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의 복합질서: 금융화, 계급권력, 사사화

        지주형 ( Joo Hyoung Ji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19 No.1

        신자유주의는 종종 국가의 후퇴 또는 탈규제, 노동유연화, 금융화 등과 동일시되었으며, 이데올로기, 정책, 통치성, 정치 프로젝트, 축적기획 등 다양한 수준에서 분석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이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설명은 찾기 힘들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것들이 왜 신자유주의의 구성요소가 되는지,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통합적,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신자유주의를 이데올로기, 정책, 계급지배의 정치프로젝트, 또는 사사화된 통치성으로 규정하는 기존의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금융화, 특히 리스크 관리에 기초한 금융수단에 대한 투자 및 자본시장에서의 자산가치 상승을 중심으로 한 축적전략의 작동을 신자유주의적 축적과 질서의 독특한 핵심으로 지목한다. 셋째, 신자유주의 질서를 리스크 관리의 사사화, 지배계급 정치프로젝트, 그리고 금융적 축적이 결합된 복합질서로 규정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신자유주의에 대한 재규정이 최근의 지구적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미래에 대해 가지는 함의를 논한다. 신자유주의 복합질서는 우연적으로 결합된 금융화, 계급지배, 사사화가 서로를 지탱해 줌으로써 강화되고 유지되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의 결합은 필연적이지 않기 때문에 금융위기의 재정위기로의 전화, 신자유주의적 계산방식에 대한 비판 등을 겪으면서 신자유주의 복합질서가 와해될 가능성도 동시에 열리고 있다. Neo-liberalism is often equated with the retreat of the state, deregulation, labour flexibilication, financialization, and so forth, and has been analyzed as ideology, policy, governmentality political project, and accumulation project.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systematic and integrative account of neoliberalism. This article explains why these diverse elements become part of neo-liberalism and what constitutes the core of neo-liberalism in a systematic and integrated way. First, it critically examines various accounts of neo-liberalism that focus on its ideology, policy, class political project, or privatized governmentality. Second, it suggests financialization and securitization as the distinct feature of neo-liberal accumulation and order, especially the operation of an accumulation strategy that works through investment in financial instruments based on risk management and its resultant asset value growth in capital markets. Third, it defines the neo-liberal order as a complex order in which the privatization of risk management, class political project, and financial accumulation are contingently coupled to produce necessary structural effects. Finally, it discusses what such a redefinition of neo-liberalism means for our reflection on the future of neo-liberalism after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The complex order of neo-liberalism does not collapse easily since it is strengthened and maintained by financialization, class domination and privatization that are intertwined with and support one another. However, as their structural coupling is not necessary, the financial crisis is becoming a fiscal crisis of the state, and neo-liberal mode of calculation is seriously put into question, the neo-liberal order is now more open to dismantling.

      • KCI등재

        디지털 소액다수 정치후원금 활성화 방안 연구

        지주형 ( Joo-hyoung Ji ),조희정 ( Hee-jung Cho ),김순영 ( Soon-yo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論叢 Vol.47 No.-

        이 논문은 디지털 방식의 소액다수 정치후원 확산을 위해 기술적 측면에서의 신기술 지불방식 적용, 가치적 측면에서 소액다수 후원금의 민주적 의미와 개방성 원칙 확립,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의 법 개정이 필요함을 연구한다. 현행 정치자금법의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간 차원에서는 다양한 후원방식이 진행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선거운동의 필수항목처럼 선거펀드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2004년 개정된 정치자금법은 실제 환경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형식적인 소액다수 후원의 당위성만 인정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치후원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후원방식 도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후원의 정치적 의미와 원칙을 재구성하고 이에 적합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정치자금의 연구성과, 입법현황, 다양한 후원방식을 분석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정책 과제를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popularization of digital micro fundraising. It calls for the introduction of new payment methods technologically; the consolidation of open and democratic principles ethically; and the revision of the related laws institutionally. Despite the limits of the current legal framework, there are a variety of fundraising methods available while election funds have become nearly an essential element in political campaigns. However, enacted in 2004, the current Political Funding Act does not fully accommodate the recent changes in political fundraising while recognizing the desirability of micro fundraising. In order to popularize political donations,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political values and principles of digital grassroots donation, improve the related systems, and introduce new technologies for fundraising. With such a background, this article reviews recent studies, recent legislations, and recently introduced methods regarding political fundraising to develop a reform agenda in technological, ethical and institutional terms.

