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감정의 위상: 아리스토텔레스 ‘파토스’(pathos) 개념의 애매성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4

        The two different directions of emotional education that can be found in moral education today, that is, education for ‘control of emotions’ and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moral emotions’, represent conflicting positions occupied by emotions in moral education. The origin of this problem goes back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pathos’(emotion) in Aristotle’s philosophy. Aristotle’s ethics exemplifies a classical viewpoint on emotion in that it defines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s ‘Mean’ or moderation of emotions by practical knowledge(phronesis) based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reason and emotion’. On the other hand, Nussbaum’s cognitivist approach seeks to establish the cognitive nature of emotion through focusing on descriptions about various emotions in Aristotle’s Rhetoric. Nussbaum’s position, which puts emphasis on education for moral emotions such as compassion, can be interpreted as an alternative view that acknowledges the ‘independent status of emotion’ and its autonomy in relation to reason. Even after referring to the discussion of sensation-perception and emotion belonging to animal soul in Aristotle’s De Anima, the consistency issue between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on the status of emotion in Aristotle’s thoughts is not sufficiently resolved. In the practical context of moral education, if ‘moderation of emotions’ and ‘cultivation of emotions’ are compatible without contradiction, it needs to provide a coherent theoretical explanation of how that is possible. 오늘날 도덕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감정교육의 두 방향, 즉 ‘감정의 절제’를 위한 교육과 ‘도덕적 감정의 함양’을 위한 교육은 도덕교육에서 감정이 차지하는 상반된 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문제의 연원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감정’을 지칭하는 ‘파토스’(pathos) 개념의 애매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감정과 이성의 위계 구조’에 입각하여 도덕교육의 목표를 실천지에 의한 감정의 중용적 절제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감정에 관한 고전적 관점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누스바움으로 대표되는 인지주의적 접근은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서의 감정 개념에 관한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감정의 인지적 성격과 ‘감정의 독자적 지위’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민 등의 도덕적 감정 그 자체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에 강조점을 두는 누스바움의 입장은 이성과의 관계에서 감정의 독자적 지위와 특유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대안적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에서 감정의 성격을 규정하는 ‘감각-지각’ 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더라도, 감정의 위상에 관한 이 두 관점의 양립 가능성 문제는 충분히 해소되지 않는다. 도덕교육의 실천적 맥락에서 ‘감정의 절제’와 ‘감정의 함양’이 모순 없이 양립 가능하다면, 그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의 중층구조(重層構造) :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차미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3

        철학적 경험과 실제적 경험의 대비로 요약될 수 있는 오우크쇼트의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주장, 그리고 기법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대비에 근거를 둔 그의 정치철학적 주장은 각각 지식의 성격과 지식의 획득이라는 상이한 문제에 대한 대답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오우크쇼트의 형이상학과 정치철학은 세계 또는 마음의 중층구조, 즉 우리가 일상적으로 속하는 사실의 세계, 한 개인이 실지로 소유하고 있는 경험적 마음의 이면에 또는 그 '위'에 그것의 기준과 원천인 구체적 총체로서의 세계 또는 마음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인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경험과 지식의 논리적 근거로서의 '實在'와 마음과 활동의 묵시적 기반으로서의 '實際'에 관한 오우크쇼트의 설명은 바로 그와 같은 중층구조의 아이디어에 입각한 것이며, 그 양자는 결국 지식의 중층구조를 무시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 또는 고정된 시점과 시간 계열이라는 상이한 측면에서 드러내어 준다. 오우크쇼트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에서 가르치는 '이론적 지식'은 실재의 추구와 관련하여 특별한 의의를 가지며,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실제적 지식'이 가지는 의의는 오로지 지식의 획득이라는 관점에서 규정되어야 한다. 이 점을 분명히 하는 것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의 성격과 지식의 내면화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The difference between philosophical experience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the contrast between practic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are the kernels of Oakeshott′s theory of philosophy and philosophy respectively.Oakeshott′s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explanations of philosophy and his opinions on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knowledge in human activities give answers to two distinct questions - ′What is the nature of knowledge?′ and ′How is it possible to acquire knowledge?′.However, the answers to those two questions given by Oakeshott have a common point in accepting the idea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or ′world′consisting of the unmanifested standard on the upper side and the phenomenal manifestations on the lower side.Oakeshott′s theories of philosophy and politics can be regarded as representing two different aspects of that twofold sequence.The contrast of the so called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can be rightly understood only in the light of the idea of the twofold structure of knowledge in this sense.

