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보편적 세계인식 원리로서의 가家

        최석만(Choe Sug-Man),이태훈(Lee Tae-Ho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한국은 가족문화가 가장 잘 발달한 나라다. 유교의 오랜 영향으로 가족은 생활의 가장 중요한 장이자 삶의 목표이자 사회도덕의 원천이다. 한중일 삼국 가운데 지금까지도 동양적 가족이 가장 많이 남아 있고 가족에서 연원된 ‘우리’ 의식은 일상 언어와 사고방식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다. ‘우리’ 의식은 한국인의 존재의 집이다. 친애를 바탕으로 형성된 ‘관계’는 생각보다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개방적이다. 가족적 관계에서 연원이 된 친애성과 복잡성, 개방성이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BR>  동양에서 가족이 사회 구성의 출발이었다면, 서양의 가족관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항상 사회관의 하부 개념이었다. 가족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서양에서는 이상사회를 구성하기 위해 가족을 이런식, 저런 식으로 설계(design)해 왔다. 이런 생각이 현실적으로 추진된 것은 사회주의국가에서이다. 서구 사상가 가운데서는 헤겔이 유일하게 가족의 중요성과 인륜성을 언급하였지만 동양에서처럼 사회적 도덕의 차원으로 승격되지는 않았다. 서양과 달리 동양에서 가족은 사회와 국가와 세계와 만물로 뻗어나가는 모체였다. 가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동양의 ‘가家’의 세계는 도덕과 감성과 이성의 복합체이다.<BR>  동양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도덕적 지향은 한마디로 ‘인륜적 세계주의’라고 할 수 있다. 자신과 가족을 위하는 인간의 사私적 욕망이 인간 사회의 풍요의 원천이지만 더 넓은 공公의 세계로 끊임없이 가족적 친애를 확장할 것을 권한다. 가족적 친애가 원천이기 때문에 동양의 세계는 인간적이되 억압적이지 않으며 지향하되 이념적이지 않으며 긴 시간에 걸쳐 낳고 낳는 세계이다. 이러한 생각을 데카르트 식으로 표현하면 “나는 낳아졌다. 고로 낳는다”이다.   Korea has the most developed family-based culture. Confucian tradition made family the most important field of life, the objective of life, and the source of social morality. Korean family is closer to East Asian family model than China or Japan. Family-originated ‘we-ness’ widely exists in everyday languages and the way of thinking. ‘We-ness’ is the house of existence to Korean. Social relationships modelled after familial affection, however, are complex and open-hearted,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BR>  While the family is the starting point for social construction in East Asia, western family was the sub-concept for social construction since Plato and Aristotle. Rather than understanding family as it is, it was designed in this way or that way in idea for the Utopia, which was realized in socialist countries. Hegel was the only philosopher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family-based morality, which, however, was not upgraded to the level of society as in East Asia. From the family, the self expanded to the society, world, and universe which is the meaning of Ka(家), at the same time, an entity of morality, sentiment, and rationality.<BR>  The East Asian tradition of understanding the humanity and morality can be called as the ‘family-derived worldism.’ It understands that the individual private desires for self and family are the motor of social prosperity, while it encourages to expand familial affection to the wider public world. It is humanistic but not oppressive, progressive but not ideological, and bears and gives births for longer times as family does. If using the Cartesian expression, it can be said: “I was born so I bear.”

      • KCI등재

        세계화 시대에서의 한국 자본주의의 성격

        최석만(Choe, Sug- M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1990년의 사회주의권의 와해와 최근의 중동의 민주화 혁명이 보여주듯이 세계의 정치제도는 자유민주주의로 수렴하고 있다. 그리고 WTO 이후 고립된 국민경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상품과 금융이 국민경제의 벽을 넘어 자유로이 드나들고 있다. 더 나아가 EU처럼 인적 교류마저 자유로이 이동하는 국경 없는 하나의 세계가 인류의 미래로 나타나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서 한국이 정치, 경제, 대중문화, 교육, 기술 개발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유는 거시사회적으로 볼 때 여러 가지 역사 과정의 복합된 결과이다. 우선 미신과 다신론에서 벗어나 일신론인 불교를 4세기부터 받아들임으로서 세계에 대한 긍정적 세계관을 갖게 되었고 다시 조선 왕조에 이르러 유교를 받아들이면서 정교政敎 분리를 이미 14세기부터 실현하여 서구적 의미에서의 ‘세속사회’의 기초를 이룩하였다. 유교는 학문을 최고의 가치로 추구하여 그 결과 오늘날까지도 한국은 교육열에 있어서 세계 최고이다. 그리고 완전한 시민사회는 아니었지만 면대면 범위를 훨씬 뛰어넘는 전통적인 넓고 중층적인 혈연, 지연, 학연의 망은 현대적인 이차원적 사회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직에 순응하고 헌신하게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자산들이 지식과 기술이 가장 많은 부를 창출하는 현대 세계에서 한국의 성공을 도출하였다. The collapse of socialist countries in 1990 and the democratic changes of Middle East shows that the political system of the world is converging towards the liberal democracy. And after the WTO, there is no isolated national economy. Commodities and capital are almost freely exchanged over the national border. Moreover, one word without national borders is rising in the horizon where man can freely migrate as in the case of EU. The distinguishing development of recent Korea in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popular couture, education, and technology is the result of complex historical processes of Korea. Korea accepted monotheistic Buddhism in fourth century departing from the superstition and polytheism, resulting in the positive world view. And from the Yi-Dynasty in fourteenth century, Korea accepted Confucianism and achieved the sepe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which was the basis of so called ‘secular society’in modern Europe. Confucianism believed the leaning as the utmost goal of life, which is reflected in the contemporary aspiration of education which is the world best. And the traditional social networks of kinship, region, and schools which was far more broad and multi-dimensional than the face-to-face relationship contributed to forming and conforming the modern secondary and anonymous social organizations. These historical heritages contributed to the Korean successes in modern world where knowledge and technology produce most social wealth.

