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인두암 Vertical MLC VMAT plan 유용성 평가

        채승훈,손상준,이제희,Chae, Seung Hoon,Son, Sang Jun,Lee, Je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1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3 No.-

        목 적 : 비인두암 VMAT 치료 시 콜리메이터 각도 273°와 350°를 사용한 2회전 치료계획(Vertical MLC VMAT plan, 이하 VMV plan)과 콜리메이터 각도 20°와 340°를 사용한 2회전 치료계획(Complemental MLC VMAT plan, 이하 CMV plan)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VMAT 치료를 받은 비인두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산화치료계획은 Eclipse, PO, AcurosXB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치료기는 Vital-beam을 사용하였다. 치료계획은 갠트리 회전반경이 각각 360°인 두 개의 회전(Arc)을 6MV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콜리메이터 각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73°와 350°로 설정한 VMV plan과 20°와 340°로 설정한 CMV plan을 수립하였다. 선량용적 히스토그램에서 확인 및 산출된 계획표적용적(PTV)과 결정장기(OAR)들의 선량지표들과 변조복잡성지수(MCSv), MU, 치료시간에 대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상별로 두 치료계획의 MCSv의 차이와 각각의 평가지표들의 차이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PTV 평가 지표의 경우, VMV Plan에서 PTV_67.5의 CI가 3.76% 개선되었으며, OAR의 경우 척수(-14.05%)와 뇌 줄기(-9.34%)의 선량감소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귀밑샘들(왼쪽 : -5.38%, 오른쪽 : -5.97%)과, 시각기관들(왼쪽 시신경 : -4.88%, 오른쪽 시신경 : -5.80%, 시신경교차 : -6.12%, 왼쪽 수정체 : -6.12%, 오른쪽 수정체 : -5.26%), 청각기관(왼쪽 : -11.74%, 오른쪽 : -12.31%)과 갑상샘(-2.02%)에서의 선량감소효과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MCSv가 VMV Plan에서 5.31% 높게 나왔으며, MU의 경우에 6.1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치료계획의 MCSv의 차이는 PTV_54의 CI(r=-0.55)의 차이, PTV_48의 CI(r=-0.43)의 차이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척수(r=0.40), 뇌줄기(r=0.34), 양쪽 침샘들(왼쪽 : r=0.36, 오른쪽 : r=0.37)의 차이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VMV plan의 moluation 복잡성이 CMV plan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질 때, PTV_54, 48의 CI 개선 및 척수, 뇌줄기, 양쪽침샘들의 선량 감소 효과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VMV plan의 modulation에 대한 효율성이 CMV plan 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모든 값에 대해 유의수준은 p<.05) 결 론 : VMV Plan은 CMV plan과 비교하여 MLC가 더 효율적으로 modulation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계획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Vertical MLC VMAT plan(VMV plan) Using 273° and 350° collimator angle compare to Complemental MLC VMAT plan(CMV plan) using 20° and 340° collimator angle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 Methods : Thirty patients treated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the VMAT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Those cases were planned by Eclipse, PO and AcurosXB Algorithm with two 6MV 360° arcs and Each arc has 273° and 350° of collimator angle. The Complemental MLC VMAT plans are based on existing treatment plans. Those plans have the same parameters of existing treatment plans but collimator angle. For dosimetric evaluation, the dose-volumetric(DV) parameters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organs at risk (OARs) were calculated for all VMAT plans. MCSv(Modulation complexity score of VMAT), MU and treatment time were also compare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MCSv and the difference in each evaluation index of the two treatment plans. Result : In the case of PTV evaluation index, the CI of PTV_67.5 was improved by 3.76% in the VMV Plan, then for OAR, the dose reduction effect of the spinal cord (-14.05%) and brain stem (-9.34%) was remarkable. In addition, the parotid glands (left parotid : -5.38%, right : -5.97%) and visual organs (left optic nerve: -4.88%, right optic nerve: -5.80%, optic chiasm : -6.12%, left lens: -6.12%, right lens: -5.26%), auditory organs (left: -11.74%, right: -12.31%) and thyroid gland (-2.02%) were also confirmed. The difference in MCSv of the two treatment plan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difference in CI (r=-0.55) of PTV_54 and the difference in CI (r=-0.43) of PTV_48. Spinal cord (r=0.40), brain stem (r=0.34), and both salivary glands (left: r=0.36, right: r=0.37)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For all the values, p<.05) Conclusion : Compared to the CMV plan, the VMV plan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reatment plan by allowing the MLC to be modulated more efficiently

