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γ-Secretase 활성억제단백질인 TMP21의 과발현이 신경세포주에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 정에 미치는 영향

        Sun Il Choi(최선일),Seung Wan Jee(지승완),Youn Kyung Her(허윤경),Ji Eun Kim(김지은),So Hee Nam(남소희),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Jun Seo Goo(구준서),Young Ju Lee(이영주),Eon Pil Lee(이언필),Hae Wook Choi(최해욱),Hong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8

        TMP21은 AD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Aβ-42 펩타이드 생성에 중요한 γ-secretase 활성을 억제하는 p24 family에 속하는 type I 막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TMP21이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인간의 TMP21 cDNA를 합성하고, CMV promoter 조절 하에 hTMP21를 클로닝하여, CMV/hTMP21 벡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벡터를 B35 neuroblastoma에서 과발현시킨 후 γ-secretase 구성단백질과 NGF 수용체 연관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γ-secretase 구성단백질의 발현은 vehicle transfectants보다 CMV/hTMP21 transfectants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NGF low affinity 수용체인 p75<SUP>NTR</SUP>과 downstream 단백질인 RhoA의 양은 NGF를 처리하지 않은 TMP21 transfectants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GF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High affinity NGF 수용체인 TrkA의 인산화도 NGF 처리가 없는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NGF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또한 downstream 신호전달 과정 중에서 ERK의 인산화는 TrkA와 유사한 발현변화를 나타내었으나 Akt 인산화는 NGF의 처리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MP21이 neuroblastoma에서 NGF 수용체 신호전달과정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작용함을 제시하며, AD의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membrane protein 21 (TMP21) is a member of the p24 cargo protein family and has been shown to modulate γ-secretase-mediated Aβ production which was specifically observed in the brains of subjec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MP21 could affect nerve growth factor (NGF) receptor signaling pathway, the alteration of NGF receptors and their downstream proteins were detected in TMP21 over-expressed cells. CMV/hTMP21 vector used in this study was successfully expressed into TMP21 proteins in B35 cells after lipofectamin transfection. Expressed TMP21 proteins induced the down-regulation of γ-secretase complex components including Presenlin-1 (PS-1), PS-2, Nicastrin (NST), Pen-2 and APH-1. Also, the expression level of NGF receptor p75<SUP>NTR</SUP> and Rho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MV/hTMP21 transfectants than vehicle transfectants, while their levels returned to vehicle levels after NGF treatment. However, the phosphorylation of NGF receptor TrkA was dramtically decreased in NGF No-treated CMV/hTMP21 transfectants compared with vehicle transfectants, and increased in NGF treated CMV/hTMP21 transfectants. In TrkA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ERK was also decreased in CMV/hTMP21 transfectants, while the phosphorylation of Akt was increased in the same transfectants. Furthermore, NGF treatment induced the increase of phosphorylation level of Akt and ERK in CMV/hTMP21 transfectant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ver-expression of TMP21 may simultaneously induce the up-regulation of p75<SUP>NTR</SUP>/RhoA expression and the down-regulation of TrkA/ERK phosphoryl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γ-secretase activity.

      • KCI등재

        통가 TA25 해저산 칼데라 해저열수 분출구의 광석광물 산상 및 유체포유물 연구

        최선,이경용,박상준,최상훈,이인경,Choi, Sun Ki,Lee, Kyeong-Yong,Pak, Sang Joon,Choi, Sang-Hoon,Lee, In-Ky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4