      • KCI등재

        한류: 한국 전통문화의 재해석

        최석만(Choe Sug-M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90년대부터 불기 시작한 한류열풍이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얀마로 번져 가고 있다. 주로 이 나라들에서의 한류열풍현상을 보도하는 것이 대부분인 가운데 그 원인에 대한 가설들도 몇 개가 등장하였다. 이를 요약하자면 1) 문화제국주의론, 2) 문화지구화론, 3) 수용자 요인론, 4)한국대중문화론, 5) 기술적 요인, 6) 한국의 전통문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BR>  이 논문에서는 각 논의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한국의 전통문화가 대중문화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외국에서 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여기에 대한 논의가 없지만 외국에서 한류를 좋아하는 이유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것이 따뜻한 인간애, 가족애이며 이것은 유교문화의 영향이 크다. 우리의 전통문화였던 유교에서는 가족을 사회로의 첫걸음이라고 하고 가족 간의 우애, 존경, 효를 윤리의 출발로 삼는다. 국가에 대한 충은 가족에서의 효의 연장 개념이다. 유교의 가족주의는 가족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말이 뜻하는 것처럼 국가로, 세계로 자기의식을 펼쳐 나아가는 단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BR>  전통에서 연유된 현재 한국의 대중문화는 다른 사회와 달리 따뜻한 인간애, 사회 사랑, 국가 의식을 은연중에 깔고 있다. 서구의 대중문화와 같은 반사회성, 폭력이 드문 것도 그런 연유에서이다.<BR>  한류는 다양한 요인의 결과이다. 한국의 경제적 풍요, 정치적 민주주의, 예술에 대한 애호, 기술 발전, 그리고 동남아 국가들의 대중문화 수준, 세계 수준에서의 문화의 흐름 등 한없이 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러나 다른 한류 특유의 화려한 외양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전통문화에서 우러나오는 따뜻한 인간애, 가족주의, 이기적이지 않은 사랑, 강한 유대의 뒷면인 강한 갈등이 가져오는 역동적 스토리 전개와 같은 것들이다. 이런것들이 외국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고 있다.<BR>  대중문화 한류의 뿌리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문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함께 현재적 양태에 대한 더 많은 탐색이 필요하다.   ‘Korean Wave’ began late 1990s. Suddenly Korean dramas, movies, and songs rouse Japan, China, Taiwan, and Vietnam audience to enthusiasm. So sudden it was, perplexed is the explanation so far. The causes of Korean Wave can be summarized into: 1. ‘cultural imperialism’ that depicts Korean as a semi-imperial country that contaminates East Asian countries with deplorable capitalist popular culture; 2. ‘Glocalization of popular culture’ that came into being with the world-wide globalization; 3. ‘recipient condition’ that explanates the permeablity by Korean popular culture; 4. ‘Korean popular culture’ that focuses on the strength, variety, and high quality; 5. ‘techn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apprearances such as colorful scene, handsomeness, cheerful rhythm which were assisted by high-tech of Korea. 6. ‘traditional culture’, the charmings and attractions of it was reported over and over again by audiences of Japan,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finally<BR>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was widely disregarded by Korean scholars. It is argued that Confucianism and familism are ‘the house of being’ to Korean, which is, contrary to general belief i.e., family-centered egoism, the source of humane relationships, and social fraternity. Moreover, it generates complex, rather than simple, human relationships, and is dynamic rather than static in terms of openness and competition.<BR>  As a Chinese journalist once elucidated, causes of attractions of Korean Wave come from modern appearance with traditional conten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