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레저선박 대시보드 개발을 위한 STL 파일 품질 수정 방안 연구

        차태인,이필립,정재훈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8

        레저선박은 주문에 의해 생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표준 제품이 아닌 부품을 이용하는 경우 부품의 경제적인 수급이 매우 어려워진다. 그런 면에서 근래 높은 수준의 강도를 제공하는 Rapid Protoryping기술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STL 파일인 정밀 문제로 원하는 품질의 부품을 만들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이런 국부적인 정밀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했다.

      • KCI등재

        탈단극적 계기로의 진입? 포스트-우크라이나 전쟁 시대 세계질서의 대전환 읽기

        차태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3 국제지역연구 Vol.32 No.1

        This research explains the failing process of the liberal hegemonic project by analyzing the wars in Afghanistan and Ukraine in order to delineate a nascent world order in the 2020s and beyond. Initially, a phenomenon of “fuzzy bifurcation” is explicated as a main tendency in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which the world is being split into two opposing sides, the liberal West versus the illiberal non-West,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middle states adopt a hedging strategy in-between. Next, from a more fundamental perspective of an organizing principle, we are witnessing an emergence of a “multi-order world” where competing “civilization-states” attempt to construct their own exclusive spheres of interests, against the reigning liberal world order. In conclusion, how such Zeitwende will trigger a paradigm shift in South Korea’s grand strategy will be discussed. 본 연구는 2020년대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자유패권 프로젝트의 파산과 정과 그 원인을 아프가니스탄과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사례를 통해 살펴본 후, 향후 어떤 세계질서가 출현할지를 시론적으로 예측해 보고자 한다. 먼저 통상적인 국가 간 관계의 재 정렬이라는 측면에서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유주의적 서구와 반자유주의적 비 서구 간의 이분법적 진영대결 형성이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사실은 그 사이에서 헤징 전략 을 구사하는 다수 국가들이 존재하는 “불명확한 분기”가 현 세계의 주된 경향성으로 부각됨 을 주장할 것이다. 다음으로 보다 근원적인 조직원리의 시각에서 보면, 보편주의적 자유세 계질서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비자유주의적, 특수주의적 “문명국가들”이 지역별로 구축하는 복수의 위계적 국제질서가 무정부적 세계체제 속에서 상호경쟁하는 “다질서 세계”의 등장 가능성을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거대 규모의 “시대전환”이 대한 민국의 대전략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담론분석이란 무엇인가?: 국제정치학의 경우

        차태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지역연구 Vol.29 No.1

        This research discusses contemporary engagement with the theory and analysis of discourse in International Relations(IR). It asks what discourse analysis is and explores its potential contributions to IR in South Korea. The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it introduces a Foucauldian approach to discourse after the linguistic/ cultural/interpretative turns and identifies the relevant debates that have characterized the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Second, it identifies two distinct types of discourse analysis in IR around which most contributions in this field after the so- called “Third Debate” converge: micro-interactional approaches and macro- structural approaches. Finally, it presents some theore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our IR research with Korean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grand strategy. 국제관계연구는 그동안 주류 접근법들이 부당전제 해온 홉스적 자연상태론과 물리적 힘의 합리 적 계산에만 기초한 가정들을 벗어나, 담론분석을 통해 각 행위자들이 어떠한 상징세계 속에서 상 대방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문화접촉과 변용의 세계사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나 아가 착취와 지배의 집단간 관계를 벗어나 보다 다원적이고 평화적인 타자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추구하는 윤리적 문제도 제기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국제정치 학에서의 담론분석이란 무엇인지, 그것이 우리의 학문에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지 등을 질문하였다. 이에 본론에서는 언어적/문화적/해석적 전환 이후 담론연구의 내용을 특히 푸코주의적 관점에서 소개하면서, 담론분석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을 다뤄 보았다. 다음으로 냉전 종식을 전후해 등장 한 소위 “제3논쟁”을 배경으로 본격적으로 부상한 국제정치학 내에서 담론연구의 현황을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담론분석이 우리의 국제정치연구 에 주는 의미를 이론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으로 나눠 고찰하였다.

