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

        최슬기(Seul Ki Choi),최현정(Hyeon Jeong Choi),장남수(Nam Soo Chang),조성희(Sung Hee Cho),최영선(Young Sun Choi),박혜경(Hye Kyung Park),정효지(Hyo Jee Jou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nacking behavior in adolescents. We selected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in 11 school districts in Seoul. The subjects were 1,813 students (904 boys and 909 girls) in 21 schools (11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Subjects reported their snacking behavior: snack frequency, snack type, snack time, with whom to eat snack, place to purchase snack.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gender and schooling. The mean snack frequency was 2.8. Girls ate snacks more frequently than boys (p<0.001). More than half of subjects ate 1 to 3 snacks a day. Only 9.3% of them did not eat any snack. Tangerine was highly ranked in snack type. Each subject groups had different snack time (p<0.01) and type of snack (p<0.001). Most snack was consumed alone (46.6%), however they mainly ate fruits and other foods with family. 46.9% of snacks were purchased outside. A typical snack time was ``before dinner`` for most snacks except fruits. Unhealthy foods like soft drinks, cookies, chips, candies, chocolates, ice creams had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snack consumption with friends. In conclusion, adolescents had different snacking behaviors by their age and gender. These results indicate necessities of multi-dimensional efforts at home, school, media and government level considering adolescents` age and gender for their healthy snacking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2):199~206, 2008)

      • LBS기반의 안전한 출입통제 프로토콜 설계

        최슬기(Seulgi Choi),김범용(Bumryong Kim),최근창(Keun-Chang Choi),전문석(Moon-Seo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최근 마이페어 카드(Mifare Card)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공기업에서는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카드시스템을 교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카드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이에 따른 복제, 도청, 재사용공격 등의 보안 취약점을 극복하는 LBS기반의 안전한 출입통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의 확실성과 불확실성

        최슬기(Seulki Choi)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4

        장래인구추계 정보는 미래를 대비함에 있어 활용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 및 평가는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대상으로 추계의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추계 결과의 불확실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추계 정보는 추계대상이 되는 미래 연도와 특정 연령대에 따라 불확실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출산율 가정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가까운 미래의 경우에도 불확실성이 상당히 존재했다. 출산율 가정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서는 50년 후인 2060년까지도 남자는 64세, 여자는 74세까지 불확실성이 5% 이내에 불과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즉 장래인구추계는 장래시기 및 연령에 따라 불확실성이 나타나는 정도가 크게 다르고, 일정 연령대에서는 한 세대를 넘어선 미래까지도 신뢰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추계정보의 이용자들은 이처럼 불확실성이 영역에 따라 다름을 고려하여 추계정보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is the fundamental resource that is commonly used to predict the future, there wa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its credibility. This research tried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the population projection by analyzing the projection methodology and the results from 2011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certainty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altered drastically depending on the estimating year and age. First, in the area where the fertility rate assumption affects, there existed significant uncertainties even in the foreseeable future. In the area where the fertility rate assumption does not affect, the uncertainty was expected to be within 5 percent until 74-year-old for women and 64-year-old for men by 2060. Thus, users of the population projection are advised to consider that the uncertainty differs depending on year and age and to take advantage of this information.

      • KCI등재
      • 여성의 생애주기별 식생활 문제

        최슬기 ( Seul Ki Cho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299 No.-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의 식생활 문제를 살펴보고 여성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과제를 모색했다. 출생 전의 영양상태를 포함한 전 생애 과정의 식생활은 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 생애주기 동안 최적의 영양소를 섭취하기 위한 식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영양 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여자 청소년은 신체 이미지 왜곡과 편의식 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 청년층 여성은 식생활 관리의 어려움, 성인 여성은 영양 불균형, 노인 여성은 낮은 식사 질이 식생활 문제로 나타났다. 여성의 영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특징적인 영양 문제를 정책의 대상으로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etary problems of Korean women and suggests policy actions for women's healthy diets. Dietary intake during the entire life, including nutritional status before birth, affects a woman's health. Thus dietary management is necessary for optimal nutrient intake throughout the life course. Inadequate nutrient intake is more prevalent in Korean women than in men. Korean women's dietary problems are: nutritional imbalance due to body imag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female adolescents,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diet of young women, nutritional imbalance in adult women, and poor dietary quality in elderly women. In order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women, it is suggested to consider women’s life-course nutritional problems as a policy target.

