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가 양진주의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최승락,Choi, Seungrak Korean Association for Logic 2017 論理硏究 Vol.20 No.2

        양진주의는 참인 모순이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괴델 정리가 양진주의의 근거라는 프리스트의 논변이 설득력이 없음을 논할 것이다. 이는 괴델 증명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임의의 충분히 강한 산수에 관한 이론이 완전하면서 일관적일 수 없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프리스트의 비일관적이고 완전한 산수에서 모순이 도출될 수 있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괴델 문장이 비일관적이고 완전한 산수이론에 적용되어 양진주의에 관한 대안논변을 제시할 수 있음을 소개하고 이 경우에는 순환성의 문제가 있음을 논할 것이다. 요약해서, 필자는 괴델 정리 및 그와 관련된 정리는 완전한 이론들과 일관적인 이론들 간의 관계를 보여줄 뿐임을 주장할 것이다. 괴델 문장의 적용을 통해 도출된 모순이 중간값과 같은 참인 문장의 값을 지닐 수 있는 것 역시 산수에 관한 비일관 모형에서일 뿐이다. 비일관성이나 완전성에 관한 가정을 하지 않는다면, 괴델 문장의 적용이 참인 모순을 이끌어 낼 수 없으며 그렇기에 괴델 정리 및 그와 관련된 정리는 양진주의의 근거가 될 수 없다. Dialetheism is the view that there exists a true contradiction. This paper ventures to suggest that Priest's argument for Dialetheism from $G{\ddot{o}}del^{\prime}s$ theorem is unconvincing as the lesson of $G{\ddot{o}}del^{\prime}s$ proof (or Rosser's proof) is that any sufficiently strong theories of arithmetic cannot be both complete and consistent. In addition, a contradiction is derivable in Priest's inconsistent and complete arithmetic. An alternative argument for Dialetheism is given by applying $G{\ddot{o}}del$ sentence to the inconsistent and complete theory of arithmetic. We argue, however, that the alternative argument raises a circularity problem. In sum, $G{\ddot{o}}del^{\prime}s$ and its related theorem merely show the relation between a complete and a consistent theory. A contradiction derived by the application of $G{\ddot{o}}del$ sentence has the value of true sentences, i.e. the both-value, only under the inconsistent models for arithmetic. Without having the assumption of inconsistency or completeness, a true contradiction is not derivable from the application of $G{\ddot{o}}del$ sentence. Hence, $G{\ddot{o}}del^{\prime}s$ and its related theorem never can be a ground for Dialetheism.

      • KCI등재

        문화개방과 애니메이션

        최승락,최영철,Choi, Seung-Rak,Choi, Young-Chul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9

        라틴어의 '영혼', '정신', '생명' 혹은 '활력'에서 유래한 용어인 '애니메이션', 그 오리지널의 의미는 인위적 조작을 통해서 가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무생물, 비기존의 실체에 생명의 생성 혹은 활력의 편입과 다소 관계가 있었다. 애니메이션 생산에 관계하는 자, 영역을 관련지은 전문가는 활력소로 불린다. 애니메이션 생산의 현재의 세계적인시장은 막대하게 진보하고 있어 확대되고 있다. 국내의 애니메이션 시장은 전면적인 퀄리티로부터 제 3의 세계에서자리 매김 되고 있지만, 실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외국의 애니메이션 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고품질 제품이 거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국내의 애니메이션 기술 및 생산이 현재의 시스템과 함께 이 논문으로 한층 심의 있게 외국·국내의 애니메이션상의 문학 데이터의 비교 분석의미가 있다. 이것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높은 애니메이션제작의 생산적기지가 될 수 있는 근거일 수 있다. The term 'animation' derived from the Latin 'anima' meaning spirit, life, or vitality. Although its original meaning was somewhat related to creation of life or incorporation of vitality into an inanimate or nonexisting entity by providing mobility through artificial manipulation, it is now used in a rather narrow sense to define collectively the cartoon-based films or tape-recordings and specialists who are involved in animation production or related areas are called animators. The current worldwide market for animation production is progressing and expanding enormously. Although the domestic animation market is ranked as third in the world in terms of overall quantity,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few high quality products that can compete with foreign animation products in the global markets. This issue is further discussed in this paper alo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animation technology and production. This investigation concern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iterature data on foreign and domestic animation, which can be a basis for the production of internationally competitive animation work.

