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학교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차향미,이우호,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실태를 파악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지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실태와 관련하여 광역시 이상에 거주하는 중학생이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교우관계 등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요구와 관련하여 수업참여에 도움을 주는 교육지원으로 친한 친구의 옆에 앉는 것을 선호하였고 시각장애학교로의 교육환경 전환에 대한 요구는 매우 낮았다. 따라서 저시력학생이 통합교육환경 속에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존감과 사회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활동이 요구되며, 심리적 지원으로서 지속적인 상담활동과 함께 정안또래에게 저시력을 이해할 수 있는 체험활동 등을 실시하여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ith low vision in their perception of educational support and needed requests for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s in gener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both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teachers from general school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draw needed results for the study.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state of educational supports, secondary students with low vision living in metropolitan school districts had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peers. Second, concerning the state of educational requests, students with low vision the students generally preferred to have their close friend sit next to them in classroom as a way of educational supports and just small number of them wanted to be transferred to a special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Thus, those students have to be provided with certain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raise thei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so that they can build desirable relationship with other students in inclusive schools. Moreover, for successful interaction with others, continuous counseling should be offered to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as a psychological support while the other students go through programs that help them better understand low vision.

      • KCI등재

        확대교과서의 사용 실태와 요구 분석

        차향미,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저시력학생들이 사용하는 확대 교과서의 사용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의 저시력학생 180명과 시각장애학교의 교사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대 교과서의 실태와 관련하여 현재 보급된 확대 교과서는 매시간 활용되고 있지 않았으며, 교과서 중 ‘국어’가 가장 활용도가 높았다. 또한 확대 교과서는 ‘책의 크기가 큰 것’이 가장 불편하였고 저시력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나안으로 보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둘째, 확대 교과서 제작에 대한 요구와 관련하여 초등학생은 글자크기가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문식성이 높은 중등학생 또한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은 24포인트였으나, 그 외 22, 18, 15포인트 간의 선호도에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글자체에 대한 선호도는 ‘견고딕체’가 가장 높았으나, 읽기검사에서 근거리시력 0.1 이상 0.3 미만 학생집단의 오독률은 ‘맑은 고딕체’가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surveyed to analyze the usage and requirements for large print textbooks used by students with low vision, targeting 180 students with low vision attending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general schools, and 149 teachers working at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relating to the usage for large print textbooks, currently-spread large print textbooks are not used every period, and 'Korean' among them was utilized most. Also in the size of the large print textbooks, the bigger the size was, the more uncomfortable students felt, and the rate of students reading large print textbooks with naked eyes, without using low vision aids, was the highest. Secondly, concerning the requirements on the manufacture of large print textbooks, the bigger the font size was, the more prefer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condary students with high literacy preferred 24 font size most, but in the preference for 22, 18 and 15 font size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the letter types, 'Gothic-Extra typ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but 'Malgun Gothic type' indicated the lowest misreading rate of students' group with the near vision(more than 0.1 to less than 0.3) in the reading test.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저시력중학생의 문해매체 실태 분석

        차향미,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1

        This study was done to see the present condition of literacy media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ow vision are using and that of literacy media relating to eye diseases, reading distance and reading time and then, to find out whether the literacy media presently used need to be transform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Firstly, 86.3% of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used regular print as their literacy media, and so did 68.2% of the students(visual acuity : less than 0.04) and 89.5% of the students with onset eye diseases. Secondly, in reading distance for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10cm close to the eyes’ showed 51.7% and ‘10~20cm close to the eyes’, 32.8%. Also, in the survey of reading time, 44.8% of the students suggested less than half an hour of the reading time, therefore revealing it is likely to have a serious impact on their learning achievement. Thirdly,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onset eye diseases whose literacy means is regular print, their literacy media must be changed into braille. 32.8% of all students held onset eye diseases, 36.8% of whom didn’t know braille. Only 15.8% of the students knew the braille for instrumental subjects(Korean, English, mathematics and science)and, assuming their eye diseases are ongoing, about 85% of the students are far less likely to continue their present learning. Among the 21 students who don’t know braille, those wishing to learn braille were 9, 55.6% of whom regarded ‘the tiredness of their eyes’ as the highest necessity to learn it. 본 연구는 저시력중학생이 사용하고 있는 문해매체의 실태, 또 안질환, 책읽기거리, 책읽기시간과 관련한 문해매체의 실태를 파악하여 매체 전환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시력학생 중 86.3%가 묵자를 문해매체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0.04 미만의 학생 중 68.2%, 진행성 안질환을 가진 학생의 89.5%가 묵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시력학생들의 책읽기거리는 ‘10cm 이내’가 51.7%이며, 10~20cm의 거리는 32.8%로 나타났다. 또한 책읽기시간을 조사한 결과는 44.8%가 30분 이내로 응답함으로써, 학업성취수준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학생이 지닌 안질환이 진행성이면서 묵자가 문해매체일 때에는 반드시 점자로의 매체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전체의 32.8%가 진행성이며, 진행성 중에서 36.8%가 점자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교과학습에 필요한 한글, 영어, 수학, 과학점자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는 15.8%에 불과했으며, 안질환이 진행될 경우 저시력학생의 약 85%는 현행 학습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점자를 모르는 21명의 학생 중 점자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은 9명이었으며, 배울 필요성으로는 ‘눈이 피로하므로’가 5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학교 교사의 저시력학생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차향미 ( Hyang Mee Cha ),이해균 ( Hae Gyun L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This study was done, targeted at teachers in general school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support offered to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look at what educa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teachers and students with low vis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sive education.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turns out that special teachers(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charge of resource room had the most understanding of low vision and supported the most revision of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pairment. Secondly, special teachers with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low vision looked upon friendship as the greatest difficulty students with low vision had in their school lives and both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ho took training session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offer of suitabl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s needed educational support preferred to students with low vision. Thirdly, to teach students with low vision, educational support needed most to teachers themselves is career guidance and psychology consultation, followed by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methods applicable to ophthalmopathy and visual function, knowledge on computer programs concerned with visual impairment, information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how to use it, consultation with education specialist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how to revise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to teach Braille.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한글맞춤법 사용 비교 연구

