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C-pile 공사비가 공동주택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

        차용운,박태일,박원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sale price by excluding the PHC-pile cost from the construction costs for basic type (CCsBT) as an additional cos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xcluded the PHC-pile cost in the CCsBT and new method so that only the designed pile quantity was recognized as an additional cost. The effect on the sale pric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ile cost of the existing and new methods. For this purpose, seven cases were selected, and the PHC-pile cost was estimated. The existing method was estimated as the ratio of the pile cost to CCsBT. The new method was estimated based on the bill of quantity. As a result, the CCsBT decreased by approximately 2-3% when the PHC-pile cost was calculated in the new method.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ale price, excluding the PHC-pile cost with the sale price, the CCsBT decreased by approximately 1%.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CsBT. Also,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moting national housing stability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본 연구는 기본형건축비 내 PHC-pile 공사비를 가산비로 제외함에 따라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년 3월 이전 기본형건축비에는 15m PHC-pile 공사비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분양가 심사에서 설계된 pile 물량을 고려하여 공사비를 조정해야 하지만, 이를 조정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국토부에서는 `20년 3월 고시에서, PHC-pile 공사비를 기본형건축비에서 제외하고, 설계된 pile만을 가산비로 인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방식과 개선된 방식의 pile 공사비를 추정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수도권에 분양된 7개 사례를 선정하여 PHC-pile 공사비를 추정하였다. 기존방식은 기본형건축비에서 pile 공사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추정하였고, 개선된 방식은 설계내역서의 물량을 기반으로 예정가격산정기준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방식으로 pile 공사비를 산출할 경우 기본형건축비가 약 2~3% 하락하였다. 또한 PHC-pile 공사비를 제외한 분양가격과 수도권 분양가격을 비교한 결과 수도권 대비 약 1%정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본형건축비 산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제도적인 개선을 통하여 국민 주거안정 도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분양가상한제 적용 공동주택의 기본형건축비와 실제 건축공사비 비교

        차용운(Yongwoon Cha),박태일(Taeil Park),박원영(Wonyou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최근 분양 공동주택의 고분양가 및 로또 청약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언론에서 분양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인 기본형건축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2007년 9월 처음 기본형건축비가 도입된 이후 15년간 기본형건축비와 실 건축비를 비교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기본형건축비와 언론에서 제시한 5개 실제 공공건설 공동주택 사업의 실 건축공사비를 비교하여, 기본형건축비가 실제 사업특성을 반영한 수준인지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주택규모인 21층, 60~85㎡ 면적을 기준으로, 기본형건축비와 실 건축공사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토부 고시 기본형건축비는 708만원/3.3㎡, 언론에서 제시한 5개 사례의 실제 건축비는 670만원/3.3㎡으로 나타났으며, 건축비의 차이는 실제 건축공사비가 기본형건축비 대비 38만원/3.3㎡ 낮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약 5.54% (38만원/3.3㎡)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학술적으로 오차범위 내에서 기본형건축비가 매우 정확하게 예측됐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양가상한제의 도입 취지에 맞도록 양질의 주택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함으로써, 국민 주거안정 및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s for Basic Type (CCBT) and the Actual Construction Costs (ACC), in order to examine the adequacy of CCBT to reflect the actual multi-housing project characteristics. Since the first CCBT in 2007,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the CCBT with the ACC. Thu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C of five projects provided by the media and the current CCBT. The result showed that for the 21st floor with 60-85㎡ area, the CCBT was 7.08 million won/3.3㎡, and the ACC in five cases was 6.7 million won/3.3㎡. The difference in construction costs was found to be lower in ACC than in CCBT by 380,000won/3.3㎡. Consequently, about 5.54% (380,000won/㎡) error occurred,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CCBT was estimated quite accurately within the academic error range. H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national housing stability and improve housing quality by supplying high-quality multi-housing at a reasonable price.

      • 건설공사 사후평가 파급효과 지표 개선방안

        차용운 ( Cha Yongwoon ),정서영 ( Jung Seo-yo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The ripple effect is analyzed in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phase, but only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simple numerical fluctuations are analyzed, thus, no reliable ripple-effec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expert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ripple effect metrics. Consequently, by linking with the policy-effect metrics of the pre-feasibility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will be improved and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will be possible.