        통가화산호의 TA25 해저산 서측에서는 열수광체가 처음 발견되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열수분출구들은 열수분출이 막 시작된 미성숙한 분출구로서 최저 $150^{\circ}C$에서 최대 $242^{\circ}C$ (평균: $203^{\circ}C$)의 열수온도를 보인다. 주요 황화광물로는 섬아연석, 황철석, 백철석, 방연석, 황동석, 코벨라이트, 비사면동석(tennantite), 황비동석(enargite)이 산출되며, 중정석, 석고/경석고 등의 황산염 광물들이 침니 외각에서 산출된다. 특히, 섬아연석이 높은 산출빈도를 보이는 아연 우세형 (Zn-rich) 광체로 분류된다. 광석광물 중 황비동석의 산출은 이 지역 열수분출구의 광화작용이 고유황형 환경에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섬아연석은 열수분출구의 외각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산출빈도가 증가하며, 섬아연석 내 철함량 (mole% FeS)도 높아진다. 또한, 이들 섬아연석은 은 (~10 wt.%)을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황동석은 침니에 비해 광체구에서 높은 산출빈도를 보여, 침니와 비교하여 광체구에서 다소 고온의 광화작용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열수분출구 구성광물 중 광체구에서 산출되는 중정석을 대상으로 한 유체포유물 실험 결과, 균일화 온도 및 염농도는 $148^{\circ}C{\sim}341^{\circ}C$ (평균: $213^{\circ}C$) 및 0.4~3.1 equiv. wt.% NaCl를 보여 섬아연석 등 광석광물의 주된 광화작용이 약 ${\geq}200^{\circ}C$에서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며, 동광화작용이 미약한 침니에서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광화작용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extensive hydrothermal deposits have been found, for the first time, on the western TA25 seamount caldera in the Tonga arc. The seafloor hydrothermal vents are active and immature, emitting the transparent fluids of which temperatures range from $150^{\circ}C$ to $242^{\circ}C$ (average=$203^{\circ}C$). The recovered hydrothermal sulfides are mainly composed of sphalerite, pyrite, marcasite, galena, chalcopyrite, covellite, tennantite, enargite and sulfates such as barite, gypsum/anhydrite. Predominant sphalerite categorize it into Zn-rich hydrothermal ore body. Zn-rich sulfide ores have minor enargite, indicating that mineralization occurred in high sulfidation environment. The proportion and FeS content of sphalerite increase from outside to inside of the hydrothermal or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sphalerite has a great silver content (up to ~10 wt.%). Chalcopyrite i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mound than in the chimney, implying mineralization temperature in the mound is higher than in the chimney. Homogenization temperatures and salinities from fluid inclusions in barite at the mound range from $148^{\circ}C$ to $341^{\circ}C$ (average=$213^{\circ}C$) and 0.4 to 3.6 equiv. wt.% NaCl, respectively. Homogenization temperatures suggest that sulfides in the mound mineralized at a higher temperature (${\geq}200^{\circ}C$) than in the chimney.

      • KCI등재

        Effects of Chungkookjang Extract on Growth Hormone Secretion from GH3 Mouse Pituitary Cell and Growth Hormone Receptor Signaling Pathway

        Sun Il Choi(최선일),Ji Eun Kim(김지은),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Young Ju Lee(이영주),Hong Joo Son(손홍주),Dong Seob Kim(김동섭),Kyu Min Park(박규민),Dae Youn Hwang(황대연)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9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의 생산과 분비는 세포의 분열과 분화 그리고 이동을 조절하는 몇 가지 천연물질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발효과정을 통해 제조된 청국장이 성장호르몬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성장호르몬 분비능과 반응성을 뇌하수체 세포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관찰하였다. 6가지 종류의 콩 품종으로 제조된 청국장 추출물 중에서, 대원, 대풍, 태광의 3종류 청국장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GH3 세포로부터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였다. 비록 세포 생존능은 이러한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가 유도되지 않았으나,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은 청국장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성장호르몬의 표적 기관으로부터 유래된 MG63과 HepG2 세포는 GH3로부터 수집된 조건적 배양액에 의해 유의적으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이러한 세포에서 STAT5 발현은 대원 청국장 추출물을 처리 후, 15분 혹은 30분부터 세포질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STAT5는 핵에서 30분 혹은 60분부터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3가지 종류의 청국장 추출물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청국장의 조건적 배양액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신호전달을 유도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 (GH) in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can be induced by several natural products to control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hungkookjang (CKJ)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process affects GH-related metabolism, the secretion and the response of GH were observed in pituitary cells and GH target cells. Among six CKJs manufactured by different strains of glycine max, only three CKJs, including Daewon (DW), Daepung (DP), and Taegwang (TG), induced GH secretion from GH3 cells at 5.0 mg/ml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etected in the viability of any of the cells treated with these CKJ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GH secretion from the GH3 cells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three types of CKJs. The proliferation of cell lines, including MG63 and HepG2 cells, that originated from those derived from the GH target organs was significantly activated by treatment with the GH-containing conditional medium (GCM) harvested from the three CKJ-treated GH3 cells, although their induction rat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se cells, p-STAT5 was maximally translocated into the nucleus of MG63 cells 30 min after DW treatment, while it was translocated in HepG2 cells at 60 m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three types of CKJ could enhance the secretion of GH, as well as the GCM-derived response, in the two target organs.