      • KCI등재

        한국의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 국가: 역사적 변동과 형태분석

        지주형 ( Joo 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본 연구는 국가 시장의 이분법, 국가중심주의, 방법론적 일국주의 등을 극복하고1997년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화된 한국 국가의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특히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에 답하려고 한다. 첫째, 발전국가론적 분석 문제틀에 기초한 한국 국가에 대한 논의의 한계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의 발전국가에 비해 신자유주의 국가는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는가? 셋째, 한국 신자유주의 국가와 발전국가는 무엇이 다른가? 한국의 발전국가는 정치적 계급 또는 관료 계급의 자본가계급에 대한 우위, 국가주도 투자조정과 리스크관리및 자본축적, 금융적 수익성을 희생할지라도 추격적 산업화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발전, 국가적 정책 자율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대조적으로 한국의 신자유주의 국가는 사회의 다른 부분에 대한 자본가 계급의 우위, 자본주도의 투자조정과 리스크 관리 및 자본축적, 금융지향적 계산의 지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한국신자유주의 국가는 (a) 민주주의 형식화를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민주주의 및 경제부처와 신자유주의 관료의 헤게모니, (b) 금융화 증권화와 산업경쟁력에 대한 제도적 지원, (c) 노동시장 유연성 (d) 금융 자본시장 자유화와 세계화, (e) 자본주도협치를 특징으로 한다. This paper aims to overcome state-market dualism, statism,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eoliberal state. For this purposes, it raises four questions regarding (1) the limits of the developmental statist framework in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Korean state; (2) the developmental and neoliberal forms of the Korean state; and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nd neoliberal state.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is characterized by the superiority of the political or cadre class over the capitalist class; state led investment coordination, risk management, and accumul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for catch up industrialization even at the expense of financial profitability. In contrast, the Korean neoliberal state is characterized by the superiority of the capitalist class over the rest of society; capital led investment coordination, risk management, and accumulation; and the dominance of financially oriented calculation. Accordingly, it involves (a) post democracy or the formalization of democracy and the hegemony of finance ministry and bureaucrats; (b) institutional support to financialzation, securitiza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c) labor market flexibility; (d) financial globalization; and (e) capital led governance.