      • 노후인프라 자산관리를 위한 효용이론 적용 방안

        차용운 ( Cha Yongwoon ),박원영 ( Park Wonyoung ),박태일 ( Park Taeil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As the number of deteriorated infrastructures increases, research on decision-making methods for efficient budget allocation is required. Thus,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lication of utility theory for asset management of deteriorated infrastructure. In decision-making, methods that enable quantitative measurement were proposed, attributing the aging, economic feasibility, and ripple eff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f decision-making methods, and we will conduct research applied to case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비교사례 연구를 통한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분류체계 도출

        김두연,차용운,박원영,박태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is study proposed a breakdown struc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technologies unde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asset management at the life cycle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benchmarking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For this purpose, a comparative case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and analyze the existing definitions and hierarchies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repair, and rehabilitation (MR&R) systems under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maintenance costs to GDP, the U.S., U.K, and Japan were selected to review their systems. The classifications and definitions of MR&R technologies under the law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developed countries differentiate maintenance and repair from improvement and constitute a system centered on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orea's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is not definitely classified and still focused on reactive structures, which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as proposed, a breakdown structure established the concept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intenance & Repair, and Performance Improvement. Consequent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R&R activities and reasonable resource allocations from an asset management point of view.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국의 유지관리 체계를 벤치마킹하여 시설물의 생애주기 차원에서 종합적 자산 관리 개념을 고려한 유지관리 기술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교사례 연구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국내·외 유지관리 제도, 정의, 기술 분류체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사례 분석을 위하여 유지관리 비용 집행 비율이 높은 미국, 영국, 일본을 대상 국가로 선정하였고, 해당 국가들의 유지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유지관리 관련 법에 내포되어있는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의 분류 및 정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외 선진국들은 유지관리 기술의 효과에 따라 유지보수와 개선을 명확하게 분류하고, 예방적 유지관리 활동 중심의 체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시설물 유지관리 기술은 그 분류 및 정의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아직도 사후 대응적 구조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분류체계는 유지관리, 유지보수, 성능개선의 개념을 정립하고, 예방적 유지보수와 대응적 유지보수를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기술 분류체계는 자산관리 관점에서 선제적 유지관리 활동과 합리적인 유지관리 예산 분배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의 품질결함의 발생요인간 상관분석

        지성준,차용운,한상원,Chi, Sungjoon,Cha, Yongwoon,Han, Sangw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2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연 등 건설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설품질결함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간 결함을 유발시키는 원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원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30개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1,241건의 부적합 사례 중 831건의 건축공종 부적합 사례를 토대로 건설품질결함의 발생요인을 발생단계, 발생현상, 기인원인, 처리방안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관분석을 통해 부적합은 주로 조달 및 시공단계에서 기능결함 및 시공결함의 형태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작업자의 실수, 조악한 품질의 자재사용, 그리고 잘못된 시공방법에 의해 발생되는 품질결함은 주로 특채, 수리, 재작업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공사비 증가 및 공기 지연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향후 품질결함의 발생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품질결함 방지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정량적 지표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Construction defects are major components that result in cost overruns and schedule delays in construction projects.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defects. However, little effort has been devoted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various reasons of construction defects while a defect is not usually an outcome of a single cause, but rather occurs when several interrelated causes combin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analyzes 831 nonconformity reports collected from 30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from 2011 to 2014.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construction defects occurred in the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phase and as the pattern of function defect and installation defect. Triggered by human error, defective material and faulty method, these defects are treated by conccession, repair, rework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cost and schedule performanc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correlation among various reasons of construction defects and quantitative measures for establishing effective defect prevention strategies.

      • KCI등재

        공공건설공사의 공기연장에 따른 추가간접비 산출을 위한 요율방식 제안

        이승준,차용운,한상원,현창택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3

        In domestic public construction, disputes are increasing due to differences among stakeholders regarding contract price adjustment. In particular, the actual cost-plus fee for overhead costs due to the schedule extension cannot be agreed upon at the administrative phase, and most of them seek judicial judg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ufficiently satisfactory' alternative to reach an agreement before disputes in order to minimize dispute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additional overhead costs.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hree alternatives based on the rate method. Firstly, when calculating additional overhead costs, it is not calculated as an actual cost-plus-fee method, but as a rate compared to direct labor costs among net direct costs. Secondly, the calculated indirect labor costs are compensated for up to the legal maximum of legal limit costs such as general management costs, profits and so on. Thirdly, it reflects overhead costs increased or decreased due to change orders. Risk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on the proposed methods and applying actual cases. Final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evel of consensus for each stakeholder, it was confirmed that all stakeholders could agre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s a useful tool among stakeholders in the construction fields that can be able to easily agreed upon.