      • KCI등재

        아메리카 합중국과 동아시아 지역 아키텍처의 변환: 네트워크 국가론의 시각

        차태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2

        본 연구는 아메리카 합중국의 독특한 네트워킹적 정치실험 혹은 조직원리 변환 프로젝트에 대해 주목한다. 원래네트워크 국가, 네트워크 파워 등의 용어는 21세기 지구화의 시공간적 맥락에서 근대국가와 근대국제질서의 탈근대적 변환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들이다. 반면, 본 논문에서는 ① 위계적 근대국가모델의 대안으로서 아메리카합중국의 복합공화국 모델을 설명하고, ② 미국의 주류외교전통인 자유 국제주의와 그것의 구현태인 전지구적 동맹체제를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③ 조직원리 권력 또는 설계권력을 발휘해온 패권국가 미국이 어떻게 베스트팔렌 문제틀(Westphalian problématique) 자체에 변환을 획책해왔는지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미국의 네트워킹 전략의 구체적 사례로서 동아시아 동맹시스템의 역사적 변환과정을 양극 시대, 단극 시대, 탈단극 시대 등으로 시기 구분하여 탐구하고, 이것이 한국의 외교정책에 지니는 함의를 다룰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nited States’ unique political experiment of networking or project of organizing principle transformation. New academic terms, such as a network state and network power, were originally coined to explain the postmodernization of the modern state and the modern interstate order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globalization. In contrast, this research aims to ① explain a compound republic model of the US as an alternative to a hierarchical modern state, ② reinterpret America’s liberal internationalist tradition and its embodiment, i.e., a global alliance system, from a network perspective, and ③ analyze how the US has sought to revise the Westphalian problématique by exercising the power of organizing principle or programming. In addition, I will explore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East Asian alliance system as a specific example of America’s networking strategy and discuss its implication for South Korean foreign policy.

      • KCI등재

        중국 근대사상의 전환논리 : 자연법과 변법 A Law of Nature and A Changing of the Laws 康有爲 사상을 중심으로

        車泰恨 中國語文硏究會 2003 中國語文論叢 Vol.25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China modern thought, especially Kang You Wei's Thought. Generally The change that is from a law of nature to an artificial law is regard as a characteristic of modern thought. The value and organization is said to be on the basis of a law of nature in the traditional thought of china, preticular, zhuzi school. In the end of 19th century, Kang You Wei didn't admit a law of nature, and insisted that the current value and regulation be consist of artificial laws. Furthermore, All values is under the influence of topography and the state of affairs. He transformed a sage' image as a moralist into a reformer. He thought that "saint-hood" was decided by His ability of knowledge not by His moral cleanness.

      • KCI등재

        분열된 영혼? 포스트-트럼프 시대 미국 정체성 서사 경쟁

        차태서(Taesuh Cha) 한국아메리카학회 2022 美國學論集 Vol.54 No.1

        미국은 내러티브의 구성물로서의 네이션, 복수의 민족 전기 서사들 간의 경쟁과 협상의 장소로서의 네이션이라는 개념적 정의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더 잘 들어맞는, 매우 특출나게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네이션에 대한 원초주의적 입장이 주목하는 혈연이나 지연 등에 기반한 민족의 물질적 질료가 거의 완벽히 부재한 이민자의 나라로서, 미국은 “원칙상” 독립선언서와 연방헌법에 표현된 보편주의적 교리에 동의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정치체이기에, “우리 인민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때때로 매우 불온하고 정치적인 함의를 띨 수 있다. 어떤 전기적 서사에 의해 국가의 경계를 구축하고 그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할 것인지가 치열한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실제 200여 년 넘게 이어진 미국사의 파노라마에서 국가의 자아상을 둘러싼 담론투쟁은 미국정치의 핵심적 주제를 이루었다. 이런 맥락에서 민족 정체성의 정치란 틀로 오늘날 미국의 정치를 분석하는 것은 현재 미국내부갈등의 본질을 파악하려는 노력이자, 미국 민주주의 위기의 근본적 원인을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미국의 자아정체성을 놓고 경쟁해온 두 개의 주요서사—자유 보편주의적 시민 민족주의 vs. 반자유 특수주의적 종족 민족주의—에 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트럼프 시대를 미국 정치사상사의 긴 맥락에 위치지울 것이다. 다음으로 코로나 팬데믹이 창궐한 사회적 혼란 속에서 본격적으로 미국의 영혼을 둘러싼 전투가 벌어진 2019-21년의 기간의 몇몇 전장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바이든 당선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민주주의의 위기상을 탐구한 후, 어떻게 새로운 공동의 네이션 서사를 개발하고 정치혁신을 달성함으로써 향후 미국이 국가 정체성의 혼란을 극복할 수 있을지를 모색할 것이다. The United States is a quintessential case, demonstrating that a nation is a narrative product, a place of competition and negotiation among multiple national biographic stories. As an immigrant nation lacking primordialist elements, including blood and land, anyone who reveres universalist creeds enshrin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Federal Constitution can be American, which often makes the question, who are “we the people,” truly subversive and highly-charged. In fact, how to construct national boundaries and to define national identity has been a central topic in the history of US politic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nitially seeks to situate the Trump era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US political thought by analyzing the two competing narratives, liberal and illiberal, on American self. Next, several cases in the period of 2019-21 are explored to understand how the battle for the soul of America was unfolded during the pandemic turbulence. Lastly, after describing the persistent crisis of US democracy in the Biden years, we search for ways to overcome the current identity crisis by developing a new common national narrative and achieving political revolution.