      • KCI등재

        선언적 삼단논법을 지닌 1차 고전 자연연역 체계의 정형화 정리

        최승락 ( Seungrak Choi ) 한국논리학회 2021 論理硏究 Vol.24 No.2

        이 글에서 우리는 선언적 삼단논법을 지닌 1차 고전 자연연역 체계의 정형화 정리와 일관성을 증명할 것이다. 먼저, 우리는 선언적 삼단논법에 관한 규칙을 선언에 관한 규칙으로 고려하여 연언, 선언, 조건언, 부정언을 지니는 고전 명제논리 체계 S<sub>CD</sub>를 제시할 것이다. S<sub>CD</sub>의 정형화 정리와 일관성 정리 증명을 제시하고 우리는 S<sub>CD</sub>를 1차 고전논리에 관한 자연연역 체계 S<sub>PCD</sub>로 확장할 것이다. S<sub>PCD</sub>는 S<sub>CD</sub>의 보존적 확장임이 보여질 것이며 S<sub>PCD</sub>의 정형화 정리와 일관성도 증명될 것이다. In the present paper, we prove the normalization theorem and the consistency of the first-order classical logic with disjunctive syllogism. First, we propose the natural deduction system S<sub>CD</sub> for classical propositional logic having rules for conjunction, implication, negation, and disjunction. The rules for disjunctive syllogism are regarded as the rules for disjunction. After we prove the normalization theorem and the consistency of S<sub>CD</sub>, we extend S<sub>CD</sub> to the system S<sub>PCD</sub> for the first-order classical logic with disjunctive syllogism. It can be shown that SPCD is conservative extension to S<sub>CD</sub>. Then, the normalization theorem and the consistency of S<sub>PCD </sub> are given.

      • KCI등재

        베드로서신에 나타난 세상 속 그리스도인의 신행일체(信行一體)

        최승락(Choi Seungnac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08 신약연구 Vol.7 No.1

        In this article, we try to focus on the inseparable unity of belief and way of life for Christians as 'aliens' in the world as depicted in the letters of Peter. This is important especially for Korean churches considering the anti-Christian activities around the church. Surrounded by the hostile world in the first century, Peter's recipients also needed to take their belief and way of life matched together. To see this unity more clearly, we first study Peter's use of terms for Christian life like 'behavior'(ἀναοτροϕή) and 'doing right'(ἀγαθοιΐα). Also we try to find out the theological reason and purpose of the Christian way of life coming together with the confession of belief: Christians have special calling to be separated to God as 'aliens' in the world, they are saved through and to follow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they are called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promise word of God, and they are demanded to follow the steps of their Lord to be the living witnesses of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o see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Peter's teaching, we take two examples of 1 Peter 3:18-22 and 2 Peter 3:1-13. In these texts, we can see the transforming force of commissives of confession and promise. While the 'direction of fit' of assertives (as shown in the words of wrong teachers) is word-to-world, that of commissives (as shown in the enthymeme of Peter in 2 Peter 3:5-7) is world-to-word. Letters of Peter forcefully show that the language of confession and promise has the transforming effects on the thought and life of those who follow the steps of Jesus Christ, the suffering Lord. This is most urgently needed to serve and change the world properly then and now.

      • KCI등재

        바울의 덕 사상과 덕 철학의 접점 찾기

        최승락 ( Seung Nack Choi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9 No.-

        오늘날 기이하게도 일반 사회 속에서는 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반면, 교회는 덕에 대해 대체로 무관심할 뿐만 아니라, 덕을 잃은 집단으로 매도되기도 한다. 사도 바울이 비록 덕(아레테)이라는 말을 빌립보서 4:8-9에서 단 한번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만, 바울의 전체 신학에 있어서 이 말의 비중은 대단히 높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이 본문에 대한 문법적, 역사적 연구를 먼저 시도하고, 특히 바울이 당대의 철학적 사조 속에서 아레테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했는지를 주목해본다. 이어서 우리의 해석학적 관심을 발전시켜 현대 덕 철학의 대표자 중의 한 사람인 알라스데어 매킨타이어를 살펴보면서 그의 사상이 어떻게 철학과 신학과 윤리 속에 수용되고 있는지를 추적해본다. 이를 통해 한 면에서는 바울의 덕에 대한 가르침을 회복하는 길을 모색해보고, 또 다른 한 면에서는 이 시대의 덕 담론을 철학 자체의 한계를 넘어 보다 통합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모색해본다. Apostle Paul explicitly uses the word of virtue (avreth,) only once in Philippians 4:8-9. The meaning of this wor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contemporary ordinary and philosophical uses, that is, the moral eminence. Though it seems that this word is not central in Paul`s teaching, it does not mean that we can ignore or make little use of it. Rather, we need to find the way to make best use of it especially in today`s world in which the issue of virtue is once again revived. For a hermeneutical dialogue on the issue of virtue, we take the philosophical approach of Alasdair MacIntyre. Interpreting Aristotle into today`s language, MacIntyre emphasizes the telos and narrative context of virtue-action. We assess his approach positively and negatively in comparison with Jurgen Habermas and Richard Rorty in the philosophical field, and also trace his influence on theological and ethical debates focusing especially on Stanley Hauerwas, N.T. Wright, and John Milbank. We try to revive the moral vision of Paul because it can gi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integrated life of new creation overcoming both the lack of metanarrative or metapractice of philosophy and the privatization of Christian faith ignoring its public responsibil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사이코패스 캐릭터 분석

