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해상도 QPE 자료의 도시유출해석 적용성 평가

        최수민,윤성심,이병주,최영진,Choi, Sumin,Yoon, Seongsim,Lee, Byongju,Choi, Youngjea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정량적강수추정치(QPE)를 이용하여 도시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소배수분구별 강우와 유출량의 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유역은 강남역을 중심으로 하는5개 배수분구(서초3, 4, 5, 역삼, 논현)을 선정하였으며, 유역면적은 $7.4km^2$이다. QPE 생산을 위해 KMA AWS (34소), SKP AWS (156소), 광덕산 레이더 자료를 통해 서울지역의 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크리깅 기법과 조건부합성 방법을 적용하여 4가지 QPE(QPE1: KMA AWS, QPE2: KMA+SKP AWS, QPE3: 광덕산 레이더, QPE4: QPE2+QPE3)를 생산하였다. 시공간 해상도는 10분, 250 m이며, 2013년 7월에 발생한 6개 호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잡한 실제 관망을 도시유출해석모형에 입력하기 위해 773개 맨홀과 772개 소배수분구, 1,059개 하수관거로 재구성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QPE2와 QPE4는 QPE1에 비해 소배수구역별 면적강우량의 변동폭이 최대 1.9배까지 차이가 나타나 작은 유역에서도 강우공간변동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배수 구역별 첨두유량 분석결과에서도 강남과 서초 AWS에 비해 QPE2와 QPE4의 변동폭이 최대 6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지역과 같이 수 km2 이하의 도시유역에서도 강우와 첨두유량의 공간변동성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정확한 도시유출해석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강우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urban runoff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high resolution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and variation of rainfall and runoff were analyzed to evaluate QPE data for urban runoff analysis. The five drainage districts (Seocho3, 4, 5, Yeoksam and Nonhyun) around Gangnam station were chosen as study area, the area is $7.4km^2$. Rainfall data from KMA AWS (34 stations), SKP AWS (156 stations) and Gwanduk radar were used for QPEs in Seoul area. Four types of QPE(QPE1: KMA AWS, QPE2: KMA+ SKP AWS, QPE3: Gwangduk radar, QPE4: QPE2+QPE3) of 6 events in July 2013 were generated by using Krigging and conditional merging.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QPEs are 10 minutes and 250 m, respectively. The complex pipe network were treated as 773 manholes, 772 sub-drainage districts and 1,059 pipelines for urban runoff analysis as input data. QPE2 and QPE4 show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by sub-drainage districts as 1.9 times bigger than QPE1. The peak runoff of QPE2 and QPE4 also show spatial variation as 6 times bigger than Gangnam and Seocho AWS. Thus, the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and runoff could exist in small area such as this study area, and using high-resolution rainfall data is desirable for accurate urban runoff analysis.

      • 광량에 따른 상록활엽수 3수종의 내음성 평가

        최수민 ( Su Min Choi ),신현철 ( Hyeon Cheol Shin ),윤준혁 ( Jun Hyuck Yoon ),박용배 ( Yong Bae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수목의 종류에 따라 광요구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실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적정광량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재배 관상수종으로 가능성이 있는 3수종을 대상으로 광량에 따른 형태적·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여 내음성을 평가하였다. 죽절초와 자금우의 엽면적 변화는 차광률 50%까지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백량금은 차광률 95%에서 엽면적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광량의 감소에 따른 3수종의 엽색은 L*a*b 값이 낮아지며 진한 녹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3수종 모두 광량의 투과정도에 따라 엽색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합성 능력은 죽절초, 자금우는 차광률 50%, 백량금은 95%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H/D율과 T/R율은 전광 처리구에 비해 차광 처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 죽절초, 백량금, 자금우3수종은 95%차광의 저광도에서도 적극적인 적응반응을 보이며 내음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록활엽수 3종의 건전한 관상수로 생육을 위해서는 차광률 50%까지의 광량이 적정할 것이라 판단된다. Every different type of tree would need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in the light of that, we need to look deep into optimal light intensity in order to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ridisia japonica (Thunb.) Blume and Ardisia crenata Sim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potentials to grow as indoor-cultivated ornamental trees, were assessed on the shade tolerance with shading treatment by using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The total leaf area(cm2) of S. glabra and A. japonica were observed to increasing by 50%. shading. A. crenata showed highest at 95% shading. A decrease in light intensity would lower the L*a*b value and turn a leaf color into dark green. The leaf color of all the three trees was determined to have a sensitive reaction to light intensity.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S. glabra, A. japonica and A. crenata respectively was greatest at 50% shading or 95% shading. H/D ratio and T/R ratio turned out to be higher with shading treatment than they are with full shading. As a result, S. glabrai, A. crenata and A. japonica, would take an active reaction even to low light intensity of 95% shading as they are confirmed for shade tolerance. However, 50% shading was suitable for planting vigorous ornamental tree of the broad-leaved evergreen three species.

