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내화재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화재저항성능 평가

        최순욱,강태호,이철호,김세권,김태균,장수호 한국암반공학회 2022 터널과지하공간 Vol.32 No.6

        Precast concrete is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quality and construction speed by optimizing and mak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similar.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oduce a fireproof material-integrated precast duct sla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eproof layer is maintained when a method of increasing the curing rate using a hardening accelerator is us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on specimen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hardening accelerator was included, increase of temperature inside the specimen was high in the specimens using the hardening accelerator, and the section loss of the fireproof layer occurred locally on the surface exposed to fire heating.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 fireproof layer in the case where the strength at 3th day of age is gained within 1 day curing age using a hardening accelerator does not guarantee sufficient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n the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제작조건을 최적화하고 유사하게 함으로써 시공품질과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효과적으로 내화재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양생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내화재의 화재저항성능이 유지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화촉진제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된 시험체에 대해 화재저항성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시험체에서 시험체 내부의 온도증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재가열면에서 내화재의 단면손실이 국부적으로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건과 같이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재령 3일 강도를 재령 1일에 발현시킨 경우의 내화재는 RWS화재시나리오 하에서 충분한 화재저항성능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선형절삭시험에 의한 코니컬커터의 삽입재 크기에 따른 절삭성능 평가

        최순욱,강태호,장수호,이철호,이규필,김창용,Choi, Soon-Wook,Kang, Tae-Ho,Chang, Soo-Ho,Lee, Cheol-Ho,Lee, Gyu-Phil,Kim, Chang-Yong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는 로드헤더 커팅헤드에 사용되는 코니컬커터의 삽입재 크기에 따른 커터작용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절삭간격과 절삭깊이, 그리고 사각을 변화시키면서 연직력, 절삭력, 구동력을 측정하였고 그 측정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절삭간격이 12~27 mm인 조건에서 절삭깊이에 따라 평균 커터작용력이 일정한 범위에서 나타났다. 사각이 $0^{\circ}$인 경우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적 S/d비 1~5사이인 4~4.5 조건에서 비에너지가 최소로 나타났으며, 사각이 $6^{\circ}$인 경우에서는 최적 S/d비가 좀 더 작은 1~3에서 나타났다. 단순히 시험결과에 의한 비교에서는 슬림 코니컬커터가 헤비 코니컬커터에 비해 절삭효율이 좋게 나타났지만, 대상지반의 강도가 높을 경우에 대해 커터의 소모량과 손상을 고려한다면 헤비 코니컬커터의 사용이 효과적일 것이다. In order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a conical cutter depending on the insert size, this study measured forces acting on conical cutters with different cutter spacings, penetration depths and skew angles using slim and heavy conical cutters. When cutter spacings ranged from 12 to 27 mm, the deviations of mean cutter forces with cutter depths appeared smaller compared to other cutter spacings. When skew angle is $0^{\circ}$, the optimal S/d ratio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4 to 4.5 for which specific energy of cutting was minimized. It were usually found in the range of 1 to 5. However, when skew angle is $6^{\circ}$, the optimal S/d ratio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1 to 3. The simple comparison results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slim cutter was superior to that of heavy cutter, but the use of heavy cutter can be effective, considering the cutter consumption and cutter damage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is high enough.

      • KCI등재

        사각형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 시공에 따른 지반거동의 분석: 수치해석

        최순욱,박영택,장수호,배규진,이기택,백용기,Choi, Soon-Wook,Park, Young-Taek,Chang, Soo-Ho,Bae, Gyu-Jin,Lee, Ki Taek,Baek, Yong Ki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2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로나 철도 하부에 비개착 공법을 적용하여 입체교차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비개착공법에 사용되는 사각형 강관의 1개 관입과 전체 강관들의 관입에 따른 상부 지반의 침하와 강관 주변의 변위를 3차원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여 비개착공사에 따른 지상의 안정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수치해석 결과, 사각형 강관 관입에 의한 주변지반의 거동은 수평방향보다 연직방향의 변위에 크게 좌우되며, 토피고가 낮을수록 침하량이 보다 커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강관 전체를 추진하는 해석에서는 강관들의 추진순서에 따라 침하량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상부에 위치한 사각형 강관들 추진에 의해 발생하는 침하량이 총 침하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부 강관 추진 시에 주의 깊은 시공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numerically investigate ground movement around a square steel pipe as well as a group of square steel pipes induced by its and their ground penetration for trenchless construction of a concrete box. From numerical results, ground movement induced by a square steel pipe is much more dominantly governed by vertical displacement rather than horizontal displacement. Ground settlement induced by pipe penetration is much larger as the overburden becomes lower. The settlement is also shown to be slightly dependent upon the sequence of pipe penetration. More careful construction management is highly in demand during the penetration of upper pipes since their induced settlement occupies approximately 75 percent of total ground settlement after the whole construction of steel pipes.