      • KCI등재

        유학의 경권론과 현대 도덕교육의 방향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09 道德敎育硏究 Vol.20 No.2

        Since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and the so called 'integrative approach' as the alternative to it, modern moral education has been in the stalemate between 'development of form' and 'discipline of virtues', in the same line, the dilemma between the university of moral principle and the particularity of actual moral situation. In Jing-Quan Lun (經權論) of Confucianists, the contradiction between Han scholars and Ch'eng I on the relation of Jing and Quan shows clearly the dilemma between the request for establishment of absolute priniciple and the need for flexible judgement in actual situation, and Chu Hsi tried to eliminate that dilemma. According to Jing-Quan Lun in the light of the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Jing is not confined to manifestation of Tao(道) in normal situation but identical with Tao itself as the unmanifested moral standard, and Quan is considered as its practical manifestation in actual situation. Thus, Neo-Confucian moral education aims at the cultivation of the unmanifested mind and natural manifestation of Jing in every actual situation. Here, the two poles of above dilemma are placed in the two fold structure of mind and this provides an example of true integration of form and content of morality. The right path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is. 콜버그의 인지발달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적 접근’이 등장하였지만, 현대의 도덕교육은 도덕적 원리의 보편성과 현실적 상황의 특수성, 또는 자율적 판단력의 발달과 관례적 덕목의 실천 사이의 딜레마를 해결하지 못한 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유학의 경권론에서 경과 권의 관계에 관한 한유와 정이 사이의 상반된 견해는 도덕적 표준의 절대성을 확립하는 것과 현실의 도덕생활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 사이의 딜레마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주희의 경권론은 그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희의 그 방법이 진정한 해결이 되기 위해서는 성리학의 이론체계와 일관된 방향으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재해석에 따르면, ‘경’은 도의 정상적 표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그 자체, 즉 현실의 사태로 표현되기 이전의 도덕의 표준이며, ‘권’은 현실의 사태에서의 경의 실천적 표현이다. 성리학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은 미발의 표준으로서의 심성을 함양함으로써 ‘경’과 일관된 ‘권’이 자연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심성의 함양과 경권의 실천을 위한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원리와 현실적 상황은 딜레마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미발의 표준과 그 실천적 표현이라는 ‘중층’의 방식으로 ‘통합’을 이룬다. 현대 도덕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 또한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예술과 도덕: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차미란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2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discussed in two different ways. Art and morality as educational contents are placed on equal level in education, and in this 'horizontal' way, moral education is one of various modes of education as much as ar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oncern for moral cultivation through art or art education, morality or moral education refers to an ultimate aim of education pursued in all educational endeavors including art education. This way of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called 'vertical' relation as a parallel to the 'horizontal' one. According to Oakeshott, the unique voice of art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comes from 'poetic imagination' which he defines in terms of contemplation and delight, so the voice of poetry as one autonomous mode of activity and utteranc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r controlled by the voice of practical life whose imagination is under moral approval and disapproval. Thus, Oakeshott's aesthetic theory, as long as it emphasizes the horizontal relation of art and morality and denies the vertical relation of them, neither assents to Plato's warning of art's evil influences on moral education nor agrees to Shiller's proposal of social progress through aesthetic education of man. However, those three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need to be theoretically integrated in the light of Kant's concept of imagination in his philosophy which supposes morality as absolute standard of transcendental dimension. This integrative interpretation will be able to be completed only by the metapractical theory of education which elucidates both possibility and danger of moral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교육학적 관점에서 예술과 도덕의 관계는 ‘수평적 관련’과 ‘수직적 관련’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논의될 수 있다.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에서 예술과 도덕은 교육내용의 상이한 양상으로서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의하여 구분되는 교육의 상이한 양태를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예술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에 관심을 두는 경우에 도덕 또는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교육에서 추구되는 목적 또는 이상적 기준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수직적 관련 방식을 맺게 된다. 예술의 고유한 성격을 ‘시적 상상’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관조’와 ‘희열’에서 찾는 오우크쇼트의 견해는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 방식은 지지하지만 수직적 관련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예술과 도덕의 대화적 공존 관계를 중요시하는 오우크쇼트의 이론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예술의 폐해와 위험성을 경계하는 플라톤의 이론, 예술을 통한 개인의 인격 완성과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는 쉴러의 이론과 나란히, 예술과 도덕의 수직적 관련 문제에 대한 세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세 입장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일관되게 해석될 필요가 있으며, 그 해석의 방향은 상상력의 성격과 의의에 관한 칸트 선험철학의 논의를 따라서, 현상적 차원의 예술이 선험적 차원의 도덕을 실현할 가능성을 확립하는 것에서 찾아진다.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