      • KCI등재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불화: 한국에서 포퓰리즘적 계기의 출현

        차태서(Taesuh Cha) 한국정치정보학회 2021 정치정보연구 Vol.24 No.3

        후쿠야마식의 승리주의와 민주주의 공고화론이 유행했던 장밋빛의 탈냉전시대비전과 달리 오늘날 우리는 서구 선진지역에서조차 민주주의 탈공고화와 역진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이런 역사적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입헌적 자유주의와 다수제 민주주의 사이에 내재한 오랜 딜레마에 관해 탐구한 후, 문재인 행정부 시기 한국에서 등장한 포퓰리즘적 계기 혹은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모습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In contrast to the rosy vision of Fukuyama-style triumphalism and the democratic wave in the post-Cold War times, we are witnessing a series of deconsolidation and backsliding phenomena even in advanced Western countries today.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research not only explores the ancient dilemma between constitutional liberalism and majoritarian democracy but also interrogates the emerging populist moment or illiberal democracy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행성 정치학의 모색 : 코로나 19/기후변화 비상사태와 인류세의 정치

        차태서(Cha Taesuh)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4

        코로나19 펜데믹에 직면하여 주류 국제정치학계는 현 비상사태가 미중경쟁이나 자유세계질서 향방 등에 어떤 효과를 낳을 것인지에 논쟁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부상하고 있는 “인류세”와 “포스트휴먼”의 문제설정을 숙고하였을 때, 이런 분과학문적 틀에 국한된 기성학계의 질문이 과연 충분히 성찰적이고 근본적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세계에서 무엇이 가장 “정치적”인 갈등과 협상의 대상인가? 전통적인 의미에서 민족국가 같은 거대집단 간의 정치문제를 다룰 뿐 아니라, 인간과 생명권 간의 신진대사 과정을 “지구행성”이라는 맥락에서 사고할 수 있는 정치학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것은 아닐까?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 패러다임에 고착된 국제정치학의 구속복을 초월해, 인류종 전체와 그들이 거주하는 지구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고민하는 “행성 정치학” 문제틀 창안의 필요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류세 담론과 그것이 21세기 인문사회과학 전반에 미친 영향을 인식론, 존재론, 규범론 등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인류세의 위기를 겪으며 한계에 부딪히게 된 기성 국제정치학의 문제점들을 분석한 후, 행성적 실재라는 조건과 조우한 정치학이 어떻게 새로운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을지를 안보, 거버넌스, 불평등 등의 영역을 중심으로 탐구해 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포스트휴먼 시대 정치학의 실천론으로서 인류세 위기를 극복하는 새로운 행성문명의 건설이라는 윤리적 화두를 제기하였다. Confronting the COVID-19 pandemic, mainstream International Relations(IR) has focused on how this state of exception will shape the Sino-US hegemonic rivalry and the future trajectory of the liberal world order. Yet, considering the emerging issues of the anthropocene and posthuman, we wonder if such narrow questions in the dominant discourse of IR are sufficiently reflexive and radical. What are the most “political” subjects of contestation and negotiation in the present world? Isn’t a paradigm shift in political science needed to examine the metabolism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in the context of the planetary, as well as to analyze inter-polity relations in a traditional sense?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interrogate the possibility of inventing “planet politics” that pursues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bound and the earth, beyond the straight jacket of modern 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