      • 인공심장박동기가 이식된 유방암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사례 보고

        채승훈,박장필,이양훈,유숙현,성원모,김규보,Chae, Seung-Hoon,Park, Jang-Pil,Lee, Yang-Hoon,Yoo, Suk-Hyun,Seong, Won-Mo,Kim, Kyu-B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목 적: 본원을 내원한 인공심장박동기를 이식한 유방암 환자에 대해 장비위치이전수술, 차폐 또는 빔 정형 등을 고려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사례의 전반적인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을 내원한 유방암환자 중 좌측 흉부에 인공심장박동기를 이식한 54세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방사선치료 시행이 결정된 후, 인공심장박동기로의 선량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순환기내과와의 협의를 통해 환자 좌측 흉부에 이식되어있던 기기를 우측 흉부로 이동시키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총 선량 5,040 cGy, 일일선량 180 cGy, 28회, 치료 조건으로 광자선 에너지 10 MV, 조사야 크기 0/$9.5{\times}20$ cm를 사용하여 Half beam 대향이문조사치료를 시행하기 위한 방사선치료계획을 하였다. 방사선 치료계획 시 적합한 차폐체의 두께를 정하기 위하여 Solid water phantom($30{\times}30{\times}7$ cm)에 Farmer-type chamber (TN30013, PTW, Germany)를 이용해 차폐체(납, Pb $28{\times}27{\times}0.1$ cm)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기기에 유입될 예상선량을 산출하였다. 전산화치료계획장비(Eclipse, Varian, USA)를 사용해 치료계획을 시행하고, 두께 2 mm의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기기에 유입될 예상선량을 산출해내었다. 치료 첫 날, MOSFET Dose Verification System (TN-RD-70-W, Medical Canada Ltd., Canada)을 이용하여 인공심장박동기에 유입되는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차폐체 두께산정 실험에서 인공심장박동기가 위치한 B 지점에서 차폐체 2 mm일 경우, 105.265 cGy, 처방선량의 2.09%로 산출되어, 적합한 차폐체의 두께를 정할 수 있었다. 전산화치료계획장비에서 2 mm 차폐 시 총 치료기간 동안 11.5에서 38.2 cGy까지 기기에 유입될 수 있음이 나타났으며, DVH 최대값은 77.3 cGy로 나타났다. 환자의 첫 치료 시 MOSFET 측정 결과 4.3 cGy로 측정되어, 총 치료기간동안 120.4 cGy, 처방선량의 2.39%의 선량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환자는 치료기간동안 그리고 치료받은 후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며, 인공심장박동기는 치료시작 전과 후에 순환기내과에서 기능측정을 받은 결과 아무런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현재 인공심장박동기가 이식된 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공신력 있는 기관의 권고안이 노후화되어, 새로운 장비들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리는 타과와 원활한 협업, 철저한 치료계획과 정밀한 QA, 지속적인 in-vivo dosimetry와 monitoring 등을 통하여 이러한 환자들의 방사선치료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considerate our radiation therapy process for the breast cancer patient implanted a pacemaker applying the machine movement surgery, shielding, beam sele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 radiation therapy to a 54 years old, breast cancer patient implanted a pacemaker. The patient underwent a surgery to move the position of a pacemaker to right side breast after consultation with cardiology department. Prescribed dose was 5,040 cGy and daily dose 180 cGy for 28 fractions. The 10 MV photon energy, field size 0/$9.5{\times}20$ cm, half beam and opposing portal irradiation are used. To find out appropriate thickness of shielding board,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using a solid water phantom ($30{\times}30{\times}7$ cm), a Farmer-type chamber (TN30013, PTW, Germany) and a shielding board (Pb $28{\times}27{\times}0.1$ cm). We calculated expected absorbed dose to te pacemaker with absorb ratio and shielding ratio. In the PTP system (Eclipse, Varian, USA), we figured out how much radiation would be absorbed to the machine with and without shielding. First day of the radiation therapy, we measured head scatter to the pacemaker with MOSFET Dose Verification System (TN-RD-70-W, Medical Canada Ltd., Canada). Results: In the phantom measurement, we found out appropriate thickness was 2 mm of shielding board. In the RTP, when using 2 mm shielding the pacemaker will be absorbed 11.5~38.2 cGy and DVH is 77.3 cGy. In the first day of the therapy, 4.3 cGy was measured so 120.4 cGy was calculated during total therapy. The patient was free from any side effects, and the machine also normally functioned. Conclusion: As the report of association which have public confidence became superannuated, there is lack of data about new machine. We believe that radiation therapy to thiese kind of patients could be done successfully with co-operation, patient-suitable planning, accurate QA, frequent in-vivo dosimetry and monitoring.

      • UV 정보를 이용한 지폐 진위판별에 대한 연구

        채승훈(Seung-Hoon Chae),서영태(Young-Tae Seo),반성범(Sung Bum Pan)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9 No.-

        최근 확산되고 있는 금융 자동화 업무에는 지폐 분류기, 지폐 정사기, 지폐 인식기, 현금자동입출금기가 자주 사용됨에 따라 많은 양의 현금 거래가 무인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컬러복사기나 컬러스캐너 등의 성능도 날로 향상되어 위조지폐 개발 기술이 날로 정교해 지면서 위조지폐의 판별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위조지폐 판별기의 성능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V(Utra Violet) 영상을 이용하여 인식 정확도와 계산 속도를 높인 지폐 진위판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개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인식정확도가 영역별 합의차와, 영역별 프레임처리를 이용한 방법이 99.3%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Most of cash businesses are done through Uninhabited systems such as Denominator, Discriminator, Recognition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 the finance automated business. Duplicators and scaners are improving so that technology of counterfeit note is developing too. Thus it's difficult to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s and improvement of banknote discriminating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e algorithm which is improved accuracy of recognition and calculating speed using the reflected image what Ultra Violet(UV) light is thrown on banknote has been proposed. As the result of using the system, the method which is used subtraction of sum of each area and frame process of each area is the most accurate in 99.3%.

