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과위생사의 실내공기질에 의한 자각증상 특성

        최미숙,손부순,Choi, Mi-Suk,Son, Bu-Soon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6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1 No.4

        This research is based on self-filling survey which 220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seoul participated on July 2006 through August 2006. This survey was analyzed the experience item and occurred time of the symptoms and the time of acute and vanish of the symptoms that dental office's working environment effects on physical subjective symptom. We suggest a plan to minimizing physical subjective symptom for health manage of dental hygienist. We found out the fact that dental hygienists were unsatisfied with hospital air condition and this polluted air condition cause them physical subjective symptom in work place. As follows analyzed results ventilation time is below the 3-times a day, this may be have some trouble in indoor air quality. The experience the symptoms level is higher then non-experience level in "Fatigue and sleepiness", "Dorsalgia, omarthralgia, cervicodynia", "Hypersensitivity", "Dry eye, itch, smarting", "Headaches" and a subjective symptom is occurred at after 11:00(am) more then 60%, 50% of the dental hygienist. This experience the symptom' pain is vanished after the work and reduced when go out the office and building,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experience the symptoms and starting time the symptoms is anywhere from 12 noon to 4 pm (73.2%) in a day. The time of acute pain the symptoms is anywhere from 12 noon to 4 pm (78.7%) refer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 KCI등재

        독립척도 기반의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

        최미숙,조은숙,Choi, Mi-Sook,Cho, Eun-S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3

        컴포넌트 아키텍쳐 설계를 위하여 재사용 가능한 독립적인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식별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기존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들의 컴포넌트 시별 방법은 대다수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개발자들에 의해서 식별된 컴포넌트가 보다 독립적으로 잘 정의되었는지 평가할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의 평가 기준이 되는 메트릭을 컴포넌트의 특성을 부여하여 정의한다. 즉, 비즈니스 컴포넌트 식별을 위하여 컴포넌트 내의 응집도는 높고 컴포넌트 간의 결합도는 낮아야 하는 컴포넌트 특성을 적용한 응집척도와 결합척도를 제안한다. 또한 컴포넌트의 응집도와 결함도의 비율에 의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의 독립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독립척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응집척도, 결합척도 그리고 독립척도를 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한다. When constructing a component based system, It is understood that identifying reusable and independent business components is of utmost importance. However, according to conventional component based developing methodologies, most of developers depend on their experience and/or intuition for identification of business components. Furthermore, there are no criteria to evaluate whether the identified business components are more independently defined or not. Therefore, we propose a component identification metrics to apply to component properties In order to complement the difficulties of identifying business components through developers' experience and/or intuition. The metrics defined are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business Components and/or for evaluating the Identified components. We propose both a cohesion metric, and a coupling metric, to which component properties are applied, wherein those properties can be understood by high cohesion in, and low coupling between, components. Moreover, we propose an independence metric that can evaluate the degree of independence for a particular component by ratio of the cohesion and coupling of components. The metrics that we propose are applied to case study which demonstrates the identification of more independent business components and the validity of our metrics.

      • KCI등재

        컴포넌트 설계를 위한 결합도 메트릭

        최미숙,이종석,송행숙,Choi Mi-Sook,Lee Jong-Seok,Song Haeng-S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4

        소프트웨어 개발의 높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사용 기술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설계된 컴포넌트가 측정가능 해야 하므로 컴포넌트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메트릭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특성을 반영한 컴포넌트의 결합도 메트릭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결합도 메트릭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제시하고 기존 결합도 메트릭스와의 비교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결합도 메트릭은 좀 더 정확하게 컴포넌트의 품질을 평가하고 Briand이 제시한 결합도 메트릭의 필요조건을 만족한다. The component-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becomes famous as the reuse technology to improve the high productivity of softwar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component metrics for component-based systems, because the designed components should be measur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oftwa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a coupling metric for component design which is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of component. This paper suggest a case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result about conventional metrics to verify the accuracy of our coupling metric. The Uoposed coupling metric measure the quality of components accurately and satisfies necessary conditions of coupling metric suggested by Briand and others.

      • KCI등재후보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Choi, Mi Sook),김미영(Kim, Mi Young),민순옥(Min, Soon 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K어린이집의 만 4. 5세 혼합반 유아 36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처치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을 15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야기 구성력 검사도구는 Kraayenoord와 Paris(1996)가 제작한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 검사’를 고은님(1998)이 보완하고 최미숙(2007)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창의성 검사는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검사(TTCT)를 김영채(1999)가 제작한 한국판 TTCT 도형검사 A형을 사전검사로 B형을 사후검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이야기 구성력과 창의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이 만 4, 5세 유아들의 이야기 구성력과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poetry creating activity through brainstorming on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children of mixed class for four and five years children at K child care center in G c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of 18 children and control group of 18 children. Poetry creating activity was conducted through brainstorming by 15 times for five weeks. Story construction ability tes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Story Construction Test Using Picture Book’ produced by Kraayenoord and Paris(1996) and complemented by Goh Eun Im and used by Choi Mi Sook(2007) and for Creativity Test, it used TTCT diagram test A type of Korean edition for pretest and B type for post-test made by Kim Young Chae(1999). It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with covariate variable of pretest score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measured eff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s including story construction ability and creativity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oetry creating activity through brainstorm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ory construction ability and creativity of four and five years childre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최미숙(Choi, Mi-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 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 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 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 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 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 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 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 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which change there is of oral health promotion as investigating the oral health status in quality, diagnosing which effects knowledge and attitude of oral health has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as developing and conducting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o form their oral health belief for improving oral health. This study consisted of each 51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rom 26th of March, 2012 to 30th of June, 2012 as the subjects, and pre-to-post investigated knowledge of oral and cognition. Also as it took follow-up examination of the clients who visited to the dentist with changing of their cognition, conducted matched-pair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repeated measure variance. As the result, there were always the changes at the field of knowledge about oral,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brush in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at the field of periodontal disease, dental caries, toothbrush, fluorine and bad breath in knowledge of oral health. The change of DMFT index, DT index has been reduced and FT index has been increased. As the result abov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has led to change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knowledge, and the change of knowledge has influenced to a behavior, so there were the changes of periodontal status and DMFT index as well. This has been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for oral health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Moreover, whil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by offering the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 future, it needs to run parallel prevention with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 경험

