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장리더십에 관한 양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주현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thodogical problems and offer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the methods used in future research of school principal leadership. To address these goals, the study identified 32 research of school principal leadership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tween 2009 and 2019. The author appli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analytical rubric for conducting systemic review. 32 research was analyz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a rubric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identif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overwhelmingly preponderated. There is disparities between research in school principal leadership. There is a tendency for research to omit key information concerning the methodological process including sampl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Lastly, the author offer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empirical research in school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한 교장리더십 논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총 32편의 교장리더십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총 3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연구모형’, ‘표집’, ‘측정도구’, ‘분석 방법’, ‘결과 해석’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기법 중 구조방정식모형에 편중된 문제, 논문 간 질적 편차, 통계방법의 오류를 문제점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회의 풍토 혁신, 학술지 심사방식 개선, 교육행정전공 대학원의 교육과정 개편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리더십의 재개념화

        주현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ew framework for reconceptulizing on educational leadership to redres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concepts and offer a range of strategies for the future research. The conceptual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framework are outlined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on educational leadership are as follows: too much attention is paid to school principals; conceptual links between internal contexts and external contexts are missing; educational leadership is insufficiently differentiated from the general leadership theories. To redress these limitations, a new framework for reconceptulizing on educational leadership is developed. Educational leadership is reconceptualzed as a combination of structural, functional, and methodological levels. A new framework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in educational leadership area. 이 연구는 교육리더십 개념의 한계와 함의를 분석하여 재개념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리더십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기존 개념이 특정 직위 및 대상 위주로 해석되었고, 교육조직 내부 맥락에만 집중되어정의되었으며, 타 분야 리더십 개념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점을 찾았다. 이러한 한계점이 교육리더십 재개념화에 주는 함의점으로 직위와 대상의 확대 및 조화, 다양한 기능확장, 고유한 정체성 확보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리더십의 재개념화를 위한기본 틀로 구조, 기능, 방법을 설정하였고, 구조적 확대, 기능적 확장, 방법적 고유성차원에서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리더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연구에 필요한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실질적인 교육개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주현준,김태연,남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1년까지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CMA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는 과거보다 현재, 중등학교보다 초등학교, 학생 수준보다 학급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지도성 유형 중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지도성은 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학급을 만드는데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개별 교사에게 권한과 자율을 부여하는 공유와 분산적 접근이 향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현장 교사들이 권한을 부여받고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지도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학교급과 지도성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Plan for the School-based After-School Programs : focusing on the case of Michigan

        주현준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ontinues to grow. Repeated findings on schools have informed that unsupervised environment contributes to poo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misdemeanors. It has been raised to develop high-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n order to deal with the challenge. Facing the challenge, public school leaders have the responsibility to make every endeavor to relieve current conditions. Specifically, the role of school principals is "extremely important" to initiating and planning the school based after-school programs.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that could guide the administrative standards of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chool principals with the standards in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xtract th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ineteen tasks and 143 days were required to plan after-school programs. Som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의 교육리더십에 관한 시론적 고찰

        주현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7 敎育政治學硏究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ture educational leadership for social changes and innovations.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al change, mad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change management and innovation, and argued the new concept of educational leadership.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leadership made an effort to adopt to an coming future, 2) educational leadership remained on the fringe of the change management, 3) new concept of educational leadership did not apply to the educational practic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for the future educational leadership i.e., redefinition of educational ideology, awareness raising on educational ideology, innov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collaborative fulfillment based on the conceptual leadership, evolutionary leadership, and enlightening leadership. 본 연구는 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의 교육리더십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 사회의 관계, 변화관리와 혁신의 의미, 교육리더십의 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리더십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지금까지의 교육리더십은 미래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고, 혁신이 아닌 변화관리 수준에 머물렀으며, 변화된 교육리더십 개념을 실제에 적용하는데 미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미래의 교육리더십은 합의된 교육이념의 창출, 사회구성원의 인식 전환, 혁신적인 제도 개발, 공동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이를 위해서 개념적, 혁명적, 계몽적 성격을 지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교장 리더십의 어두운 면(Dark Side)에 관한 연구

        주현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eachers’ perspectives on their principals and the experiences of the dark side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from in-depth interview conducted with teachers during one and half yea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a) most teachers were unsatisfied with the present principals and have experienced the negative principals. And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responded personality and behavior as negative principals’ leadership. (b) the dark side of principals’ leadership were unethical, immoral, inconsistency, ignoring, distrust, partiality/unfair, unreasonable, nitpicking, criticism, and forcing (behaviors)/aggressive, excitable, cautious, reserved, leisurely, skeptical, dutiful, insensitive, and stubborn (characteristics)/ignorant and inexperienced (skills)/stereotyped (knowledge). (c) the dark side of leadership was harmful to teachers' psychological/emotional/physical health as well as school culture/climate and activities/outcomes. At the end of the paper, it is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the research for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 리더십의 어두운 면의 실태, 유형, 역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직 초・중등학교 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각각 통계분석과 내용분석을 적용하여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들은 현재 학교장에 대해 만족도가 낮고, 과거 학교장 리더십의 어두운 면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으며, 학교장의 인성, 행동, 업무능력 순으로 어두운 면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두운 면의 유형은 인성(행동과 성격)과 업무능력(기술과 지식)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 리더십의 어두운 면은 교사의 심리/감정, 신체에 피해를 입히고, 학교조직의 문화/풍토 및 활동/성과에도 역효과를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장 리더십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