      • KCI등재

        Construction and In vitro Study of a Prx 6/Luc Vector System for Screening Antioxidant Compounds in the Transgenic Mice

        Young Ju Lee(이영주),So Hee Nam(남소희),Ji Eun Kim(김지은),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Sun Il Choi(최선일),Moon Hwa Kwak(곽문화),Jae Ho Lee(이재호),Young Jin Jung(정영진),Beum Soo An(안범수),Dae Youn Hwang(황대연)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2

        Peroxiredoxin 6 (Prx 6)는 티올-특이적 항산화 단백질에 속하는 효소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물의 환원작용을 촉매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Prx 6의 promoter를 이용하여 항산화반응을 유발하는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는 새로운 형질전환마우스를 개발하는 최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간단계로서, hPrx 6/Luc 벡터를 개발하고, 이들 벡터의 안정적 발현과 성공적 반응성을 세포주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 Prx 6 promoter를 증폭하여 luciferase cDNA와 결합한 hPrx 6/Luc 벡터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벡터를 제한효소 절단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hPrx 6/Luc 벡터는 NCI-H460 세포에 transfection한 후 인삼(KWG), 홍삼(KRG), 맥문동(LP), 홍문동(RLP)의 4가지 추출물을 처리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luciferase activity는 4가지 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KRG과 LP를 처리한 그룹이 KWG과 RLP를 처리한 그룹보다 높았다. 또한, luciferase activity는 RLP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hPrx 6/Luc 벡터와 hPrx 6 mRNA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4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후 hPrx 6 mRNA의 양을 RT-PCR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hPrx 6 mRNA의 양은 비록 고농도의 RLP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4가지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4가지 추출물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의 변화는 비록 일부 차이는 있었지만 hPrx 6/Luc 벡터와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hPrx 6/Luc 벡터는 성공적으로 제조되었고, 세포내에서 안정적으로 발현하면서 항상화물질에 민감하고 정량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세포주에서 확인결과를 바탕으로 형질전환마우스가 개발된다면, 항산화물질을 정량적으로 스크리닝하는 시스템으로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Peroxiredoxin 6 (Prx 6) is a member of the thiol-specific antioxidant protein family, which may play a role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in regulating phospholipid turno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human Prx 6/Luc vector was stably expressed and responded to antioxidants in a lung cell line (NCI-H460). To achieve this, the luciferase signal, hPrx 6 mRNA expressio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ere measured in transfectants with a hPrx 6/Luc plasmid after treatment with four antioxidant extracts, including Korea white ginseng (KWG), Korea red ginseng (KRG), Liriope platyphylla (LP), and red Liriope platyphylla (RLP). First, the hPrx 6/Luc plasmid was successfully constructed with DNA fragments of human Prx 6 promoter, amplified by PCR using genomic DNA isolated from NCI-H460 cells, and cloned into the pTransLucent reporter vector. The orientation and sequencing of the hPrx 6/Luc plasmid were identified with restriction enzyme and automatic sequencing. A luciferase assay revealed significant enhancement of luciferase activity in the four treatment groups compared with a vehicle-treated group, although the ratio of the increase was different within each group. The KRG- and LP-treated group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e KWG- and RLP-treated groups. Furthermore, the luciferase activity against RLP occurred roughly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level of endogenous hPrx 6 mRNA did not change in any group treated with the four extracts. The SOD activity was in agreement with the luciferase activit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rx 6/Luc vector system may successfully express and respond to antioxidant compounds in NCI-H460 cells. The data also suggest that the Prx 6/Luc vector system may be effectively applied in screening the response of hPrx 6 to antioxidant compounds in transgenic mice.

