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의과대학 예과생의 진로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진성미,박선주,Jin, Sungmi,Park, Sun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3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7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of pre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and those relationships with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vocational value. Methods : A total of 140 pre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e for career choice, specialty preference after college gradu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so they responded in the web-survey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and vocational value inventory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ight items of motive for career choice were collected from the pilot study from 70 premedical students. Results : 'Job stability' was the top motive for career choice(25.5%). The average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 was relatively low(13.7) : higher in male(14.3) and the early career decision group(14.2) than female (12.9) and late decision group(12.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9 and p=0.036, respectively) in the subgroup analyses. The result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showed that 'self-knowledge' (79.3) and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78.6) were the two highe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vocational value inventory ('fulfilling abilities' and 'self-improvement'). More characteristics were also described.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edicine premedical students have high vocational ident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specified studies for identify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for Korean Medic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desig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edic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경력 역량탐색을 위한 평생학습의 시사

        진성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본고에서는 개인의 경력 개발과 관련하여 경력에 대한 접근들에 따라 경력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그 개념에 함의된 경력 역량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자 한다. 경력 이론은 그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논제들을 통해 전개되어 왔기 때문에, 경력 역량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각 관점에 따라 상이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경력 역량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분석적으로 밝히기보 다는, 경력에 대한 주요 관점들에서 도출할 수 있는 경력 역량들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경력 역량 연구에의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경력 개념의 주요한 접근으로서 개인의 생애 발달 관점에서의 경력과, 변 화된 일 환경에서의 경력, 그리고 생애와 경력의 개인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경력으로 구분하여 각 관점이 제기된 배경과 함의하고 있는 경력 역량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평 생학습 관점에서 경력 역량에 대한 접근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후속 연 구와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at reviewing career competencies embedded in different approaches in career theory and suggesting implications of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to the study of career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career competencies in three approaches of career theories were briefly reviewed, based on different focus on career in terms of: 1) career as life development, 2) boundaryless career, and 3) integration of life, career, and learning. Career competencies from those perspectives revealed intertwined features of individual career unfolded throughout one's lifetime in society. To complement career theories' approaches to career competency, it was argued that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should be introduced to the study of career competency. The implica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the study of: the concept of career, different dimensions of career learning, and career competency studies we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career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followed for building the liaison between work and learning.

      • KCI등재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운영과정 사례 분석

        진성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2

        본 연구는 학업 부적응 등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밖 공간에서 학교 및 기타 학습공간으로의 복귀를 돕도록 기획된 단기 학습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 지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 지원하고 지역네트워크학교들이 실시했던 ‘징검다리 학습과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주제분석 및 계속비교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아이들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기관간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이들과의 관계, 프로그램 운영의 애로, 교사로서의 발전의 어려움 등을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가지는 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ho implemented and participated in the short-term learning programs for school drop-out youth.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by gathering data from observ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 Eight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were described by two main questions; how they perceive the outcomes of the program and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a teacher. The participants perceived outcomes in two parts of attitudinal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learners, and network development among related programs. In addition to outcomes, the difficulties as a teacher were perceived in three themes; relationship building with learners, program implementation, and hard work of self-development as a teacher. Findings were described by each theme, an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practice and study followed.

      • KCI등재

        한의약건강증진사업 발전을 위한 공중보건한의사 역할 탐색

        진성미,박선주 대한예방한의학회 2017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1 No.3

        Objectives : In an effort to suggest a developmental pla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ject(TKM-HP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experienced by public heal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PH-TKM) doctors in duty and to analyze successful cases of the health promotion project. Methods : Two PH-TKM doctors in duty at the Public Health Centre branch and Public Health Centre respectively, and one TKM doctor in charge of Public Health Centr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1) inform study objectives and interview questions to participants, 2) in-depth interview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3) post-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pted. In-depth interview was composed of 6 subsections: 1) Introducing participants and share purpose of interview, 2) Confirmation of the job status and difficulty of public health centre, 3) Reflecting and sharing experiences of public health clinic job performance cases, 4)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needs of TKM-HPP, 5) Discussions on improvement of TKM-HPP in public health center, 6) Sharing and reconfirmation of interview results.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narratives.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1) the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was critical for the successful TKM-HPP and participation of the PH-TKMs; 2) the major problems experienced by PH-TKMs were lack of training for TKM-HPP in the field and lack of knowledge at local government level; 3) the suggestions to provide PH-TKMs with manual to educate residents effectively and redefine roles of PH-TKMs in the project. It also suggests that TKM-HPP model should be developed by the district in a way of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 Firstly, more efforts should be made on the projects rather than medical treatment in public health centers, except for areas where medical institutions are scarce. Secondly, in order to facilitate participation of PH-TKM doctors, each local office should reduce medical care and increase efforts related with projects. Thirdly, the institution has to develop feasible TKM-HPP plans that can be carried out by PH-TKMs by the manual. Lastly, pre-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PH-TKMs to understand contents of TKM-HPP related to public health centre work before the placement.