        최승락(Choi, Seung Rak),김현기(Kim, Hyun K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사이코패스는 사람들에게 더욱 큰 공포와 두려움이 되었고 이러한 시너지효과를 얻고자 영화의 범죄, 스릴러 장르에서 사이코패스라는 요소가 하나의 영화소재로 쓰여 지게 되었다. 하지만 영화 속에 나타난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성격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자는 사이코패시라는 성격의 장애에 주목하며, 사이코패스 주요 행동과 특징을 분석하고 영화속 캐릭터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람들이 사이코패스와 정신장애의 차이점을 인지하지 못하는 점에서 성격분석 도구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자세한 성격을 알아보았다. 살펴 본 결과 사이코패스 캐릭터는 건강하지 않는 범위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사이코패스라고 하더라도 캐릭터의 성격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이코패스와 정신장애 캐릭터의 대인관계에서 현저하게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Psychopath has given people much fear and panic. With this, Psychopath has been used as a movie material to get these synergy effects in the criminal and thriller genre. However, there aren’t many further studies of the characters of the movies. I carefully examined the characters by using Enneagram, focusing on the mental handicap, analyzing its major behaviors and features, and comparing these with the characters of movies as people aren’t able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Psychopath and Mental trouble. After above researches,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Psychopath have unhealthy and different personalities. Also, we can recognize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Psychopath and mentally defective person is different.

      • KCI등재

        지젝의 사회정의론에서 바라본 바울 이해

        최승락(Choi, Seungnack) 한국신약학회 2017 신약논단 Vol.24 No.2

        이 논문은 사회정의 관점에서의 지젝의 바울 해석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지젝은 헤겔과 마르크스의 이론을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과 접맥시켜 사회변혁을 위한 하나의 실천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사상가이다. 우리가 그에 대해 관심가지는 일차적인 이유는 그가 사회정의를 위한 비전의 원천으로 빈번히 바울에게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젝은 라캉의 욕망이론과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 이론을 결합시킨다. 단순히 사물들간의 관계로 보이는 것이 실상은 사람들 사이의 특정한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며, 여기에 따라 상품 물신화 현상이 일어난다는 마르크스의 관점을 지젝은 라캉의 욕망이론의 차원에서 환상과 이데올로기라 칭한다. 환상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것이 하나의 사회적 산물, 곧 언어를 통해 매개된 하나의 상징 구성물이라는 사실을 잊은 채 마치 그것이 본래적이고 자연적인 것처럼 생각한다. 지젝은 이런 환상의 노예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환상가로지르기라 부른다. 자본주의와 같이 하나의 만들어진 상징체계로부터의 동력차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젝은 로마서 7장에 나타나는 법과 욕망의 관계를 이런 관점에서 해석한다. 법은 금지의 목소리이지만, 욕망은 오히려 금지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다. 지젝이 볼때 바울이 말하는 법에 대한 죽음은 그 법이 의존하는 환상의 체계를 가로질러 그 법의 지배 바깥에 자신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정의 관점에서의 지젝의 바울 해석은 롤스의 분배적 정의나 하버마스의 절차적 정의보다 훨씬 더 급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바울의 새창조와 성령의 세계가 가지는 종말론적 차원의 급진성을 전용한다. 그러나 그가 예수의 역사적 부활에 근거한 새창조의 세계나 성령의 인격적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제로 그의 시도는 바울과 매우 거리가 멀다. 문제는 그의 최근의 인기에 힘입어 많은 사람들이 교회의 선포를 통해서가 아니라 그의 철학적 해석을 통해 바울에게 관심을 돌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교회 자신이 빠져 있는 욕망체계에 대해 돌아보게 만드는 도전으로 작용한다. 동시에 우리로 하여금 바울의 가르침을 그의 사상 그대로 더 잘 드러내고 실천하는 일에 더욱 힘쓰도록 자극한다. Slavoj Žižek combines Lacan’s desire theory with the Marxist view of ideology and argues that what seems to be the relationship of objects, is actually a refle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Thus the idea of commodity fetishism of Marx is seen through the ‘fantasy’ of Lacanian desire theory. People who live in the world of fantasy forget that it is a result of a society, a symbolic construct mediated by language. They should escape from it, Žižek proposes, through ‘traversing the fantasy.’ On the basis of this notion, Žižek attempts to interpret the struggle between the law and desire in Romans 7. The law is a voice of prohibition, while desire exposes itself ironically through prohibition. For Žižek, Paul"s idea of ‘death to the law’ means the ‘traversing’ of the fantasy by means of putting the subject outside the rule of the law and the hidden desire. Then he appropriates Paul’s eschatological radicality of new creation and the Holy Spirit. He does not admit, however, the reality of new cre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resurrection of Jesus. The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actually sets him far apart from Paul. Ironically Žižek’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ttracts people to Paul. His insight helps the church to recognize the delusional system of desire and fantasy, and to appreciate and practice Paul"s teaching for its full worth.