      • KCI등재

        정치경제학의 방법론적 토대들: 사상사적 흐름과 이론적 비판

        지주형 ( Joo 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의 여러 흐름들을 사상사적, 방법론적 맥락 속에 위치지음으로써 그것들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조건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고 비판한다. 정치경제학의 역사는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역사적 방법론과 추상적, 수리적, 모델링 방법론의 대결 속에서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특정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는 역사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경제학의 제 조류는 정치 경제 관계라는 그 방법론적 토대의 측면에서 환원주의(경제주의, 정치주의), 절충주의를 포함한 연성경제사회학/정치경제학, 경성정치경제학, 탈일국적 지구정치경제학, 문화 정치경제학 등으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정치경제학은 초기에는 자율적 경제영역의 독자적 논리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통치술과 정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분석을 지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 정치경제학은 본래와 달리, 정치를 완전히 탈각한 경제학 혹은 정치현상에 대한 경제학으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동으로 정치의 우위성을 주장하는 정치주의/정치환원론이나 정치학-경제학의 절충론이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경제 및 사회질서의 정치적, 역사적, 제도적, 문화적 성격에 대한 균형 잡힌 분석과 일국 단위를 뛰어넘는 지구적 분석 또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종래의 경성 정치경제학은 정치분석을 상대적으로 경시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의 지구적 차원을 경시하는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탈일국적/지구적 정치경제학은 방법론적 일국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고 경성정치경제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였음에도 경제의 상징적·문화적 측면을 경시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제적 범주(예:시장, 자본, 화폐, 상품, 이윤, 경쟁력, 위기 등)가 마치 자연적으로 본래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물화하는 경향이 있다. 필자는 이러한 비판에 기초해 경성정치경제학과 지구정치경제학에 가장 최근에 발전된 문화정치경제학 방법론을 결합시킨 지구문화정치 경제학을 하나의 방법론적 지향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locates various currents in political economy in their historical and methodological contexts to reveal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theoretically categorize and critique them.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truggle between polit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methods and abstract, mathematical, and modelling methods around the problem of how to relate politics and economy. Through this struggle, political economy has developed a number of competing and contrasting methodological foundations:reductionism(economism and politicism), soft economic sociology and political economy including eclecticism and separatism on the one hand, and hard political economy, post national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on the other. In its earliest stage, political economy did not fully abandon political analysis although its main role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s for liberal governmentalities and policies in line with the(supposedly) autonomous logic of the economic sphere. However, soon it broke with its origins and transformed into(allegedly) politics free economics or even economic analyses of political phenomena. Then this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reactions such as eclecticism, politicism or political reductionism. Nonetheless, political economy also developed hard political economic methods for analyzing political, historical, institutional natu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order as well as global analysis beyond the national scale. However, conventional hard political economy tend to neglect poli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lobal dimension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its actual practice. Post-national or global political economy tends to neglect the symbolic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 economy and naturalize economic categories such as market, capital, money, commodity, profit, competitiveness and crisis as if they were pre-given rather than being socially construct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suggests global cultural political economy as a methodological orientation by combining hard political economy,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 KCI등재

        지구화와 국민국가

        지주형(ji, Joo Hyo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이 글의 목적은 지구화 과정 속에서의 국민국가(national state)의 변모를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구화와 국민국가의 관계에 관한 주요한 이론적 입장들을 (1) 지구화 및 국가의 작동 양식, (2) 국가의 경제적 통치 역량, (3) 국가 역할 및 개입 형태의 변환, (4) 지구화의 공간적 수준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대부분의 설명들은 지구화와 국민국가의 관계를 국가(정치) 대 시장(경제)이라는 이분법적-대립적 틀 속에서 파악하고, 지구화 과정 속의 국민국가의 자율성, 역량, 개입형태, 공간적 (재)조직화를 일반화되고 본질적인 용어로 기술한다(국가 쇠퇴, 국가 건재 또는 국가 변형론). 이러한 접근법으로는 지구화 속의 국민국가 변환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복합적 성격을 포착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비판적으로 재구성한 전략-관계론을 지구화와 국민국가에 보다 철저하고 일관되게 적용한다. 이를 통해, 지구화가 폭넓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정치적 과정과 경제적 과정이 서로 맞물리는 과정이며, 지구화 속에서의 국민국가의 변환이 지구화라는 일반적 경향성 속에 가둘 수 없는 다양한 형태와 수준, 그리고 복합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보인다. 지구화속의 국민국가는 국가별, 시기별, 영역별로, 자율성, 통치 역량, 개입, 스케일 등의 측면에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구화 과정 속의 국민국가의 변환을 탈국민국가적 경향과 국민국가적 (반)경향성의 교차와 복합으로 이해하며, 이를 1997년 경제 위기 이후 한국의 사례를 통해 보일 것이다. This article theoreticall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principal account of globalization and the state in terms of (1) their modalities, (2) the state’s governinng capacity, (3)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te’s role and form of intervention, and (4) spatial scales of globalization. Most of the accounts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the national state with a dichotomous framework that separates and/or opposes the state(politics) and market(economy) and describe the autonomies, capacities, forms of intervention and spatial restructuring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n general and essentialist terms. These approaches fail to the broad spectrum and complex natur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e in globaliz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se approaches, this article critically reconstructs a strategic-relational account of globalization and the national state in a more consistent way. It shows that globalization is multiple processes in which political and economic processes are intertwined through wider social relation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e is characterized by varying forms and degrees and complexities in its autonomy, governing capacity, intervention and spatial scales, which by no means can be confined within the general framework of globalization. Thu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e vis-a-vi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shows both post-national/post-statal tendencies and national/statal counter-tendencies, and this will be illustrated through the case of the Korean state’s transformation after the crisis in 1997.