        이해균,차향미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한글맞춤법에 관한 사용 실태를 조사 비교하여, 시각장애학생의 한글맞춤법 지도의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학부 3학년 시각장애학생 22명과 정안학생 44명을 대상으로 맞춤법의 사용 실태를 유형별로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맞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은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 간에 차이가 없다. 둘째, 한글맞춤법 중 '형태에 관한 것'은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상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이오'와 '-이요'의 구별 중 '과일을 드시오', 모음조화 규정 중 '아름다워', '가까워', 사이시옷 규정 중 '전세방', '초점', 준 'ㅎ' 규정 중 '흔타'에서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율이 높은 반면, 준 'ㅎ' 규정 중 '경악게'에서는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율이 낮다. 셋째, 한글맞춤법 중 '그 밖의 것'은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 간에 차이가 없다. 그러나, 부사형 끝음절 ‘이/히’의 구별 중 '가까이', 어미 규정 중 '내가 할까'에서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making it possible to use guidelines of the basic data to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having any difference, after searching fo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rrors in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Systems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sighte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44 sighted students who got the K-WISC linguistic test of 90-120, and they have to choose right checking at question paper which is composed of 60 w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sighted students, in the errors of 'regarding to the sounds', one of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Systems. Second, in the errors of 'regarding the morphophonemics', one of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Systems, the percentage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the sighted students, a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statistics. Especially, the percentage of error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ghted students in one of the distinction of '-이오(io)' and'-이요(iyo)', '과일을 드시오(gwa-il-eul deu-si-o)' and one of the rules of vowel harmony, '아름다워(a-reum-da-wo)', '가까워(ga-kka-wo)' and one of the rules of situation of a consonant(ㅅ:sai-siot) of placed under a vowel, '전세방(jeun-se-bang)', '초점(cho-tjeom)' and the shortened 'ㅎ' rules, '흔타(heun-ta)'. However, the percentage of error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sighted students in one of the shortened 'ㅎ' rules, '경악게(kyeong-ak-ge)'.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sighted students, in the errors of 'regarding to the others', one of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Systems. But the percentage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ghted students in the distinction of '이/히(i/hi)' of ending syllable of an adverb, '가까이(ga-kka-i)' and one of the rules of ending of a word, '내가 할까?(nae-ga hal-kka?)'.

      • KCI등재

        시각장애 중학생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 간의 관계 분석

        신연서,차향미,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1 시각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음악에 대한 태도와 시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각장애 중학생 74명이며, 학년, 성별, 시력정도, 발생시기에 따라 음악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을 알아보고 음악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음악에 대한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으나 다른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점은 없었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으나 다른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점은 없었다. 셋째, 시각장애학생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간의 관계는 서로 상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시각장애학생의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밝혔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attitudes towards music have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with the visually impaired. 74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ere surveyed, by grade, gender, degree of visual acuity and onset time of visual impairment, to find out attitudes towards music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attitudes towards music have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with the visually impair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ttitude towards music than males did, but reveale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other factors. Secondly, female students indicat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males did, but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other factors. Thirdly, attitudes towards music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ad an influ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in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visually impaired was emphasized and the role of music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was presented, and limitations for this study was described.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표준어 사용 비교 연구

        이해균,차향미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4 시각장애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표준어 사용에 관한 실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학생의 올바른 표준어 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맹학교의 중학부 3학년 시각장애학생 22명과 일반학교 남녀공학중학교 3학년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표준어 사용 실태를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과 정안학생의 국어 ‘표준어’사용에 대해서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률이 더 높다. 둘째,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에서 ‘ㅣ’ 모음 역행동화 중 ‘서울내기’는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률이 더 높다. 그러나 ‘윗-, 웃-, 위-’의 구별 중 ‘위층’은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률이 더 낮다. 셋째,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에서 단수 표준어 중에서는 ‘담배꽁초’가, 복수 표준어 규정의 ‘언덕배기’가 시각장애학생이 정안학생보다 오류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