      • KCI등재

        LP9M80-H Isolated from Liriope platyphylla Could Help Alleviate Diabetic Symptoms via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

        Ji Eun Kim(김지은),In Sik Hwang(황인식),Jun Seo Goo(구준서),So Hee Nam(남소희),Sun Il Choi(최선일),Hae Ryun Lee(이혜련),Young Ju Lee(이영주),Yoon Han Kim(김윤환),Se Jin Park(박세진),Nahm-Su Kim(김남수),Young Hwan Choi(최영환),Dae You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LP9M80-H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으로부터 메탄올과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새로운 추출물로서 ICR 마우스에서 인슐린분비를 촉진하며, 간과 뇌 조직에서 인슐린 신호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 서는 LP9M80-H가 당뇨와 비만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OLETF 모델동물에 LP9M80-H를 2주간 투여한 후 당뇨와 비만과 관련된 주요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록 체중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복부 지방량은 vehicle 투여군보다 LP9M80-H 투여군에서 적었다. 또한, 혈중 포도당농도는 LP9M80-H를 투여한 OLETF랫드가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인슐린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혈청 내 3가지 주요 지질의 농도는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지방의 산화를 촉진하는 아디포넥틴의 농도도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감소하였다. 더불어, 체내에 분비된 인슐린이 표적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간조직에서 인슐린 수용체와 인슐린 수용체기질(IRS)의 발현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2가지 단백질은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vehicle 투여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인슐린 신호경로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포도당 수송체 중에서 Glut-2와 Glut-3 발현은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반면에, Glut-4 발현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LP9M80-H는 포도당항상성과 지질농도의 조절을 통하여 당뇨와 비만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was reported that the novel compounds (LP9M80-H) of Liriope platyphylla regulate glucose transporter (Glut) biosynthesis by activating the insulin-signaling pathway in the liver and brain of ICR mice.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LP9M80-H on the pathology of diabetes and obesity, alterations of key factors related to symptoms were analyzed in the Otsuka Long 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treated with LP9M80-H for 2 weeks. The abdominal fat masses in the LP9M80-H-treated group were lower than the vehicle-treated group,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when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LP9M80-H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glucose levels and an increase in the insulin concentration in the blood of OLETF rats. A high level of insulin protein was also detected in pancreatic β cells of LP9M80-H-treated OLETF rat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oncentration of lipids and adiponectin was detected only in LP9M80-H-treated OLETF rats.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insulin receptor β and the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LP9M80-H-treated OLETF rats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Of the glucose transporters located downstream of the insulin-signaling pathway, glucose transporters (Glut) -2 and -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P9M80-H-treated OLETF rats, while the level of Glut-4 was maintained under all condi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P9M80-H may contribute to relieving symptoms of diabetes and obesity through glucose homeostasis and regulation of lipid concentration.

      • KCI등재

        LP-M, a Novel Butanol-Extracts Isolated from Liriope platyphylla, could Induce the Neuronal Cell Survival and Neuritic Outgrowth in Hippocampus of Mice through Akt/ERK Activation on NGF Signal Pathway