      • KCI등재

        쿠마 켄고의 건축 사상으로 본 "자연스러운 건축" 연구

        최수민 ( Su Min Choi ),김지은 ( Ji Eu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일본의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 1954~ )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요구하는 현 시기에 가장 중요한 건축가 중에 한 명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자신만의 철학과 개념으로 규정하고 실제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건축가이며, 동양의 자연관인 자연과 인간의 대립이 아닌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자연과 융합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가 쿠마 켄고의 저서를 바탕으로 그가 말하는 ‘자연스러운 건축’의 건축적 언어는 무엇이며, 어떠한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 그의 작품을 통해 분석하고 건축에서의 자연스러움의 의미를 논의해보았다. 그는 고정된 것에 대한 거부, 전통의 재해석을 통한 현대화, 건축의 부정적 요소 극복,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 만남이라는 자신의 건축사상을 바탕으로 약한 건축, 입자의 건축, 접합의 건축, 소통의 건축으로 ‘자연스러운 건축’이 되는 방법을 구체화한다. 약한 건축의 표현은 공간의 자연화, 서서히 점진적인 변화, 수평적 연속이며, 입자의 건축은 틈새 내기, 유연한 구조, 풍부한 질감, 접합의 건축은 시간을 수용하는 지속되는 공간, 다양한 사건의 매개, 경계의 소멸로 표현된다. 또한 소통의 건축의 표현은 생생한 삶이 구현된 공간의 일상화, 서로 다른 관계의 확장, 시공간의 초월로 각각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쿠마 켄코의 건축적사고인 ‘자연스러운 건축’은 건축 스스로가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자세를 지니고, 건축과 관계되어지는 수많은 요소들과 유연한 소통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건축이라 할 수 있다. Kengo Kuma(1954~), a Japanese architec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chitect in this era that requires "natural architecture." He is an architect who defines natural architecture with his own philosophy and concept and he tries to modernly reinterpret the thought of Unity of Heaven and Huma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which adapts nature, accommodates nature to the most and mixes with nature, not the conflict of nature and human. Based on his thought of architecture which is the denial of something fixed, modernizatio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overcoming negative factors of architecture, organic meeting of nature and human, he gives shape to the way of being "natural architecture" as weak architecture, architecture of particles, architecture of connection and architecture of communication. The expression of weak architecture is the naturalization of space, gradual change and horizontal succession. The architecture of particles is expressed by making a crack, flexible structure and rich texture. The architecture of connection is continued spaces accommodating time, media of various incidents and extinction of border. And the expression of the architecture of communication is the space of lively daily life, expansion of different relationships and the transcendence of space and time. Likewise, "Natural Architecture," the architectural thought of Kengo Kuma, is the architecture that has the possibility of freely change, and it is an open architecture with unlimited possibility through flexible communication with various factors related to architecture.

      • 가변 스팬 모핑 날개를 적용한 무인기의 공기역학적 특성

        최수민(Soo-Min Choi),배재성(Jae-Sung Bae),황재혁(Jai-Hyuk Hwang),노진호(Jin-Ho Rho),변관화(Kwan-Hwa Byun)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Morphing has been studied focusing on chang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aircraft In the aerospace engineering field. It is one of the morphing which is using the variable span morphing wing to change wing span while flying. When wing span increases and changes the wing area, the aspect ratio and lift have increased and also the range and endurance increase due to the decrease of the induced drag. It means the increase of the entire lift force which acts on the wings as well as the bending moment which acts on the roots of the wings. Therefore, it requires the structure enduring the bending moment which acts on the wings.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chang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rphing wings, using telescopic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