      • KCI등재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불감증의 특성분석

        김세엽,차수현,차용운,한상원,Kim, Seyeob,Cha, Suhyeon,Cha, Yongwoon,Han, Sangw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2

        건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산업에는 많은 안전사고 발생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원인을 몰라서가 아니라, 사고의 원인과 대책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안전불감증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가 느끼는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하는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기술적, 작업관리적의 5가지 종류의 원인들을 도출하였다. 103명의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경제적인 원인은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의 정도에 상관없이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40대와 50대의 안전불감증이 20대나 60대 이상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령 및 근무경력에 따른 특성은 향후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direct causes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but many accidents are still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ain reason for the construction accident is not because of ignorance of the causes, but because of safety insensitivity. This paper analyzes why construction workers feel safety insensitivity and how safety insensitivity varies depending on their age and work experience. A survey of 103 construction workers confirmed that systematic safety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inimizing safety insensitivity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e other hand, economic reasons such as cost reduction were identified as the most tempting factor to increase safety insensitivity.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ose in their 40s and 50s, the largest proportion of construction worker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afety insensitivity than those in their 20s and 60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source that can be used to prevent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 KCI등재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사업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박현,박인석,차용운,Park, Hyeon,Park, In-Seok,Cha, Yongw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6

        본 논문은 S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 건설 엔지지어링 고급인력 양성 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해외건설시장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사업타당성 분석 등과 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의 기획단계에서의 역량강화가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공 및 엔지니어링사들의 고부가가치분야의 역량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해외 건설시장에 필요한 역량인 기획, 관리, 금융, 설계 등 고부가가치분야 역량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에 2014년 특성화 대학원 2곳(S대학교, C대학교)을 선정하여 인력양성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위 사업의 목적인 해외건설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질적으로 우수한 고부가가치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분석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 Satisfaction Analysis, ISA)을 통하여 인력양성 프로그램 대상자들의 소요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도출된 개선안을 통해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give suggestions based on survey to improve the quality of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in line with the government goals.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has kept shrinking, whereas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is forecasted to keep expanding in the future. It has become an urgent task to be taken up for construction contractors and engineering firms so as to improve their capacity,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planning, management, finance as well as engineering. To deal with the lack of capacity of the domestic engineers and to help them emerge as global players in the competitiv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ed a program called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The eligible target of the training program is mid-career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for the construction contractors or engineering firms. To draw suggestions for this program,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implemented by the S University. The S University, along with C University, was selected as an implementation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2014 by the government. Through an email survey,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program were asked question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gainst 17 indicators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instruction method, professional knowledge of instructors, contents of program, curriculum, and facility and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quality of the program,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ant the program opens more coursework on practical application of knowledge, case studies, and global networking.

      • KCI우수등재

        BMS 데이터를 활용한 콘크리트 교량의 결함-공법-비용 매핑 알고리즘 개발

        이창준,박원영,차용운,장영훈,박태일 대한토목학회 202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3 No.2

        As aged infrastructures have been increased, the importance of accurate maintenance costs and proper budget allocation for infrastructure become prominent under limited resources. This study proposed a mapping algorithm between representative defects, repair methods, and the estimated maintenance costs for concrete bridges. In this regard, using BMS (Bridge Management System) data analysis, bridge repair methods were classified and matched with defects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types, and sizes. In addition, the maintenance cost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amount of work-load and quantity per unit using CSPR (Cost Standard Production Rate). As a result, the level of accuracy was an average of 85.1 % compared with the actual bill of quantity for Seoul bridge maintenance. The accuracy of maintenance costs is expected to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site conditions such as pier height, extra charge conditions, additional equipment, etc. 최근 30년 이상 노후화된 국내 인프라의 증가로 한정된 예산 내에서 인프라 유지관리를 위한 정확한 유지관리 비용산출과 그에 따른 적절한 예산분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교량의 대표적인 결함과 이에 대한 보수보강 공법들을 매칭하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였다. 표준품셈과 BMS (Bridge Management System)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량의 보수보강 공법을 분류하였으며, 결함의 위치와 종류, 크기에 따라 결함-공법을 매칭하였다. 그리고 표준품셈을 기준으로 단위당 작업량과 물량을 계산하여 노무비, 경비, 재료비를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서울시 교량 유지보수 내역서와 비교를 통해 평균 예측 정확도가 85.1 %가 나왔으며, 결함의 간단한 조건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파악할 수 있다. 향후 현장 조건을 고려한 장비 및 야간작업 여부를 추가하여 더 높은 유지보수 비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