      • KCI등재

        Meaning of Career Success of Women and Implications for Adult Learning: In Case of Women in Non-traditional Occupations

        진성미 한국성인교육학회 201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3 No.1

        Recent scholars agree on that traditional career theories and career models fail to capture women's career because women tend to develop different career patterns and women's careers involve different focus and issues. Career success is also a challengeable term by the decline of traditional hierarchical employment structure and discourses of career success are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dimensions: objective and subj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meanings women bring regarding their career success when they recall their caree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12 women in male-dominant occupations revealed four themes about their meaning of career success; happiness, accomplishment and commitment, independence, and balance. Descriptions of each theme related to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provided and discussions include how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with relation to other literature. Suggestions for adult learning, especially for career education and training, are offered finally.

      • KCI등재

        경력 자본과 경력 아비투스 : 경력과 일터학습

        진성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3 평생학습사회 Vol.9 No.3

        경력 연구는 다양한 학분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이론적 실천적 연구 관심들을 가지며 발달해왔으며, 크게는 개인의 직업생활 준비 과정과 입직 이후 직업생활의 두 시기가 구분되어 각각 진로와 경력이라는 용어로 분리되어 전개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을 개인 차원과 사회 환경 차원으로 구분하는 이분법적 관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경력에 대한 개인과 사회 맥락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이론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탈조직 맥락의 경력 환경에서의 개인의 주체적인 경력개발을 강조하게 된 최근의 경력 논의는 개인의 경력 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생애에 걸친 개인의 학습이 중요한 경력 역량이 됨을 전제하고 평생학습의 의의를 강조하는 배경이 된다. 하지만 평생학습 본연의 의미는 단순히 개인이 직업세계에 적응하는 과정이 아니라 적극적인 직업 정체성의 형성 과정이며 이 과정은 경력 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관계 속에서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경력이 전개되는 사회적 장과 경력 주체인 개인 간의 역동적 관계에 주목하기 위하여 부르디외의 사회학 개념인 장, 자본, 아비투스의 개념들이 경력 맥락에서 유의미한 개념임을 주장하고, 그 개념들이 경력에 어떤 의미를 가지며, 경력과 학습 연구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부르디외의 장과 자본 개념이 경력 연구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고, 둘째 아비투스가 경력 환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경력개발을 위한 개인의 학습이 경력 자본 및 경력 아비투스 개념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점이 일터학습 논의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논의하였다. Career studies have developed differ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interests based on perspectives from different disciplines. In Korean research context,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stages of the time of career preparation and individual’s career lives after entrance to occupation, which has developed two different terms. This study raised the need of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areer context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stic view on individual career and social environments. Especially recent career theor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efforts of career development based on out-of-organizational career context. Those views are based on the idea of lifelong learning of individuals as important career competencies and stress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in the workplace.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lies in the proactive career identity development by relationship within career context, not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nto care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field and individual agents using the sociological terms of Pierre Bourdieu: field, capital, and habitu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ained the significances of those terms in career study by exploring; how Bourdieu’s concepts of field and capital are related to career study, what meanings and implications habitus bring to career context, and how learning for career development in the workplace are related to career capital and career habitus. Those implications to lifelong learning and workplace learning are discussed.

      • KCI등재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관련변인별 집단 비교

        진성미(Sung-Mi Ji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초등학생, 중학생, 일반계 고등학생,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라 하위 요인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자신의 선호에 대한 인지 이외의 문항들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성적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상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학력과 가계소득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부모의 학력집단별, 가계소득별로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이후 진로지도에 있어 학생들의 성별과 준비 정도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진로지도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감안하여 자녀진로지도를 위한 차별화된 부모진로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 활용을 통해 진로성숙과 관련된 학생개인, 가정배경 등을 포괄하여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Seoul city based on collected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Firstl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career maturity at every school level,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in most items except ‘perception of one’s preference’. Secondl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are positively related, but with low correlation. Thirdly, students’ career matu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respectively. The results implied that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gender and maturity level. According to influence of parents’ variables, customized career guidance service for parents is required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Further studies using revised instruments that include mor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such as students, variables and parents’ variable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일터학습 연구의 평생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진성미(Jin Sung M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4