      • 나로도 주변해역의 하계 음향학적 해양환경 특성

        최슬기(Seul-Gi CHOI),박형주(Hyeong-Ju PARK),김동규(Dong-Gyu KIM),윤은아(Eun-A YOON),황두진(Doo-Jin HWANG)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2016 어업기술연구소보고지 Vol.9 No.1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arine acoust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round Naro-island in summer. Regarding marine environment,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pth of sea and underwater noises were measured and sound speed was calculated from measured element. The depth of sea was measured by using echo sounder set on a research vessel in the study ar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by TS-METER (YSI-30, YSI), and sound speed was calculated by Mackenzie (1981) formula. Underwater noise was measured by Hydrophone, and also sediment was measured by sounding lead. The depth of sea was 7~24 m in the study area, also sediment was composed of mud mostly. Water temperature was about 24.1℃, Salinity was about 31.6 psu. And the sound speed of surface layer was about 1531.2 m/s and the bottom layer was 1525.7 m/s. Underwater noise was about 110~135 dB/μPa and it showed lower values as the water depth became deep.

      • KCI등재

        한국사회의 인구변화와 사회문제

        최슬기(Seulki Choi)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6

        이 논문은 국내외 인구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인구변화가 사회현상에 주는 의미와 그 영향력의 정도를 논의하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출생, 사망, 이동이라는 인구요인이 인구수/인구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와 인구수/인구구조가 사회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라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분해 접근했다. 인구요인 중 출생에서는 퀀텀효과와 템포효과에 따른 합계출산율의 변화에 대한 논의, 합계출산율에 따른 미래인구변화 양상, 가임기 여성인구수와 출생아수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했다. 사망에서는 기대수명과 조사망률을 구분하여 변화양상을 소개했다. 국내이동에서는 1990년 이후 수도권내 이동 비중의 확대라는 특징을, 국제이동에서는 2006년경부터 순유출이 순유입으로 전환되었다는 특징을 지적했다. 인구수의 영향에서는 적정인구 논의가 한국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와 한계를 갖는지 보여주고자 했다. 인구구조에서는 부양비의 변화와 함께 과거 인구학적 배당이 경제성장에 도움을 주었던 인과관계를 논의했다. 그러나 인구학적 배당이 기계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었던 것처럼 향후 인구오너스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영향력이 파괴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지적했다. 무엇보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인구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인구구조에서 베이비붐의 특징과 80만 세대가 40만 세대로 변화하는 양상을 소개했다. 끝으로 한국인구구조는 변화속도가 빠르며 단절이 있음을 주목해 인구변화에 발빠른 대응을 주문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implications and the leverage of population change in social phenomena. It examines casual relationships in two aspects; first, the influence of population factors on population and demographic structure, and second, the impact of population or demographic structure on social phenomena. The components of population factors have following considerations. For birth, a) changes in TFR in accordance with the quantum and the tempo effects, b) future prospects of population change in regard to the TFR,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reproductive ag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he birth were discussed. Next, changes in patterns of death were highlighted by distinguishing CDR from life expectancy. In migration, two factors have been pointed out: first, the scale-up of movements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1990s in domestic migration, and second, a switch from net outflow to net inflow since 2006 in international migration. In terms of popul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ptimum population concept in Korean context has been discussed. In the aspect of demographic structur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ependency rate and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past demographic dividend was examined. However, it has been noted that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dividend may not be destructive and demographic onus may not occur at all considering that the first demographic dividend did not occur mechanically.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demographical knowledge to prepare for the future while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 generations and the changes of population from 80 million generation to 40 million generation. Ultimately, this paper asks for a swift response to population changes as it concerns the rapid changes and breaks in Korean demographic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