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해상도 QPE 자료의 도시유출해석 적용성 평가

        최수민,윤성심,이병주,최영진,Choi, Sumin,Yoon, Seongsim,Lee, Byongju,Choi, Youngjea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정량적강수추정치(QPE)를 이용하여 도시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소배수분구별 강우와 유출량의 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유역은 강남역을 중심으로 하는5개 배수분구(서초3, 4, 5, 역삼, 논현)을 선정하였으며, 유역면적은 $7.4km^2$이다. QPE 생산을 위해 KMA AWS (34소), SKP AWS (156소), 광덕산 레이더 자료를 통해 서울지역의 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크리깅 기법과 조건부합성 방법을 적용하여 4가지 QPE(QPE1: KMA AWS, QPE2: KMA+SKP AWS, QPE3: 광덕산 레이더, QPE4: QPE2+QPE3)를 생산하였다. 시공간 해상도는 10분, 250 m이며, 2013년 7월에 발생한 6개 호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잡한 실제 관망을 도시유출해석모형에 입력하기 위해 773개 맨홀과 772개 소배수분구, 1,059개 하수관거로 재구성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QPE2와 QPE4는 QPE1에 비해 소배수구역별 면적강우량의 변동폭이 최대 1.9배까지 차이가 나타나 작은 유역에서도 강우공간변동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배수 구역별 첨두유량 분석결과에서도 강남과 서초 AWS에 비해 QPE2와 QPE4의 변동폭이 최대 6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지역과 같이 수 km2 이하의 도시유역에서도 강우와 첨두유량의 공간변동성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정확한 도시유출해석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강우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urban runoff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high resolution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and variation of rainfall and runoff were analyzed to evaluate QPE data for urban runoff analysis. The five drainage districts (Seocho3, 4, 5, Yeoksam and Nonhyun) around Gangnam station were chosen as study area, the area is $7.4km^2$. Rainfall data from KMA AWS (34 stations), SKP AWS (156 stations) and Gwanduk radar were used for QPEs in Seoul area. Four types of QPE(QPE1: KMA AWS, QPE2: KMA+ SKP AWS, QPE3: Gwangduk radar, QPE4: QPE2+QPE3) of 6 events in July 2013 were generated by using Krigging and conditional merging.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QPEs are 10 minutes and 250 m, respectively. The complex pipe network were treated as 773 manholes, 772 sub-drainage districts and 1,059 pipelines for urban runoff analysis as input data. QPE2 and QPE4 show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by sub-drainage districts as 1.9 times bigger than QPE1. The peak runoff of QPE2 and QPE4 also show spatial variation as 6 times bigger than Gangnam and Seocho AWS. Thus, the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and runoff could exist in small area such as this study area, and using high-resolution rainfall data is desirable for accurate urban runoff analysis.

      • IIoT환경에서 KDN 을 활용한 자원 할당 최적화 방안에 대한 연구

        최수민 ( Su-min Choi ),백재희 ( Jae-hee Back ),신용태 ( Yong-tae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최근 4 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다양한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제조 산업에서도 공장 자동화를 위해 스마트팩토리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IIoT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SDN 을 활용하여 제어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다만, SDN 은 관리자의 조작이 필요하여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불완전한 형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 학습과 SDN 을 혼합한 형태인 KDN 을 활용하여 최적의 자원할당을 위해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 통행량 자료를 이용한 충청권 도시 중심성 변화 분석

