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약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주종찬(Jong-Chan Ju),신정혜(Jung-Hye Shin),이수정(Soo-Jung Lee),조희숙(Hee-Sook Ch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

        16종의 한약재 및 약용식물류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 총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이들의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출수율은 단삼이 36.49%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pH는 4.00~5.92의 범위로 산성 pH에 더 가까웠다.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을 검색하고자 250㎍/mL 농도의 시료로 28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꿀풀이 2.872로 가장 높았으며 엉겅퀴와 산사육, 산조인은 0.5이하의 낮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꿀풀의 경우 1.312로 가장 높은 값을 다음은 옥수수수염(0.917), 금물초(0.725) 순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꿀풀이 5.07±0.05 ㎎/100 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단삼에서 4.82±1.16 ㎎/100 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높은 함량이었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 효과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조인, 산수유, 단삼은 10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전자공여 효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BHT와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500 ㎍/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꿀풀과 금물초 2종에 불과하였으며 1000 ㎍/mL의 농도에서는 산조인, 산수유, 감국, 꿀풀, 금물초, 오가피, 단삼, 울금이 5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꿀풀의 경우 전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아질산염소거효과를 나타내어 250 ㎍/mL에서는 59.62±1.573%, 1000 ㎍/mL에서는 80.58±0.300%의 소거효과를 보였다.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of hot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16 medicinal plants were tested. The extraction yield was the highest in Salvia miltiorrhiza Bunge (36.49%). pH range was 4.00~5.92 in all samples. Absorbance at 280 ㎚ was examined to determine aromatic compounds content. The absorbance of 250 ㎍/mL sample was the highest in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2.872) and below 0.5 in Cirsium maackii,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Zizyphus jujuba Miller. Also, absorbance at 420 ㎚ was high in order of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1.312), Zea mays Linne (0.917) and Inula japonica Thunberg (0.725).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 was the highest in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5.07±0.05 ㎎/100 g) and flavonoids contents was 2-fold higher in Salvia miltiorrhiza Bunge (4.82±1.16 ㎎/100 g) than the other sample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Zizyphus jujuba Miller,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and Salvia miltiorrhiza Bunge were over 90% at 1000 ㎍/mL. Reducing power had similar tendency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while reducing pow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mples compared to BHT. Two samples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and Inula japonica Thunberg)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50% nitrite scavenging effect at 500 ㎍/mL while 8 kinds samples (Zizyphus jujuba Miller,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Chrysanthemum indicum Linne,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Inula japonica Thunberg,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 Curcuma longa Linne) showed more than 50% nitrite scavenging effect at 1000 ㎍/mL.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showed significantly stronger nitrite scavenging effect than other samples, and its activity was 59.62±1.573% and 80.58±0.300% at concentrations of 250 and 1000 ㎍/mL, respectively.

      • KCI등재

        어성초 분말의 혼합 급이가 돈육의 cholesterol 및 산화물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주종찬,신정혜,최선영,양승미,성낙주,Kang, Min-Jung,Joo, Jong-Chan,Shin, Jung-Hye,Choi, Sun-Young,Yang, Seung-Mi,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어성초 분말을 돼지 사료에 5%, 10%씩 첨가하여 12주간 사육시킨 후 등심부위를 냉장보관하면서 지질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돈육 등심의 저장 중 TBARS는 어성초 분말 급 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검출되었고,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군의 불포화지방산이 52.5%였으나 5% 및 10%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는 각각 53.7% 및 54.1%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율로 정량되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5%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39.1{\pm}0.2\;mg/100\;g$, 10%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37.8{\pm}0.3\;mg/100\;g$으로 대조군$(48.9{\pm}0.2\;mg/100\;g)$에 비해 어성초 급이군에서 더 낮게 검출되었다. 돈육 등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농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 $7{\beta}-hydroxycholesterol$의 경우 2일간 저장한 대조군에서는 $0.6{\pm}0.65\;{\mu}g/g$였으나 저장 23일 후에는 $2.3{\pm}0.3\;{\mu}g/g$으로 6.5배 증가하였고 10%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저장 2일에 $0.3{\pm}0.01\;{\mu}g/g$, 23일에서는 $0.9{\pm}0.15\;{\mu}g/g$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19-hydroxycholesterol과 ${\alpha},{\beta}-epoxide$도 어성초급이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낮은 함량이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eding Eosungcho(houttutnia cordata Thunb) on the meat quality of pork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C), 5%(T1) and 10%(T2) Eosungcho powder feeding group, and than administered for 12 weeks. And then pork's loins were storaged at $4^{\circ}C$, for 23 days after vaccum packed. TBARS was increased(P<0.05) during storage days in all samples, while it's contents were lower Eosungcho feding groups than control group.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pork's loin, were $48.9{\pm}0.2\;mg/100\;g$ in control group, $39.1{\pm}0.2\;mg/100\;g$ in T1 group and $37.8{\pm}0.3\;mg/100\;g$ in T2 group. 4 kinds of cholesterol oxides($7{\beta}-hydroxycholesterol$, 19-hydroxycholesterol, ${\alpha}-$ and ${\beta}-epoxide$) detected in pork's loin. Cholesterol oxides concentration of pork's loin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lowest in T2 group.

