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멀티밴드 레이크 수신기를 적용한 DS-UWB 시스템의 성능분석

        최윤성,김수남,강동욱,김기두,Choi Yun-Sung,Kim Su-Nam,Kang Dong-Wook,Kim Ki-Doo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1 No.12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잡음 방지 성능과 다른 사용자 간섭에 강건하며, 보안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 DS-UWB(Direct Sequence-UWB) 방식에 멀티밴드 방식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각 서브밴드는 코히어런스 대역폭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 서브밴드에서 레이크 수신기가 사용되었으며 레이크 수신기의 출력은 MRC(Maximum Ratio Combining) 기법을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타 시스템과의 원활한 공존이 가능하며 PBI(Partial Band Interference)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초광대역 안테나의 부담이 줄게 되며 평균전력 대비 첨두치(peak to average power) 값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다른 사용자 간섭 및 협대역 잡음이 존재하는 채널에서 멀티밴드 시스템을 적용한 DS-UWB 의 BER 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수신단에서 서브밴드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능이 개선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In the paper, system is combined multiband system with DS-UWB techniques with properties including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robustness to multiuser interference and excellent security. Because each sub-band is not satisfied with coherence bandwidth, rake receiver in each sub-band is applied to the Proposed system receiver. Output of rake receiver is combined by using Maximal Ratio combining technology. In this paper we mathematically analyse the BER of the DS-UWB system with singleband and multiband systems in the narrow interference channel condition and multi user interference channel con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 is getting robuster with increasing of the number of subbands.

      • KCI등재
      • KCI등재

        항공 우주 해상 : 1축 자세제어실험 장비를 이용한 SIMC 기반 쿼드로터 Cascade 제어기 적용에 관한 연구

        최윤성 ( Yun-sung Choi ),유영진 ( Young-jin You ),정진석 ( Jin-seok Jeong ),강범수 ( Beom-soo Kang ) 한국항행학회 2015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9 No.6

        본 논문에서는 1축 자세제어실험 장비를 제작하여 쿼드로터 형 무인항공기에 적용할 단일입력-단일출력 Cascade 제어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해당 장비는 두 개의 모터와 프로펠러에 의해 자세변화가 가능한 시소 형태로 구현하였고, 무게 추를 변경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개발한 장비를 통해 Cascade 구조를 가지는 PID(각도)-PID(각속도) 제어기를 구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ID 이득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SIMC 제어기 이득 조정 기법을 Cascade 제어에 접목하였다. 이를 위해 Matlab-Simulink 환경 하에 2차 시간 지연 모델을 구축하여 시스템 변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SIMC 조정 기법 적용 과정을 수행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적용 과정의 안정성 문제를 고려하여 수정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1축자세제어실험 장비에 적용하여 기존의 과정과 수정된 과정을 비교 실험하였다. This paper reports the single-input-single-output cascade control by using 1-axis attitude control test-bench for quad-rotor UAV. The test-bench was designed as a see-saw shape using 2 motors and propellers, and to enable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with the center of gyration using ballas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constructing a PID-PID controller having a cascade structure with the test-bench. The SIMC based PID gain tuning process, which makes PID gain tuning easy, was grafted to cascade control. To graft SIMC method, the system parameter estimation result was conducted with second order time delay model by using Matlab-Simulink. Gain tuning was conducted by simulating with estimated system parameter. In this paper, the conventional application of SIMC was conducted and improved application was proposed for improving stability at tuning process.

      • 원형톱에 의한 속성수 절단 소요 동력에 관한 연구

        최윤성 ( Yun Sung Choi ),김대현 ( Dae Hyun Kim ),오재헌 ( Jae Heun Oh1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Short rotation forest, SRF)에 식재되어 있는 속성수인 이태리포플러( Populus euramericana)을 이용하여 수확 시 소요되는 동력을 측정하여 수확기계동력원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수준은 밀기속도(0.41, 1.25,2.5 m/s) 3수준, 절단속도(800, 1,000, 1,200 rpm) 3수준, 직경(50, 70, 90, 110, 130 ㎜) 5수준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밀기속도에 따른 최대토크는 0.41 m/s 일 때 30.4 N-m, 최소동력은 191.37 W로나타났다. 밀기속도 1.25 m/s 일 때 최대토크와 최소동력은 각각 30.1 N-m, 194.88 W, 2.5 m/s 일때 최대토크와 최소동력은 각각 31.9 N-m, 204.10 W로 나타났다. 또한 밀기속도 0.41 m/s 보다 2.5m/s 일 때 최대토크는 각각 4.8, 10, 7.2%, 최소동력은 6.8, 10, 11.8%가 증가하였으며, 밀기속도 0.41m/s 인 경우보다 6.8%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측정된 소요 동력 기준으로 수확기계의 동력원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aly poplar( Populus euramericana) was selected for test specimen to measure cutting power when it harvested. Three levels of feed rate (0.41, 1.25, 2.5 m/s), three levels of sawing speed (800, 1,000, 1,200 rpm), and five levels of stem diameter (50, 70, 90, 110, 130 ㎜) were used as test variables. As results, the maximum torque, 30.4 N-m for feed rate 0.41 m/s, the minimum power, 191.37 W. The maximum torque and power, such as 30.1 N-m, 191.37 W for feed rate 1.25 m/s. The maximum torque and power, such as 31.9 N-m, 204.10 W for feed rate 2.5 m/s. Also, feed rate 0.41 m/s than feed rate 1.25 m/s, the maximum torque such as 4.8, 10, 7.2%, minimum power 6.8, 10, 11.8% increased. The feed rate 0.41 m/s than 6.7% many power to required. Using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s the base, The measured power source of the power requirements by the harvesting machine is determined to be able to select.