        최수민 ( Sumin Choi ) 충남연구원 2022 충남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 36개 시군구 간의 통행량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2019년)의 도시 중심성과 2040년에 예상되는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한국교통DB(KTDB)에서 수집한 통근·통학 및 쇼핑·여가 통행량 자료이며, 보나시치 위계 중심성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는 대전이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2040년에는 세종의 중심성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대전과 유사한 위계를 갖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중심성이 기존 대전·세종 중심에서 주변지역으로 분산되면서 지역간 격차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충청권의 도시 중심성은 기존 세력의 계속적 유지보다는 다양한 요인에 의한 장기적 변화와 지역 내 균형적 발전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충청권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요인을 분석하지 못하였으나, 다양한 광역 범위의 계획 수립 시 향후의 도시 세력 변화에 대한 예측이 기초자료로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2019) urban centrality and the expected changes in 2040 using traffic volume data of 36 cities in the Chungcheong region(Daejeon, Sejong, Chungbuk and Chungnam). The traffic volum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commuting to work/school and shopping/leisure traffic data from the Korea Transport database(KTDB). The Bonacich power centrality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at Daejeon currently has the highest centrality in the region, but in 2040, the centrality of Sejong will increase significantly and will have a similar hierarchy to Daejeon. In addition, as the current centrality was dispersed from Daejeon and Sejong to the surrounding cities,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gap decreased. Therefore, in the long term, the urban centrality of Chungcheong region is not maintained continuously, but is expected to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balanced development in the region.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analyze the specific factors that caused changes in the centrality of the reg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dictors of future urban power change could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when establishing various plans for 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전시관의 몰입 효과 연구

        최수민 ( Su-min Choi ),편정민 ( Jung-min P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오늘날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의 발달은 인간과 사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기존 디스플레이 중심 전시에서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전시 형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전시 연출 매체 중에서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와 가상의 이미지를 이음새 없이(seamless) 결합한다는 점에서 높은 몰입감과 실재감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의 개념과 주요 구현 기술을 알아보고, 관람객의 몰입도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시 연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전시관의 개념과 주요 구현 기술 및 세부적인 주요 연출 매체를 알아보았다. 또한 몰입도를 증대할 수 있는 전시 연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체험성(4Es 체험요소), 프레젠스(presence : 실재감) 이론에서 가설을 도출하여 설문조사와 1:1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증강현실 체험형 전시관은 전반적으로 일반 전시보다 체험성, 프레젠스가 고르고 높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람객의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프로젝션형 디스플레이 중심의 전시가 사실적인 전시 환경을 구성하여 높은 체험요소와 프레젠스 평가를 받았으며,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기존 증강현실 체험관의 사례 분석과 가설검증을 통해 전시 연출에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방안이 맥락인식 기법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체험 및 학습에 효과적 연출 매체인 증강현실 전시 기획에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가족단위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체험형 전시 연출 및 새로운 문화 체험 공간 창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연구 자료로 쓰이길 바란다.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oday has enabled a smooth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materials and driven a change in exhibition from the display-based exhibition to the exhibition facilita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Among the exhibition display media, in particular, augmented reality highly affects flow and presence in that it seamlessly combines the real world and virtual imag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nd its major implementation techniques, and attempted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exhibition display. Methods The concept and the major detailed displaying media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xhibition and its major implementation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and examine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xhibition display methods that can increase flow by developing a hypothesis from the theories of experience factors and presence. Result It was found that an augmented reality exhibition was highly and evenly evaluated in experience and presence than the general exhibition, positively affecting flow of visitors. In particular, a projection type display-based exhibition was highly evaluated in experience and presence by creating a factual exhibition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ing flow. Conclusion An effective method for exhibition display was derived through a case study and hypothesis analysis of the existing augmented reality. The paper is intended to be the basic material for the future exhibition planning of augmented reality, which is an effective display medium for experiencing and learning the virtual reality based on the context-awareness technique. Also, the paper aims to be an effective research material that can be actively used for the display planning and a new space for cultural experience by attrac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family visitors.

      • 고차 보 이론을 이용한 면 외 하중을 받는 사각 박판보 조인트의 해석

        최수민(Soomin Choi),장강원(Gang-Won Jang),김윤영(Yoon Young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Analysis based on classical beam theories for thin-walled box beams is inaccurate especially when they have angled joints. The main reason of poor results is incapability of classical theories in representing flexibilities of the beams due to warping and distortion. Therefore, accurate analysis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warping and distortion, thus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additional field variables in a higher-order beam theory. In a higher-order theory, however, a new joint matching condition consistent with the increased degrees of freedom is needed. This work presents an explicit form of that joint matching condition; the matching condition is derived analytically without any assumption. This research can be also used to explain the complex phenomena taking place at an angled joint. In this research, the beam under out-of-plane bending and torsion will be mainly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