      • KCI등재

        우리밀 Semolina 부분 대체에 의한 생면 파스타의 조리특성

        김연주(Yeon-Ju Kim),주종찬(Jong-Chan Ju),김래영(Rae-Young Kim),김원태(Won-Tae Kim),박재희(Jae-Hee Park),전순실(Soon-Sil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7

        Durum wheat semolina와 가장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우리밀 semolina(FS: fine semolina)를 0, 10, 20, 30, 40 및 50% 대체한 파스타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조리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최적의 우리밀 semolina 대체 파스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우리밀 semolina 첨가 반죽의 파리노그래프 특성은 우리밀 semolina 대체 30%까지 수분흡수율은 증가하였으며, 반죽형성시간은 30% 대체 이상에서 높게 나타나 생산량증가 및 생면파스타 제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우리밀 semolina 대체 30% 이상에서 안정도는 낮아지고 연화도는 증가하여 부드러운 질감의 생면파스타의 제조가 가능하며, 아밀로그래프 호화특성은 durum wheat에 비해 호화개시온도는 상승하고,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작업적성평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밀 semolina의 대체량이 높아질수록 중량 및 부피는 감소하고 탁도 및 조리손실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리밀 semolina 30% 대체 수준까지는 대조구와 유사한 부피 및 조리손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우리밀 semolina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감소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조리면의 경도는 우리밀 semolina 30% 이상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탄력성, 검성, 씹힘성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우리밀 semolina 30% 이상 대체에서 7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파스타색은 durum wheat에 가까운 황색을 또는 우리나라 전통 국수와 같은 흰색을 선호해 그 특성이 완전히 양분됨을 알 수 있었으며, 향과 맛은 우리밀 semolina의 대체에 따른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스타의 경도는 낮고, 씹힘성은 높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우리밀의 첨가에 따른 품질 및 기호성 향상을 위해서는 우리밀 semolina 30% 대체가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Korean wheat semolina (FS: fine semolina)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durum wheat semolina was substituted at rates of 0, 10, 20, 30, 40, and 50% in pasta dough and the 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making optimal pasta. Water absorption of the dough increased with the 10, 20, and 30% substitution ratio of FS. Development times were high with >30% substituted FS. This result positively influenced an increase in produc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fresh noodle pasta. Furthermore, soft textured fresh noodles could be made due to the decrease in stability and increased weakness of the >30% substituted FS. The amylograph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semolina exhibited an increase of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decrease of maximum viscosity when compared with durum wheat.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dough showed more than 4 points in all sample groups. Weight and volume decreased and turbidity and cooking lo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amount of substituted FS. However, samples with ≤30% FS substitution ratio had similar volumes and cooking loss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L- and a-values increased and the b-value of color decreased as more FS was added. In a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of the cooking noodles showed a low value with the >30% substituted F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exhibited a high value. In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 score with more than 7 points for the 30% added FS. The preferences for pasta colors were divided into white, which is similar to the Korean traditional noodle, and yellow, which is similar to durum wheat. Flavor and taste were not affected by substituting with FS. Low hardness and high chewiness was the most preferred nood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30% substituted FS was suitable for increasing quality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Korean wheat pasta.