      • KCI등재

        모니터 영상을 통한 원격제어 임업용 장비의 원목상차작업 생산성

        최윤성 ( Yun-sung Choi ),조민재 ( Min-jae Cho ),오재헌 ( Jae-heun Oh ) 한국산업융합학회 2021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4 No.3

        Forest operations like timber harvesting have already been mechanized to reduce hazards to the worker and increase productivity. However,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have still been considered potentially dangerous and expensive on steep terrain. Teleoperation, to control the timber harvesting machine at a distance,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safety,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harvesting operations on steep terrain. To verify the effects of teleoperation, an experimental prototype system of a monitor image-based teleoperation was constructed using a real forestry machine.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of excavator based grapple loader, which is one of the most used mechanized harvesting equipment in the timber production, was analyzed using time-study method. Factors like skill and age of operators, influencing loader productivity in timber loading operation were also evaluated by statistical analysis. Productiv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ess experienced operators were more productive than experienced operators for teleoperation through image of monitors in the operator cabin. These results are shown to be unfamiliar to the monitor image and different loading operation pattern by opera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nitor image-based teleoperation system of forestry machine need to improve the resolution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camera. It was expected that additional studies will be needed for real-time remote control of forestry machine in the future.

      • KCI등재

        III분과 : 원형톱에 의한 속성수 절단 적정 소요동력 산정에 관한 연구

        최윤성 ( Yun Sung Choi ),김대현 ( Dae Hyun Kim ),오재헌 ( Jae Heun Oh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본 연구에서는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Short rotation forest, SRF)에 식재되어 있는 속성수인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cicana)을 이용하여 수확 시 소요되는 동력을 측정하여 수확기계 동력원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수준은 밀기속도(0.41, 1.25, 2.5 m/s) 3수준, 절단속도(800, 1,000, 1,200 rpm)3수준, 근원경(50, 70, 90, 110, 130 mm) 5수준으로 선정하였다. 목표로 하는 바이오매스 추정량은 20~30 ton/ha이나3년 후 수확(근원경 50 mm) 시 이를 못 미치는 10.5 ton로 나타났다. 목표량에 도달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추정량은 근원경 90, 110 mm으로 각각 23.5, 32.5 ton/ha으로 추정되었다. 실험결과, 밀기속도 0.41 m/s에서 최소절단속도(800 rpm)로 절단 시 소요되는 동력은 각각 128.2, 175.8 W로 나타났고, 작업면적이 0.3 ha/h에서 작업능률은 각각16.5, 22.8 ton/h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밀기속도 1.25 m/s에서는 소요되는 동력은 각각 113.8, 153.7 W,작업면적이 1 ha/h에서 작업능률은 각각 23.5, 32.5 ton/h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밀기속도 2.5 m/s에서는 소요되는 동력은 각각 119.8, 166.9 W, 작업면적 2 ha/h에서 작업능률은 각각 47.0, 65.5 ton/ha을 처리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목표로 하는 바이오매스 추정량을 처리할 수 있는 밀기속도 1.25, 2.50 m/s, 절단속도 800rpm 일 때의 수확기계의 동력원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Italy poplar(Populus euramericana) was selected for test specimen to measure cuttingpower when it harvested. The experiment has been controlled as three levels of feed rate (0.41, 1.25 and 2.5m/s), sawing speed (800, 1,000 and 1,200 rpm), and the five levels of root collar diameter (50, 70, 90 and 110,130 mm). The harvested volume after 3 years (root collar diameter 50 mm) was 10.5 tons, which falls short ofthe target amount of biomass is 20~30 ton/ha. In addition, the biomass amount of diameter 90 and 110 mmwhich reached the target amount were estimated to be 23.5 and 32.5 ton/ha respectively. As a result ofexperiment, it was found out that power of 128.2 and 175.8 W are consumed in case of cutting with the feedrate of 0.41m/s and minimum sawing speed (800 rpm) respectively. With the working area of 0.3 ha/h, it isconsidered to present working capacities of 16.5 and 22.8 ton/h respectively. The power consumed at the feedrate of 1.25 m/s is estimated to be 113.8 and 153.7W respectively and working capacity in a working area of1 ha/h is estimated to be 23.5 and 32.5 ton/h. The power consumed at the feed rate of 2.5 m/s is estimated tobe 119.8 and 166.9 W respectively and working capacity in a working area of 2 ha/h is estimated to be 47.0and 65.5 ton/ha respectively. Therefore, the power source of harvest machine at the feed rate of 1.25, 2.50 m/s andsawing speed of 800 rpm shall be selected as it can process the target amount of estimated biom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