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FC태그에 저장 가능한 마이크로 웹페이지

        최복동,은성배,Choi, BokDong,Eun, SeongBae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2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7 No.1

        A Smartphone has an ability accessing Internet by URL stored i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items, blogs and web pages. Because the system works through the Internet with URL, however, it needs to pay some costs like communication fee and time. If we can store the web page on the tags, we can save the communication overhead. But they have too small memory to store it.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icro-Webpage technology which can be stored in NFC tag or QR(Quick Response) code. To make a Micro-Webpage, we remove control tags from the web page to leave a user original content. The removed control tags are stored in our smartphone application as a template. The user content is also compressed to a smaller one by an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 When a tag is read, the stored content is decompressed and, it is combined with the template to make the original web page. We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of Micro-Webpage system on Android platform and confirmed that the prototype has reasonable performance improvements in saving memory and loading web page time.

      • KCI등재

        PWW 기반 사물통신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최복동,은성배,김병호,Choi, Bokdong,Eun, Seong Bae,Kim, Byu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3

        사물통신은 사람 대 사물, 사물 대 사물간 지능통신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융합 ICT 기반이다. 사물통신 플랫폼은 다양한 장치와 센서를 통해 사물의 정보를 취득 또는 생성하는 M2M 현장 네트워크, 이를 전달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망, 수집된 정보를 가공, 활용하는 응용서비스들의 3요소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WCDMA 기반의 M2M 통신망과 지그비 또는 Wi-Fi 기반의 USN을 상호 연동하는데 현실적으로 걸림돌이 되는 두 가지 문제, 즉 WCDMA 망의 요금 문제와 게이트웨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PWW(Person Wide Web) 기반의 M2M 플랫폼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한 USN 게이트웨이를 통해 USN 기반 현장 네크워크와 응용서비스 단말로써의 스마트폰을 직접 연동시킴으로써 WCDMA 무선망 접속을 최소화하여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현실적 문제를 회피할 수 있음을 보였다. Machine to machine (M2M) communication is a converge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latform which can utilize communications services among people and things anytime, any place in realtime. The M2M platform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M2M area networks sensing and generating data of things by various sensors and devices; public networks transporting those data; and M2M applications utilizing the aggregated data. There exist however two practical obstacles to realize the M2M communications in terms of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WCDMA-based public network and the local networks based on W-Fi or ZigBee; one is the cost problem required to access the public network, and the other is the lack of a cost-effective modem or gateway to connect two different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d and implemented a novel M2M platform based on PWW (Person Area Network) which can resolve those two issues by using a proposed gateway connecting the local network and smartphones as application devices without access the WCDMA-based public network.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platform is very practical to adopt to the real environment by actual testing with the own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s.

      • 센서 독립형 센서노드 플랫폼 구조

        최복동(Bokdong Choi),소선섭(Sun Sup So),은성배(Seongbae Eun) 대한전기학회 2008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8 No.1

        Recently, USN applications are in the early stage of commercialization. But, there are still several problems to develop USN applications. It is mainly due to the current development scheme that solution vendors makes all of them including HW, SW, sensor modules. The development of USN applications could be revitalized if three entities such as PC platform developers, PC device vendors, and application developers would do their best as in PC development. 10 this paper, we suggest an sensor node platform architecture supporting sensor independancy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USN applications. Traditional platforms like Tiny -OS and Nano-Q+ do not support such sensor independancy. At first, we present a unified API for sensor independancy, and also suggest an architecture to support sensor independancy. Our architecture results in the revitalization of developing USN applications.

      • SCOPUSKCI등재

        메꽃(Calystegia japonica) 잎 추출물의 함유성분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최복동(Bok-Dong Choi),전호성(Ho-Sung Jeon),이양숙(Yang-Suk Lee),주은영(Eun-Young Joo),김남우(Nam-Woo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야생 식·약용식물들을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메꽃 잎의 물(WE)과 에탄올(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한 xanthine oxidase 저해,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능 그리고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꽃 잎의 세가지 추출물은 0.5㎎/㎖에서 90% 이상의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고농도에서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BHA나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HWE 추출물이 1.0 ㎎/㎖에서 1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 ㎎/㎖의 pH 1.2에서 세가지 추출물 모두 약 65% 이상, pH 3.0의 조건에서는 50%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WE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0.1 ㎎/㎖에서 EE가 84.80%로 가장 높았으며, 세가지 추출물 모두 저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EE는 179.89 ㎎/g의 폴리페놀과 40.68 ㎎/g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메꽃 잎은 우수한 생리활성과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므로 이를 이용한 식음료나 기능성 가공식품, 식품 보존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s well a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water extract (WE), ethanol extract (EE) and hot water extract of Calystegia japonica leaves under high pressure (HWE).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rate of EE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98.89% at a concentration of 1.0 ㎎/㎖, whereas the rate of WE and HWE was over 90% at a concentration of 0.3 ㎎/㎖.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HWE was the highest at 18.88%.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64.59-66.46% at conditions of pH 1.2 and 1.0 ㎎/㎖, and 52.78-55.89% at pH 3.0.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E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84.80% at a concentration of 0.1 ㎎/㎖. Al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electron donating at the concentration of 0.1 ㎎/㎖, and this effect decreased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EE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 compound (173.89 ㎎/g) and flavonoid compounds (40.68 ㎎/g).