      • KCI등재

        한국 국가형태와 권력행사방식의 전환

        지주형(Joo Hyoung JI)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본 논문은 박정희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비교를 통해 한국 국가성격의 변모를 탐구하고 특히 한국의 국가형태와 권력행사방식의 전환, 그리고 그에 따른 국가자율성과 역량의 변화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첫째, 국가권력에 관한 종래의 이론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전략관계론을 채택하고 발전시킨다. 둘째, 국가성격 및 국가자율성/역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박정희 정부와 김대중 정부에서의 국가형태, 권력행사방식, 그리고 사회적 세력지형을 분석한다. 셋째, 박정희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국가자율성과 국가역량을 비교 평가한다. 박정희 정부는 그 국가체제가 구조적, 전략적으로 정합성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강력한 국가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반면에 김대중 정부는 민주주의 정치체제와 IMF 및 관료주도의 통치체제 사이의 긴장 등 구조적/전략적 정합성의 수준이 낮았으며 이에 따라 국가자율성과 역량이 제약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국가는 권위주의 개발국가에서 민주주의/신자유주의 국가로 이행하였지만, 이 과정에서 관료 정책독점, IMF체제, 권위주의 정당체계 등으로 인한 실질적 민주화의 지체는 국가역량의 재구조화를 저해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Korean state, and in particular, the shifts in its state form and mode of power, and their consequence for state autonomy and capacity by comparing the Park Chung Hee and Kim Dae Jung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undertakes the following. First, it criticizes the existing theories of state power and reconstructs the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to explain state autonomy and capacity. Second, it analyzes state form, mode of power, and social and political terrains of the Park Chung Hee and Kim Dae Jung government. Third, it compares and assesses their state autonomy and capacity.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s state system had a high degree of structural and strategic coherence, and therefore could exercise strong state power. In contrast, due to the tension between the democratic political regime and IMF and bureaucrats-led governmental regime, the Kim Dae Jung government’s level of structural and strategic coherence was relatively low, and this constrained its state autonomy and capacity. In conclusion, though the Korean state shifted from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to democratic and neoliberal state, the relative lack of substantive democracy (bureaucratic policy monopoly, the IMF conditionalities, the authoritarian political party system, etc.) hampered the restructuring of state capacity.

      • KCI등재

        부마항쟁 이후 경남의 민주화 운동: 87년 6월 항쟁 전후의 기억과 계승

        지주형 ( Joo-hyoung Ji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20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6 No.2

        이 글은 부마항쟁이 경남 지역의 민주화 운동 속에서 어떻게 기억되고 계승되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이 글은 경남 지역의 87년 6월 항쟁 전후에 드러난 부마항쟁의 기억을 살펴보고 그것이 지역의 정치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경남의 보수주의와 지역주의는 부마항쟁의 기억을 억눌렀지만, 부마항쟁을 기억하고 계승한 운동정치의 흐름은 1987년 경남 지역의 민주항쟁과 노동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이 흐름은 2000년대 이후에는 경남 지역의 제도정치에서 진보 및 민주화 운동 세력이 교두보를 확보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므로 부마항쟁의 기억은 단순히 억압되었던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민주주의의 싹을 틔우는데 유의미하게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Busan-Masan Protests have been remembered and succeeded in and through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Gyeongnam during the 1980s and thereafter. In particular, it looks into how the democratic struggles around June 1987 in Gyeongnam mobilized the memories of the Busan-Masan Protests and influenced the regional political development afterwards. Although conservatism and political regionalism repressed their memories, the current of democratic movements that remembered and inherited the Busan-Masan Protests greatly contributed to the June Struggle and the Great Workers’ Struggle of 1987 in Gyeongnam. In addition, it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securing a bridgehead in institutional politics for progressive and democratic movements in Gyeongnam. It can thus be said that Busan-Masan Protests were not simply forgotten bu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birth of democratic movements in the region.