        일은 생존을 위한 학습의 장이며 일을 통해 개인의 학습은 사회적인 차원으로 확대되고 발전하기도 한다. 또한 일터는 학습자가 일 주체로서 성장하는 중요한 활동의 장이며, 개인들의 학습이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교류하는 장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과 학습에 대한 연구는 개인 생애의 학습과 사회적 삶으로서의 학습이 교차하는 지점에 대한 탐구이며, 평생학습의 중요한 탐구 주제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일터학습과 관련한 논의들의 흐름을 살피고 그 평생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일과 학습에 관련된 고민들이 어떻게 제기되는지를 일터학습 이론의 흐름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일터학습의 논의는 업무 수행을 위한 개인의 학습에 착목한 심리학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논의를 필두로 하여, 전문성의 개발 및 인지적 접근, 무형식학습 등개인 학습을 중심으로 한 논의와 상황학습이나 학습공동체, 활동이론과 같이 학습의 사회적 맥락과 개인과 일터의 학습 환경 및 사회문화적 조건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착목한 사회문화적 관심으로 구별되어왔다. 한편 이러한 학습에 대한 다른 관점들은 일과 학습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 또한 달리 하는데, 이 글은 일과 학습의 관계가 어떻게 다양하게 상정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점에서 어떠한 연구들이 유의미한 시사를 제공할 수 있는지 논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생학습 연구에서 향후 일과 학습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어떻게 확장되고 연구되어야 할지에 대한 제안점들로서, 첫째, ‘일터’의 사회적 의미와 학습공간으로서의 ‘일터’의 성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과 제안하고, 둘째, 일터학습 논의와 담론에서 포함/배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일과 개인 생애사의 연결에 있어 다양한 관계를 포착함으로써 일을 통한 개인과 집단의 학습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Work is an important activity for individual learning that expands toward social dimension, and workplace is a place of activity in which individual learner develop him/herself as a worker and individual learning consists and transcends socially. Thus the study of work and learning has significance as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 learning and social life, which deserves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ow workplace learning theories have developed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on workplace learning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ories of workplace learning were briefly reviewed. First of all, behavioral approaches to workplace learning emphasized individual learning to perform work, and the study of expertise and informal learning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learning. Also the theories based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such as situated learning, community of practice, and activity theory focused on social context of learning and workplace environment as socio-cultural condition and interactions of both. These perspectives suggest different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of work and learning. This work also discussed various implications supposed in the relationships of work and learning and research implic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es on; social meaning of workplace as a learning site, inclusion/exclusion in workplace learning discourses, and exploration of relationships of work and individual life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learning process of individual and group through work.

      • KCI등재

        조직안에서 조직밖으로: HR 프리랜서로의 경력 전환시 필요역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영범,진성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2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individual’s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in career development beyond traditional organizational career, the number of workers pursuing freelancer career is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ich competencies are requir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in-organization HR personnel to freelancer HR exper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free agents.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articipants who had HR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Results are shown as six competencies as 1)comparative advantage, 2)insight and creativity, 3)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clients, 4)self-management, 5)networking, and 6)clear customer goal setting. This result implies that differential approaches to traditional career success are required for freelancer competencie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y are provided. 기존의 조직내 경력을 넘어 개인의 경력주도성과 책임이 강조되면서, 최근에는 개인 역량을 기반으로 조직 밖에서 자신만의 자유로운 경력활동을 수행하는 직업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조직에서 HR업무를 수행했던 경력주체들이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HR 프리랜서로 경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량을 필요하다고 인식하는지 그들의 경험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업 HR업무 경험을 가지고, 현재 유관분야의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6명과 개인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며 이들의 경험과 각각의 사례를 통해 프리랜서 경력활동에서 필요한 여러 역량을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HR 프리랜서 경력전환과정에서는 1)비교우위의 차별적 경쟁력, 2)통찰력과 창의력, 3)고객을 설득하는 소통역량, 4)자기관리역량, 5)네트워크역량, 6)명확한 고객목표설정역량의 6가지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조직내 직업인의 성공요인 연구와 구별되는 프리랜서 경력활동의 필요역량을 확인하게 하였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