      • KCI등재

        우리밀과 Durum Rimachinata를 이용한 생면 파스타의 조리특성

        김연주(Yeon-Ju Kim),주종찬(Jong-Chan Ju),김래영(Rae-Young Kim),김원태(Won-Tae Kim),박재희(Jae-Hee Park),전순실(Soon-Sil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부드러운 식감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맞춤형 우리밀 파스타 제조의 일환으로 durum wheat rimachinata에 우리밀가루 0, 15, 30, 45 및 60%를 대체하여 제조한 파스타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도분포는 우리밀이 250 μm 이하의 작은 입자가 전체의 87.03%를 차지하며, durum rimachinata는 250 μm 이상이 68.70%를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은 durum rimachinata에서 단백질과 회분이 각각 13.84±0.03, 0.70±0.02로 우리밀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죽의 farinograph 특성은 우리밀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은 증가하고 반죽형성 시간은 높게 나타났고, 안정도와 연화도는 증가하였다. Amylograph 특성은 우리밀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호화개시온도는 상승하고, 최고점도는 감소하였으나 우리밀 30% 대체까지는 550 B.U. 이상으로 면류제품의 물성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리특성은 우리밀 대체량 15% 미만에서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및 조리손실율이 대조구와 유사하여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파스타 면을 만들 수 있었다. 색도는 우리밀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감소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조리면의 경도 및 점착성은 우리밀 대체 30% 이상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탄력성, 검성, 씹힘성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우리밀 대체 45% 이상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우리밀을 대체한 파스타의 제조시 반죽 및 조리특성에서는 우리밀 15% 대체수준이 적합하나 조리된 파스타의 기계적 물성측정 및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30% 대체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flour substituted for 0%, 15%, 30%, 45%, and 60% durum rimachinata whea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wheat pasta suitable for consumer-preferred soft textures. The particles of Korean wheat that were less than 250 μm were 87.03% of all particles, while 68.7% of durum rimachinata had particles more than 250 μm in size. Durum rimachinata had more protein (13.84±0.03) and ash (0.70±0.02) than Korean wheat. In farinograph characteristics,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stability, and weakness increased as the amounts of substituted Korean wheat flour increased. Also, the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mylograph exhibited an increase of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decrease in maximum viscosity. However, maximum viscosity was shown to be more than 550 B.U. until 30% of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wheat flour to durum rimachinata wheat. Also, it did not affect the texture of the noodle product. We could make pasta with softness and springiness with less than a 15%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wheat flour due to similar characteristics in cooking properties such as weight, volume, water absorption, turbidity, and cooking los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L and a values increased, and the b value decreased in color as substitution amounts of Korean wheat flour increased.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cooking noodles was shown to be a low value at more than a 30%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wheat flour, and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ll exhibited high values. In a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score in control. More than 30% of substitution of Korean wheat flour showed high preferences. Therefore, 15% of the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wheat flour could be adapted in dough and cooking properties for making pasta-substituted Korean wheat. However, a texture analyzer and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pasta was shown to have a good quality at more than 30% substitution level of Korean wheat flour.