      • KCI등재

        국내산과 중국산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최복동(Bok-Dong Choi),박창수(Chang-Soo Park),주은영(Eun-Young J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V. mandshurica)의 잎과 뿌리 그리고 한방생약재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의 생리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중국산 자화지정의 물 추출물의 수율이 30.45 g/100 g으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102.3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중국산 자화지정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36.16 ㎎/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은 국내에서 채집된 자회지정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92.69%와 93.61%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L의 농도에서 국내산 잎의에탄올 추출물이 17.28%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중국산 잎 추출물이 pH 1.2와 pH 3.0의 조건에서 50% 이상의 소거율을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98.67%와 93.80%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중국산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45.04%와 31.36%로 국내산 자화지정 잎과 뿌리보다 tyrosinase 저해율이 매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 추출물의 수율,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중국산 자화지정이 국내산 자화지정보다 높은 함량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그리고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화지정의 뿌리 추출물은 국내산과 중국산의 자화지정 잎추출물보다 낮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생리활성 결과는 자화지정이 훌륭한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Korean and Chinese Viola mandshurica W. Baker. The water extract from leaves of Chinese V. mandshurica exhibi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s of 30.45 g/100 g an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lavonoids as 102.30 ㎎/g. Also, its ethanol extract showed the best content of polyphenol compounds as 136.16 ㎎/g. The leaf extract of Korean V. mandshurica produced higher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92.69% (KLW) and 93.61% (KLE)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strongest SOD-like activity was shown in the ethanol extract from Korean leaves of 17.28% at the concentration of 1.0 ㎎/mL.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of the leaf extracts of V. mandshurica from China were intense over 50% at pH 1.2 and 3.0. In the results of inhibitory rates of xanthine oxidase (XO), both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Chinese leaves were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as 98.67% and 93.80% respectively.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was the highest in the water extract (45.04%) of Chinese leaves, followed by its ethanol extract (31.36%). The results of EDA, SOD-like activity and XO inhibition of the leaf extracts from Korean V. mandshurica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on the other hand, determinations on total polyphenol contents, NSA and tyrosinase inhibition were higher in those of Chinese.

      • Nano-Q+에서 센서의 자동슬립을 지원하는 전력 매니저

        최복동 ( Bokdong Choi ),은성배 ( Seongbae E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배터리를 사용하는 센서노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CU 및 센서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매니저를 제안한다. 센서의 타입을 설정하고 제안되어 있는 센서의 추상화를 추가한 매니저를 제안한다. Nano-Q+가 스케줄링할 때 센서의 타입을 판단하여 전원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Nano-Q+에서 MCU 및 센서의 자동 슬립을 지원하는 전력 관리 기법

        소선섭,최복동,은성배,김병호,So, Sun-Sup,Choi, Bok-Dong,Eun, Seong-Bae,Kim, Byu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논문에서는 센서 투명성을 지원하는 센서노드 운영체제에서 MCU가 슬립모드일 때 센서의 전원도 같이 차단할 수 있는 전력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전원 차단이 가능한 센서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센서의 종류를 이벤트 센서와 폴링 센서로 구분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스케쥴러를 설계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해 기존 센서네트워크 운영 체제인 Nano-Q+에서 센서에 대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센서 투명성 기능을 구현하고, MCU와 함께 센서를 자동으로 슬립모드로 바꿀 수 있는 전력 관리자를 설계, 구현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power management scheme for sensor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sensor node operating system supporting the sensor transparency, which can turn off the sensors when the MCU is in sleep mode. We classify the sensors in two types, that is, event sensors and polling sensors, to be able to decide whether the sensor is a type of sensors whose power supply can be turned off or not, and we design a new scheduler to support recognition of those different types of sensors. Implementing and evaluation of the scheduler and the power manager supporting sensor transparency are shown based on Nano-Q+.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