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 동작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판서 소프트웨어 개발

        최윤수,정진욱,황민태,진교홍,Choi, Yun-Su,Jung, Jin-Uk,Hwang, Min-Tae,Jin, Kyo-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5

        By the dissemination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s, smart devices, and digital contents, the Korean government is recently conducting the project that replaces the classic education which utilizes paper textbooks with SMART education using various devices. Also, teachers in the field must be easily able to use SMART education infrastructure for the activation of SMART education. Especially, since the electronic blackboard is expected as a education device which will be most common for teachers, the writing software operated on the this device must supports a simple interface. And the usage of it must be simple.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writing software for the electronic blackboard which everyone can use easily. Our writing software supports the basic writing function, the human gesture recognition function which recognizes the user gesture and performs works corresponding with that gesture, and the automatic button alignment func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usages. 최근 전자칠판 시스템,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종이 교과서를 활용하는 전통적인 교육에서 위 기기들을 활용하는 스마트 교육으로 진입하기 위한 작업이 정부 주도하에 진행 중에 있다.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의 강사들이 스마트 교육 인프라를 쉽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전자칠판은 현장의 강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기로 이 기기에서 동작하는 판서 소프트웨어는 복잡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 방법이 간단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전자칠판용 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판서 소프트웨어는 기본 판서 기능이외에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스처 인식 기능과 판서 위치에 따른 동적 메뉴 배치 기능, 그리고 사용 빈도 기반의 자동 버튼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 KCI등재

        태블릿 기기와 전자칠판 시스템 간의 연동 기술 연구

        최윤수,황민태,Choi, Yun-Su,Hwang, Min-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교육 관련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태블릿 기기와 전자칠판 시스템간의 연동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태블릿 기기와 전자칠판 시스템 상에서 강의 자료 관리, 페이지 전환 및 기본적인 판서가 가능한 판서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들 판서 소프트웨어들 간에 제어 정보 및 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정의한 다음 소켓 프로그래밍을 통해 두 디바이스 간에 실시간 양방향으로 연동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로 태블릿 기기 상에서의 페이지 전환 이벤트나 판서 정보는 전자칠판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고, 반대로 전자칠판에서의 이벤트나 판서 정보는 태블릿 기기에 실시간 표출이 된다. 태블릿 기기와 전자칠판 시스템간의 양방향 연동 기능의 성능을 응답 오류율, 지연시간 및 통신 커버리지 측면에서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필드테스트를 통해 실제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한 우수한 성능임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bout the interconnection technology between tablet device and interactive white board(IWB) system. For this study we have implemented the board writing software for both tablet device and interactive white board system which has contents management, page turning and basic writing functions. Then we defined the data format to communicate the control information and board writing inform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implemented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real-tim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using the Socket programming. The page turning or writing information on tablet device were transferred to the IWB system in real-time and vice versa. From the result of performance test based on the error rate, latency time and communication coverage we derived that our implementation software has good performance between tablet device and IWB system. Also from the result of field test we proved that our solution is well suitable to use in real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RoBERTa를 이용한 한국어 기계독해

        최윤수(Yun-Su Choi),이혜우(Hye-Woo Lee),김태형(Tae-Hyeong Kim),장두성(Du-Seong Chang),이영훈(Young-Hoon Lee),나승훈(Seung-Hoon Na)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4

        기계독해는 문단에서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자연어처리 task이다. 최근 BERT와 같이 대량의 데이터로 학습한 언어모델을 자연어처리에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크나이징 방식을 형태소와 자소 단위를 결합한 형태 등으로 변경하고 RoBERTa 학습 및 평가를 진행하여 토크나이징 방식에 따른 성능 변화를 보았다. 그리고 BERT를 수정한 RoBERTa 모델을 학습하고 기계독해를 위해 MCAF(Multi-level Co-Attention Fusion)를 결합한 모델을 제안한다. 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셋인 KorQuAD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dev 셋에서 EM 87.62%, F1 94.61%의 성능을 보였다.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is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 that finds answers to a given question in a given paragraph. Currently, studies on language model trained with a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BERT,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re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adapted a tokenizer capable of analyzing text in morpheme and grapheme level, conducted RoBERTa learning and evaluated the changes in benchmark scores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the tokenizing method. In addition, we have trained the RoBERTa model with a modified BERT and propose a model that combines the RoBERTa model with MCAF(Multi-level Co-Attention Fusion) for the purpose of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s a results, the experiments with KorQuAD, a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development dataset, showed that EM is 87.62% and F1 is 94.61%.

      • 스마트 교육을 위한 전자칠판시스템용 판서 소프트웨어 개발

        최윤수 ( Yun-su Choi ),정진욱 ( Jin-uk Jung ),황민태 ( Min-tae Hwang ),진교홍 ( Kyo-hong J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2011년 정부가 발표한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으로 인해 기존 전자칠판시스템의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기존의 전자칠판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판서 소프트 웨어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실제 활용 빈도는 매우 낮으며 사용 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 관점에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사용 방법이 복잡하지 않은 판서 소프트웨어 가 더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모든 강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칠판시스템용 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우리나라 지적측량 정확도의 현황과 특성

        윤하수,최윤수,손종영,김재명,Yoon, Ha-Su,Choi, Yun-Soo,Son, Jong-Young,Kim, Jae-M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5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is used digital cadastral map. This map is no local confirmation. Besides, Base cadastral map drawn up 100 years ago. And Graphical cadastral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ground boundary points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ground boundary points can cause land dispute and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is Study, Understand the concept of accuracy and error, Analyzing the current regulations.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adastral regulations and other surveying regulation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cadastral surveying. The results indicated a clear definition of accuracy and error and The installation of permanent ground boundary points are needed. Uniform and consistent reference point system is needed. In addition, the accuracy provided by the landowner should understand. Cadastral Surveying Regulations require specific and detailed procedures.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 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우리나라 해양지명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해양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임영태,최윤수,윤하수,Lim, Young-Tae,Choi, Yun-Soo,Yoon, Ha-Su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6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이름 즉 지명이 있다. 바다 속 작은 바위에도 이름이 있다. 이를 해양지명이라 한다. 해양지명은 고유지명과 속성지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론에서 언급한 해협, 만, 포 및 암(岩), 초(礁), 퇴(堆)등은 해양지명의 속성지명이다. 속성지명의 경우 이름을 붙이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 많은 항해장애물인 암(岩), 초(礁), 퇴(堆)에 어떻게 이름을 명명하고 있는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해양지명의 속성분류와 현재의 속성 분류를 비교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에 사용되는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고시한 해양지명에 대해 조사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에 관한방안을 제시하였다. All of area we live in has its own geographic names. Even small size of rock under the water has its own name. They are called "marine geographic names". Marine geographic names can be classified two categories. One is a proper name; the other is an attribute name. Rocks, reefs and banks referred in the introduc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attribute name. And there are certain standards to name marine geographic thing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ase research with the aims to figure out how we name and use those three features that we consider dangerous factors for marine navig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used to classify attributes of marine geographic names in the past and today. In addition, it reviewed and analyzed marine geographic names us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on its own Nautical charts and conducted a case research on marine geographic names notified by Korean Committee on Marine Geographic Names. Based on research and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future methods regarding marine geographic names standard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