        최미숙(Choi Mi Suk),김미영(Kim, Mi Young),양복순(Yang, Bok Sun) 한국간호교육학회 2014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plore lived experience of Japanese women taking care of chronically ill parents-in-law at home under the Korean family culture emphasizing filial piety. Metho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ose experiences. This method derives the universal and fundamental aspect of human being. Results: There were 8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Japanese marriage-immigrants experiences taking care of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as followings: ‘stuck in a situation in which I am obligated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hard to be the only person responsible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unaccustomed to the Korean filial duty culture’, ‘the adverse effect of Korean-Japan history on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refusing to let the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to be a shackle of my life’, ‘starting to be willing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following through with my own way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without being swayed by what others say’, ‘growing in the process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broadened groun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taking care of chronically ill parent-in-law from Japanese marriage-immigrants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시세이도사 광고에 나타난 여성성에 관한 연구

        최미숙 ( Mi Sook Cho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2 No.-

        시세이도사는 1872년 후꾸하라 유신에 의해 시세이도 약국으로 창업한 이래 10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여성들의 아름다움과 그 시대성, 특히 독특한 여성성이 표현된 광고를 제작하고 있다. 이에 시세이도사의 광고에서 나타나는 여성성을 분석하기 위해 보들레르(Charles Pierre Baudelaire)의 근대적 여성성, 리비에르(Joan Riviere)의 정신분석적 관점,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성 정체성의 해체, 골드만(Robert Goldman)의 현대 광고속의 여성성을 여성의 성(gender)과 외모의 변증법, 포스트 페미니즘과 상품 페미니즘의 개념을 살펴 다음과 같은 여성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1. 1872-1950년대의 여성성은 프랑스 월간지 가젯트 듀봉 톤(Gazette du Bon Ton)지, 비아즈레이(Beardsley)지의 영향을 받은 아르누보 스타일이다. 2. 1951-1980년대 여성성은 이전까지 흰 피부에 치중하였다면 검게 그을린 여성을 표현하여 자유롭고 강인한 여성성에 주력하였다. 3. 1981-1990년대는 크리스천 디오르에서 이미지 창작활동을 벌이면서 탁월한 영화감독, 사진작가로도 명성이 높았던 세르쥬 루땅(Serge Lutens)의 발탁으로 시세이도사의 기업 이미지 일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아름다움과 동시에 어떤 강력한 힘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힘을 지닌 여성성이다. 4. 1991-2000년대는 인터내셔널 사명으로 고기능성 제품 광고에 외국인 모델을 기용함으로써 글로벌화 된 여성성을 표현했다. 5. 2001-2010년대는 아름답고 우아한 여성이라기보다는 동성애적이며, 삭발을 한 파격적이고 도발적인 여성성이다. Shiseido Co., Ltd has produced advertisements expressing women`s beauty, spirit of the times, and especially unique femininity for almost 100 years since its foundation as a Shiseido pharmacy by Fukuhara credo in 1872. Therefore, to analyze famininity in Shiseido`s advertisement, Charles Pierre Baudelaire`s modern femininity, Joan Riviere`s psychoanalytic perspective, Julia Kristeva`s de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y, and Robert Goldman`s femininity in modern advertising were able to capture the following femininity by looking into women`s gender, dialectic of appearance, and concepts of post-feminism and product feminism. 1. Femininity in the 1872-1950s is art nouveau style affected by French monthly magazines Gazette du Bon Ton and Beardsley. 2. Femininity in the 1951-1980s focused on free and strong femininity by expressing the suntanned woman, while formally white skin was focused on. 3. In the 1981-1990s, Christian Dior did image creations activities, and this greatly affected Shiseido image as Serge Lutens who was famous as an excellent film maker and a photographer was selected. In addition, it was powerful femininity able to be protected by beauty and at the same time a certain strong power. 4. In the 1991-2000s, it expressed globalized femininity by using a foreign model as an international mission. 5. In the 2001-2010s, is more homosexuality than beautiful and elegant woman, it is extreme and provocative femininity that shaved head.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Mi Soog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I 소재지의 W대학교 유아교육과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하위변인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에는 긍정성에 정서조절능력에는 자기정서조절능력에 그리고 공감능력에는 인지적 공감능력에 가장 큰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일반적 자아개념, 자기책임, 개인적인 성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정서조절능력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성실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주장이 공감능력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교육과정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사료가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esteem of pre-infant teachers on self-elasticity,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university students from W University"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location 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In addition, in each sub-variable, self-elasticit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 self-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with cognitive empathy ability. Seco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lasticity, and among the sub-variables, this study found that general self-concept, self-responsibility, and personal integrity in order were important determinants. Third, self-esteem has an influence on personal integrity i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Fourth, as for the effect of self-esteem on empathy ability, it was found that self-asser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mpathy ability. These research results have led to re-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suggesting that research o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improve self-esteem in the curriculum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