      • KCI등재

        한국의 성장주의: 기원, 궤적, 구조

        지주형 ( Joo-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이 글은 한국에서 성장주의가 어디에서 기원했고 어떻게 발전되었으며 어떠한 사회경제적 구조에 기반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전개된다. 첫째,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성장주의가 어떻게 탄생하고 형성되었는지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장’, ‘발전’ 등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지 살펴본다. 둘째, 한국 성장주의의 기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특히 한국에서 ‘성장’과 ‘발전’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적용되었는지 살펴본다. 셋째, 한국에서 성장주의는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지 살펴본다. 특히 한국적 성장주의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성장주의가 발전주의와 어떻게 결합하였는지, 그리고 성장주의가 다시 신자유주의와 어떻게 결합하고 변모하였는지 펴본다. 끝으로 한국에서 성장주의의 사회경제적 기반은 무엇이고 그 고유한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This paper explores the origins,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growth paradigm in South Korea (hereafter Korea). For this purpose, it runs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how the growth paradigm was born and cre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More concretely, it looks into how the concepts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coined and sophisticated. Second, it examines the origins of the growth paradigm in Korea. In particular, it deals with how the concepts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introduced and applied in Korea. Third, it shows how the growth paradigm was created and developed in Korea. In particular, it illustrates how the growth paradigm combined first with developmentalism and then with neoliberal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growth paradigm. Finally, it examines the socio-economic basis as well as the uniqueness of the growth paradigm in Korea, thereby illuminating where its hegemony comes from.

      • KCI등재

        신자유주의 국가

        지주형(Ji, Joo-Hyoung)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6

        이 논문은 아직도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신자유주의적 정치경제 질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작업인 신자유주의 국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기존의 신자유주의 국가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신자유주의 사회질서의 규정적 특징을 경제적·사회적 투자와 리스크 관리의 상품화에 기초한 금융적 자본축적의 확장에서 찾는다. 셋째, 전략관계론적 관점에서 시장주의 국가 형태를 국가주의(케인스주의, 발전주의) 국가 형태와 구별하고 신자유주의 국가를 시장주의 국가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한다. 넷째, 투자와 리스크 관리의 상품화를 중심으로 한 금융적 축적에 대한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국가의 대표, 접합, 개입 양식을 분석한다. 이중 특히 초점을 두는 것은 신자유주의 국가의 경제정책, 사회정책, 공간성, 통치방식 등 개입양식이다. 끝으로 이 글은 신자유주의 질서에서 국가의 역량과 책임이 사회적으로 대칭적인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고 모순적이고 비대칭적이며 편파적인 형태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자유주의 국가는 자본가 계급권력의 강화를 통해 탄생했으며 금융적 축적과 통치성이 결합된 투자와 리스크 관리의 상품화에 대한 지원을 핵심적인 특징으로 한다. 신자유주의 국가는 이를 통해 그 자신의 한계와 모순 속에서도 자본의 수익성을 높이고 사회적 권력을 강화한다.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analyze and reflect upon the neoliberal state as an prerequisite attempt for any search for alternatives to the neoliberal political economic order still in crisi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dvances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the existing theories and discussions of the neoliberal state fail to identify the defining feature of neoliberalism clearly. Second, what distinguishes the neoliberal social order from other orders lies at financialized capital accumulation based on the commodification of social and economic and social investment and its related risk management. Third, from a strategicrelational viewpoint, the marketist state form is distinct from the statist form, and the neoliberal state is a sub-type of the marketist state. Fourth, the critical role of the neoliberal state is in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supporting financialized accumulation centered on the commodification of investment and risk management. Fifth, in the neoliberal social order, the effects of the commodification of investment and risk management are not socially symmetrical but contradictory, partial, and asymmetrical. In conclusion, born out of the restoration of capitalist class power, the neoliberal state is characterized by its supporting relation to the commodification of investment and risk management in which financial accumulation and governmentality are combined. The neoliberal state increases capital’s profitability and social power in its own limited and contradictory mann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