 대출심사에 있어서 현금창출능력 및 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의 괴리에 기반을 둔 분식위험 지표로서 활용 가능하므로 재무적으로 부실한 기업일수록 영업현금흐름을 양호하게 표시하려는 유인이 존재한다. 회계학계에서는 그동안 이익조정 현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반면, 영업현금흐름 조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이르러 일부 국내 선행연구에서 특정 현금흐름 항목의 분류조정을 통해 영업현금흐름을 상향조정하려는 기업의 행태가 보고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의 영업현금흐름 조정 여부를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보다 포괄적인 실증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IFRS 도입을 전후한 12년간의 기간에 걸쳐 현금흐름항목의 분류조정 및 회계연도 말의 거래시기조정과 여러 잠재적 유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조정유인에는 재무적 부실, 신용등급의 투자적격 경계영역, 주식수익률에 대한 영업현금흐름의 증분관련성, 음(-) 혹은 전년도 대비 감소한 영업현금흐름 보고회피가 포함된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상장기업의 기업-년 관찰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는 재무적 부실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분류조정과 거래시기조정을 이용하여 영업현금흐름을 증가시키며, 차입금을 조달하려는 기업은 거래 시기를 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이자·배당 현금흐름의 분류조정은 음(-)의 영업현금흐름 보고를 회피하려는 유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표본을 K-IFRS 도입 이전과 이후의 기간으로 나누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재무적 부실 및 차입을 고려한 비정상영업현금흐름 및 거래시기의 조정은 K-IFRS 도입 이전의 기간에서만 관찰되었고 도입 이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K-IFRS 도입 이후의 연도별 분석에서 이자·배당 현금흐름의 분류조정 경향은 일부 연도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상장기업들에 있어서 K-IFRS의 도입을 전후하여 영업현금흐름 조정행태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한 데에서 공헌도를 찾을 수 있다. 즉 K-IFRS를 도입하기 전에는 비정상영업현금흐름 및 거래시기조정을 이용하는 경향이 존재하였으나 K-IFRS가 시행된 이후 이러한 경향은 사라지고 이자·배당 현금흐름의 분류조정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K-IFRS에서 이자·배당 현금흐름의 활동영역을 재량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허용한 사실과 관계가 있다. 그러나 이자·배당 현금흐름의 분류조정은 K-IFRS 도입 이후 일부 연도에서 일부 유인에 대해서만 제한적인 관련성을 보이는데 그쳤는데 이는 K-IFRS에서 규정하고 있는 분류의 계속성 요건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완하는 의미를 지닐 수 있다. K-IFRS의 도입이 영업현금흐름의 조정현상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사실이 없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영업현금흐름 조정현상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재무부실을 경험하는 기업에 있어서는 손익계산서뿐만 아니라 현금흐름표도 영업성과를 부풀리기 위한 조정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회계수치 조정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n capital markets are likely to manage reported cash from operations (CFO) in the statement of cash flows in response to various incentives surrounding the full adoption of K-IFRS. We identify several firm characteristics that are associated with stronger incentives to inflate reported CFO. They are financial distress, credit ratings near the investment/non-investment grade cutoff, higher associations between stock returns and CFO, and proximity of unmanaged CFO to the benchmarks of negative and/or decreasing CFO. To identify opportunistic CFO management, we employ three alternative measures: classification of interest and dividend cash flows, unexpected CFO obtained from firm-level estimation of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over prior ten years, and timing management of transactions around fiscal year-end. Based on a series of tests, we find that firms experiencing financial distress are more likely to inflate reported CFO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proxied by abnormal CFO as well as strategic timing of transactions in the fourth quarter. We also find that firms engaging in debt financing exploit preemptive transaction timing toward the end of the fiscal year. Classification of interest and dividend cash flows is associated only with the motives to avoid negative CFO. In temporal analyses in which we replicate the afore-mentioned tests using sub-samples cove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K-IFRS adoption in 2011, we observe that classification shifting and transaction timing are pronounced before the adoption of K-IFRS, whereas classification of interest/dividend cash flows is observed only in earlier years under the K-IFRS regim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the CFO management has undergone temporal changes surrounding the full adoption of K-IFRS. We document long-term trend of CFO management in the Korean context using alternative metrics over extended period encompassing both before and during the K-IFRS implementation, which sheds light upon the effect of accounting regime change from cash flow management perspective. The results report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managers are likely to have incentives to manage reported CFO in addition to engaging in bottom-line earnings management.

      • KCI등재

        환경보고서 혹은 웹사이트를 통한 자발적 환경공시의 내용분석: 환경성과 및 경제적 성과와의 동시적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최종서 ( Jong Seo Choi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환경정책연구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환경보고서 혹은 웹사이트를 통한 환경정보의 자발적 공시실태를 조사하였다. GRI 보고기준을 기반으로 한 공시수준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본기업의 공시의 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공시항목의 범주를 객관적 공시와 주관적 공시로 구분할 때 특히 객관적 공시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함께 본 논문에서는 TRI 자료를 이용하여 환경성과를 측정하고 주식시장의 산업조정수익률로 경제성과를 정의하여 환경공시수준, 환경성과 및 경제성과 사이의 동시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OLS 방법에 의하여 개별회귀식을 추정할 경우 공시수준과 환경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성과와 경제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나아가 2SLS 접근법에 의하여 연립방정식을 추정할 경우 세 변수 사이에 내생성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들 세 변수 중의 어떠한 두 변수 사이에서도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분석에서 감사보고서 각주공시의 수준을 GRI 기준에 입각하여 평가한 결과 공시의 질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각주공시의 선택 여부가 환경보고서 공시의 질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oluntary corporat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via stand-alone environmental reports or company web-sites. Quality of disclosure was assess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index proposed by Clarkson et al. (2008) based on GRI guidelines. Descriptive statistics on disclosure scores by category suggest that the level of disclosure is low relative to the expectation implied by the GRI reporting guidelines, and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Specific areas where improvement is required include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icators.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toxic wastes that was treated or processed by each firm and economic performance, by industry-adjusted annual return, which was subject to a series of association tests designed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 among environmental disclosur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individual equation approach based on OLS procedures suggest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discretionary environmental disclosures, which is not the case between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 integrated analysis using simultaneous equations approach does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ree constructs, suggesting the lack of endogeneity, inconsistent with Al-Tuwaijri et al. (2004). Additional analysis assesses the level of environmental disclosure made in footnotes to the audited annual reports, which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disclosure is very low and that footnote disclosure does not serve as a meaningful channel for the provision of corpo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