      • KCI등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가 양진주의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최승락 ( Seungrak Choi ) 한국논리학회 2017 論理硏究 Vol.20 No.2

        양진주의는 참인 모순이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괴델 정리가 양진주의의 근거라는 프리스트의 논변이 설득력이 없음을 논할 것이다. 이는 괴델 증명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임의의 충분히 강한 산수에 관한 이론이 완전하면서 일관적일 수 없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프리스트의 비일관적이고 완전한 산수에서 모순이 도출될 수 있음을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괴델문장이 비일관적이고 완전한 산수이론에 적용되어 양진주의에 관한 대안논변을 제시할 수 있음을 소개하고 이 경우에는 순환성의 문제가 있음을 논할 것이다. 요약해서, 필자는 괴델 정리 및 그와 관련된 정리는 완전한 이론들과 일관적인 이론들 간의 관계를 보여줄 뿐임을 주장할 것이다. 괴델 문장의 적용을 통해 도출된 모순이 중간값과 같은 참인 문장의 값을 지닐 수 있는 것 역시 산수에 관한 비일관 모형에서일 뿐이다. 비일관성이나 완전성에 관한 가정을 하지 않는다면, 괴델 문장의 적용이 참인 모순을 이끌어 낼 수 없으며 그렇기에 괴델 정리 및 그와 관련된 정리는 양진주의의 근거가 될 수 없다. Dialetheism is the view that there exists a true contradiction. This paper ventures to suggest that Priest`s argument for Dialetheism from Godel`s theorem is unconvincing as the lesson of Godel`s proof (or Rosser`s proof) is that any sufficiently strong theories of arithmetic cannot be both complete and consistent. In addition, a contradiction is derivable in Priest`s inconsistent and complete arithmetic. An alternative argument for Dialetheism is given by applying Godel sentence to the inconsistent and complete theory of arithmetic. We argue, however, that the alternative argument raises a circularity problem. In sum, Godel`s and its related theorem merely show the relation between a complete and a consistent theory. A contradiction derived by the application of Godel sentence has the value of true sentences, i.e. the both-value, only under the inconsistent models for arithmetic. Without having the assumption of inconsistency or completeness, a true contradiction is not derivable from the application of Godel sentence. Hence, Godel`s and its related theorem never can be a ground for Dialetheism.

      • KCI등재

        증명의 동일성과 허용가능한 환원 절차의 기준

        최승락 ( Seungrak Choi ) 한국논리학회 2021 論理硏究 Vol.24 No.3

        대그 프라위츠(1971)는 허용가능한 환원절차는 자연연역의 도출이 나타내는 증명들 간의 동일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이러한 견해는 다음과 같은 그의 가설에 기반한다. 두 도출이 동일한 증명을 나타낼 때 오직 그 때만 이들은 동형이다. 여기서 동형이라는 것은 이들이 가까운 환원가능성 관계에 관해 재귀적이고 이행적이며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슈레더하이스터와 트란키니(2017)는 프라위츠의 가설을 받아들이고 허용가능한 환원절차의 기준으로 사소성 테스트를 제안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사소성 테스트의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첫 번째는, 허용가능한 환원절차를 평가하는 방식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 문제는 사소성 테스트가 이미 허용가능한 환원절차의 집합을 가정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필자는 스포일러 테스트를 제안할 것이다. 이는 사소성 테스트의 문제점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허용가능한 환원절차의 역할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크랩 사례에 의해 제기될 수 있는 스포일러 테스트의 가능한 문제점을 고려할 것이다. Dag Prawitz (1971) put forward the idea that an admissible reduction process does not affect the identity of proofs represented by derivations in natural deduction. The idea relies on his conjecture that two derivations represent the same proof if and only if they are equivalent in the sense that they are reflexive, transitive and symmetric closure of the immediate reducibility relation. Schroeder-Heister and Tranchini (2017) accept Prawitz’s conjecture and propose the triviality test as the criterion for admissible reductions. In the present paper, we will consider two main troubles of the triviality test. The first is the obscurity of a method of evaluating admissible reductions. The second is the circularity problem that the triviality test already assumes the set of admissible reduction procedures.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we will propose the spoiler test which immunes the problems of the triviality test and has the role of the criterion for admissible reductions. At last, we shall cover a plausible problem of the spoiler test that can be caused by Crabbé’s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