      • KCI등재

        Strain Simulation of Diamond NV Centers in High Q-Factor Diamond Membranes

        최순욱,이동헌 한국물리학회 2018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3 No.1

        In the field of strain-based hybrid mechanical systems, understanding the local strain profile and realizing strong strain coupling is crucial. Here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hybrid devices consisting of diamond membranes with a high Q-factor and embedded nitrogen-vacancy defect centers. Simulation based 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reveals microscopic strain distribution in the membrane's basis as well as in the defect's basis. For strong strain coupling, we design diamond phononic crystal devices with a honeycomb lattice, enabling localized strain in a small mode volume and an enhanced Q-factor. The hybrid devices studied in this paper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various quantum applications, including strain-mediated long range spin-spin interaction, multi-mode optomechanics, and topological operations with exceptional points.

      • KCI등재

        선형절삭시험에 의한 슬림 코니컬커터의 절삭성능 평가(II): Skew Angle 변화에 의한 결과

        최순욱,장수호,이규필,박영택,Choi, Soon-Wook,Chang, Soo-Ho,Lee, Gyu-Phil,Park, Young-Taek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받음각이 $45^{\circ}$인 경우에 대해 사각이 $0^{\circ}$와 $6^{\circ}$이고 S/d비가 1.3~12사이인 시험조건에 대해 슬림 코니컬커터를 사용하여 선형절삭시험동안 발생하는 커터작용력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조건에서 커터작용력인 연직력, 절삭력, 구동력을 측정하였고 그 측정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커터관입깊이가 깊어질수록 비에너지가 감소하였고 커터관입깊이에 따른 커터작용력의 변화는 사각이 $6^{\circ}$인 경우가 작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사각이 $6^{\circ}$인 경우가 $0^{\circ}$인 경우에 비해 장비설계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_c/F_n$은 사각이 $6^{\circ}$일 때가 $0^{\circ}$인 경우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각이 있을 경우 구동력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cutter acting forces were measured by 3-directional load cell at two different skew angles and various S/d ratios during a series of linear cutting tests using a slim conical pick. The analysis for cutting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after calculating average values of the measured results. The increase of penetration depth results in the decrease of specific energy. And the variations of the cutter acting forces depending on penetration depth in the case of 6 degree skew angle were smaller than in the case of 0 degree skew angle. From this results, 6 degree skew angle is more effective than 0 degree skew angle in designing optimal specifications of cutting head. In addition, $F_c/F_n$ under the setting of 6 degree skew angle was smaller than under the setting of 0 degree skew angle.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increase of cutter acting force in the cutting direction accompanied the increase of driving force in the case of the setting for 6 degree skew angle.

      • KCI등재

        Precise temperature sensing with nanoscale thermal sensors based on diamond NV centers

        최순욱,윤정배,이명원,오주연,이동권,강희성,이철호,이동헌 한국물리학회 2018 Current Applied Physics Vol.18 No.9

        Sensing temperature with high precision and high spatial resolution is challenging and requires novel temperature measurement techniques. Recently, an atomic-scale thermal sensor based on a defect center in diamond, i.e., a nitrogen-vacancy (NV) center, has been developed, and successfully demonstrated temperature sensing at the mK level and a few tens of nanometers. Here we discuss a temperature sensing mechanism based on the NV center in both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At room temperature, we show temperature sensing over a wide-range of temperatures ∼90 K with a precision of 0.2 K. We also map temperature gradients in a bridge-like device a few hundreds of micrometers long. In addition, we theoretically compare three sensing protocols and analyze temperature sensitivity to find optimal measurement time and NV concentration for the ensemble measurement.

      • KCI등재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중단면 토압식 쉴드TBM의 수치해석 연구

        최순욱,박병관,강태호,장수호,이철호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8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7 No.4

        The Discrete Element Method (DEM) has been widely used in granular material researches. Especially, if material has a large deformation, such as ground, it can be a useful method to analyze. In this study, to simulate ground formations, DEM was used. The main purpose of DEM analysis was to investigate the numerical model which can predict the TBM performance by simulating excavating procedure. The selected EPB TBM has a 7.73 m of diameter and six spokes. And two pre-defined excavation conditions with the different rotation speeds per minute (RPM) of the cutterhead was applied. In the modeled cutterhead, the open ratio of cutterhead was 21.31% and number of cutters (including disc cutter and cutter bit) was 219. From the results, reaction forces and resistant torques at the cutterhead face and cutting tool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dditionally the muck discharge rate and accumulated muck discharge by the screw auger were evaluated. 개별요소법은 입자형태의 재료를 다루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지반에서와 같이 변형이 크게 발생하는특성을 지닌 재료의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해석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을 사용하여 지반을생성하고 지반에 TBM 형상을 관입시킴으로써 굴진을 모사하고자 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TBM은 7.73m 직경의 토압식 쉴드TBM을 사용하였으며 해석을 통해 굴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상 모델의 스포크개수는 8개이며, 커터헤드의 개구율은 약 21.31%이다. 또한, 커터헤드에는 52개 디스크 커터와 167개 커터비트가 굴착 도구로장착되어 있으며, 커터헤드는 게이지 커터가 장착된 커터헤드 외주면이 굴곡진 세미돔 타입이다. 해석을 통해 커터헤드와각각의 절삭 도구에 작용하는 반력과 저항 토크를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커터헤드 중심에서부터 거리에 따른 비교를 통해커터헤드의 절삭 도구 위치별로 발생하는 반력과 토크를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