      • KCI등재
      • KCI등재

        의료영상에서 볼륨 데이터를 이용한 분할개선 기법

        채승훈(Seung-Hoon Chae),반성범(Sung Bum Pan)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8

        의료영상분할은 다양한 의료영상처리를 수행하기에 앞서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영상처리 기술이다. 그래서 빠르고 정확한 의료영상분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의료영상분할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의료영상에는 특성이 유사한 다양한 장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할영역의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영상은 장기의 일부가 작게 촬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분할영역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하게 되며 그 결과 분할과정에서 분할영역이 제거된다. 본 논문에서는 볼륨 데이터와 선형 방정식을 이용하여 작은 영역에서의 분할결과를 개선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흉부 CT 영상의 폐 분할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의료영상의 분할 정확도는 0.978에서 0.981로 표준편차는 0.281에서 0.187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Medical image segmentation is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prior to performing various medical image processing. Therefore,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researched for fast and accurate medical image segmentation. Accurate judgment of segmentation region is needed to segment the interest region in which patient requested in medical image that various organs exist. However, an case that scanned a part of organs is small occurs. In this cas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egmentation region is lack. consequently, a removal of segmentation region occurs during the segment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improved segmentation results in a small region using volume data and linear equation.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segmented the lung region of chest CT images. As a result of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image segmentation accuracy rose from 0.978 to 0.981 and standard deviation also improved from 0.281 to 0.187.

      • 색상과 크기 정보를 이용한 지폐 권종구분에 관한 연구

        채승훈(Seung-Hoon Chae),서영태(Young-Tae Seo),반성범(Sum Bum Pan)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9 No.-

        최근 확산되고 있는 금융 자동화 업무에서 지폐 분류기, 지폐 정사기, 지폐 인식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이 자주 사용됨에 따라 많은 양의 현금 거래가 무인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지폐 분류기, 지폐정사기, 지폐 인식기 등은 한 종류의 지폐만 계수하여 불편함이 있고, 현금자동입출금기 등은 대부분 만원권지폐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하며, 여러권종을 구분할 수 있는 권종구분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 정보와 크기 정보를 사용한 권종구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지폐의 일부분만을 사용하고 연산식이 간단하여 시스템의 속도가 빠르고, 2단계 권종구분으로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폐가 어떤 방향으로 삽입되던지 권종구분 이 가능하게 하였다. 권종구분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93.6%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Most of cash businesses are done through uninhabited systems such as denominator, discriminator, recognition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 the finance automated business. Denominator, discriminator and recognition machine are not convenient because it counts only a kind of banknot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s used for a 10000won kind. Therefore, we need an algorithm to discriminate kinds of banknote with real time image processing which is faster and more accurate. In this paper, an algorithm that can discriminate kind of banknote using information of color and size has been proposed. In the algorithm, calculating is simple, fast and accurate because just a part of banknote is used and discriminating is consist of 2 steps. To discriminate kind of banknote is possible even though a bank note is inserted any side of banknote. As the result of discriminating test, we confirmed that the propoused method is 93.6% accuracy.

      • 파손 메커니즘 분석 및 검증시험을 이용한 양수발전기 회전자 Connector의 피로수명 개선 연구

        채승훈(Seunghoon Chae),이석윤(Seokyun Lee),김희엽(Heuiyoub Kim),노영길(Youngkil Noh),최준혁(Joonhyuk Choi) 대한전기학회 201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1

        국내에 설치 운용중인 대부분의 양수 발전기는 해외 제작사가 설계/제작/설치 또는 국내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설계는 해외사가, 제작/설치는 국내기업이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통상적으로 상업운전 후 약 2~3년이 지나면 기자재 공급업체와 Warranty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이 된다. 특히, 5~10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기자재의 각종 부품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적절한 유지보수 및 최신 기술이 적용된 설계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설계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특정 부품의 개선 및 변경을 할 경우, 예상치 못한 고장 및 사고발생의 위험으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외 제작사에 추가적인 유지보수를 요청할 경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나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양수 발전기의 원천 설계기술 확보가 필요하여, 국내기업이 제작/설치한 양수 발전기를 대상으로 FEM해석, Mock-up 제작, 1:1 Scale 시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Reverse Engineering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설계정보를 확보 하였다. 확보된 설계정보는 양수발전기의 고장발생시 원인파악 및 설계개선의 근거로 활용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Reverse Engineering 을 통한 설계정보를 활용하여 양수 발전기 회전자의 Pole to Pole Connector의 파손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설계개선 사례를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