        So He Nam(남소희),Sun Il Choi(최선일),Jun Seo Goo(구준서),Ji Eun Kim(김지은),Yoen Kyung Lee(이연경),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Young Ju Lee(이영주),Hong Gu Lee(이홍구),Young Whan Choi(최영환),Dae Youn Hwang(황대연)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9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동양의학에서 오래 동안 항염증제, 당뇨 혹은 비만 치료제, 그리고 신경세포활성화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으로부터 NGF의 발현을 촉진하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맥문동으로부터 13가지의 새로운 추출물을 확보하고 이들의 기능을 세포주와 마우스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세포독성이 낮고 NGF의 분비량이 많은 LP-E, LP-M, LP-M50, LP2E17PJ 등 4가지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들 중에서 LP2E17PJ를 제외한 3가지 추출물에 의해 분비된 NGF는 PC12세포의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하였다. 더불어 추출방법과 추출량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LP-M을 C57BL/6 마우스에 2주간 투여하여 뇌조직에서 NGF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LP-M은 오직 피질에서만 두 종류의 receptor 중에서 low affinity neceptor를 통한 억제신호를 전달하였으며, 해마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을 해마에서만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였고 피질에서는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맥문동 추출물인 LP-M은 마우스 대뇌의 해마에서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을 통해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Liriope platyphylla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n effective medical plant to improve symptoms of cough, sputum productio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besity and diabetes for long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vel extracts on nerve growth factors (NGF)-stimulated neuritic outgrowth, the alteration of NGF expression and NGF receptor signaling pathway were detected in neuroblastoma cells and C57BL/6 mice. Of a total of 13 novel extracts, 4 extracts (LP-E, LP-M, LP-M50, LP2E17PJ) showed high viability on MTT assay. Also, all of these extracts induced NGF secretion and NGF mRNA expression in neuroblastoma cells. However, the NGF-induced neuritic outgrowth from PC12 cells was only stimulated by LP-E, LP-M and LP-M50. Furthermore, we selected LP-M as a best candidate, based on method and amounts of extraction,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 in mice. C57BL/6 mice were treated with 50 mg/kg of LP-M for 2 weeks and the effects on NGF regulation were analyzed with various methods. The expression of NGF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M treated mice compared to vehicle treated mice. Also, the signaling pathway of p75NTR was inhibited in the cortex by LP-M treatment, with no change in the hippocampus of brain. However, the signaling pathway of TrkA was dramatically activated in only hippocampus via LP-M treatme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ovel four extracts of L. platyphylla may contribute to the regulation of NGF expression and secretion in neuronal cells. LP-M was especially considered to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a neurodegenerative disease-therapeutic drug.

      • KCI등재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중증 폐렴으로 체외막산소화 장치를 적용한 1예

        최선하 ( Sun Ha Choi ),윤서희 ( Seo Hee Yoon ),설인숙 ( In Suk Sol ),김민정 ( Min Jung Kim ),김윤희 ( Yoon Hee Kim ),신홍주 ( Hong Ju Shin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6

        We present the first case report of a child with human metapneumovirus (hMPV) pneumonia who survived b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in Korea. A 26-month-old boy with a previous history of Lennox-Gastaut syndrome and delayed development suffered from respiratory failure after 4 days of fever, cough, and sputum. The boy underwent intubation and required ECMO application due to failure of conventional mechanical ventilation. He was on the ECMO support for 7 day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shortest period reported for ECMO application among successfully treated patients with hMPV infection accompanied by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is case highlights 2 clinical implications: the potentially fatal causative role of hMPV in respiratory failure in a pediatric population and the timely utilization of ECMO.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456-460)

      • SPOT-5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수치사진측량시스템(HIST-DPW) 구축

        최선옥(Choi, Sun Ok),김덕인(Kim, Deok In),김동규(Kim, Dong Kyu),위광재(We, Kwang Jae),김동욱(Kim, Dong Wook) 한국측량학회 201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4

        대축척 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항공영상을 많이 사용하는데, 최근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발전과 더불어 높은 해상도의 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지상해상도 1m 이내의 공간해상력을 지니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제작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항공영상은 공선조건식을 이용하여 센서모델링을 수행하지만 위성영상은 영상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모델링이 적용된다. 따라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입체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성에 맞는 정확한 센서모델링을 수행해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외산장비에 대응할만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OT-5 입체영상에 대한 궤도모델링을 수행하고, 이를 수치사진측량시스템에 탑재하여 입체시 상에서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센서모델을 통하여 시차가 발생하지 않는 SPOT-5 스테레오 입체시를 생성하였으며, 1/25,000 수치지형도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