      • KCI등재

        우리밀 Semolina의 이화학적 특성

        김연주(Yeon-Ju Kim),김래영(Rae-Young Kim),박재희(Jae-Hee Park),주종찬(Jong-Chan Ju),김원태(Won-Tae Kim),전순실(Soon-Sil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우리밀 semolina의 면류가공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제분과정 중 발생하는 coarse semolina(CS), medium semolina(MS), fine semolina(FS)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semolina 모두가 FS를 제외하고는 250 ㎛ 이상의 큰 입자가 약 75% 이상을 차지하였고, MS의 경우 durum semolina(DS)와 가장 유사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조단백, 조회분은 DS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우리밀 semolina는 CS, MS, FS 순으로 감소하였다. 조지방은 DS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CS, MS, FS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값은 작은 입도분포를 많이 가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손상전분은 DS와 FS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CS에서 가장 높은 손상전분을 나타내었다. 아밀로오스 함량 또한 비교적 작은 입도분포를 가지는 DS와 FS에서 각각 29.80%과 29.08%로 높게 나타났으며, 물결합력은 DS가 가장 높았고, 우리밀 semolina의 경우 FS에서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와 팽윤력에서도 낮은 손상전분과 작은 입도분포를 가지는 FS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세구조 관찰시 FS와 MS에서 가루로부터 깨끗하고 뚜렷한 작은 전분입자가 파열되지 않고 전분 입자형태를 유지하면서 가루 표면에서 떨어져 나와 있는 전분립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분에 의한 semolina의 이화학적 특성변화가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부가적인 제면특성검사를 통해 FS의 면류가공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arse semolina (CS), medium semolina (MS) and fine semolina (FS) were investigated to research method applied in noodles processing of Korean wheat semolina. Large particle (>250 μm) was over 75% in all semolinas, except for FS, and the particle distribution of MS and durum semolina (DS) was similar.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the highest in DS followed by CS>MS>FS. Crude lipid of DS was the lowest among samples and CS, MS and F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L value was high in semolina with small particle distribution and starch damage was the lowest in DS followed by FS>MS. Amylose content was high in DS (29.80%) and FS (29.08%) with small particle distribution. Water binding capacity was the highest in DS, and FS showed the highest water binding capacity among Korean wheat samples.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were noticeably high in FS with low starch damage and small particle distribution.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S and MS showed distribution of separated fine particles of flours. From these resul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molina showed many differences by grinding methods. FS should be applied in noodles processing through additional examination about characteristic of noodle making.

      • KCI등재
      • KCI등재

        복어 육과 껍질 농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래영(Rae-Young Kim),성낙주(Nak-Ju Sung),김원태(Won-Tae Kim),박재희(Jae-Hee Park),김연주(Youn-Ju Kim),주종찬(Jong-Chan J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어육 단백질 급원식품으로서 복어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육과 껍질로 분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반성분은 복육과 복껍질에서 각각 조단백의 함량이 89.5와 82.7%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껍질에서 회분은 육에서 더 높은 함량이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IMP의 함량이 다른 성분에 비해 높았으며, 여타 성분은 1 μmol/g 미만으로 정량되었다.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각각 83.9%와 66.3%로 복육에서 더 높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는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25.9%로 복육 건조분말에 비하여 높은 비율이었다. 구성아미노산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17종,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함량도 복육 건조분말(83,739 ㎎/100 g)에서 복껍질 건조분말(75,361 ㎎/100 g) 에 비해 더 높았다. 복육 건조분말에서는 glutamic acid가 13,707 ㎎/100 g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valine, glycine 순이었다. 복껍질 건조분말은 glycine이 14,843 ㎎/100 g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arginin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25종, 복껍질 건조분말에서 22종이 검출되었는데 taurine이 각각 554.4 ㎎/100 g과 153.6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복육 건조분말에서 약 1.5배 더 높았으며 특히 cysteine의 경우 복껍질 건조분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복육 건조분말에서는 159.3±1.8 ㎎/100 g으로 정량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abou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puffer muscle and skin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puffer as fish protein. In proximate composition, crude protein of dried puffer muscle and skin powders were 89.5% and 82.7%, respectively. Skin powders had higher lipid contents than muscle powders. Ash contents of muscle pow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skin powders. I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he contents of nucleotides were in order of IMP and ADP.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 in puffer muscle (83.9%) was higher than skin powders (66.3%). Oleic acid,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 skin powder (25.9%) was higher than in muscle powders. Seventeen kinds of composition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muscle powders, while 16 kinds of amino acids were found in skin powders. Total contents of amino acid in muscle powders (83,739 ㎎/100 g) were higher than those of skin powders (75,361 ㎎/100 g). In the muscle powders of puffer,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amino acid with the concentration of 13,707 ㎎/100 g, and was in order of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valine and glycine. In skin powders,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content with 14,843 ㎎/100 g followed by proline, alanine and arginine. Twenty five kinds of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dried muscle powders, while 22 kinds of free amino acids were found in dried skin powders. Taurine of dried puffer muscle and skin powders was the highest free amino acid with the concentration of 554.4 ㎎/100 g and 153.6 ㎎/100 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of dried muscle pow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dried skin powders. Especially, cysteine was only detected in dried muscle with the content of 159.3±1.8 ㎎/100 g.

      • KCI등재

        와송과 생약재 복합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장 및 신장 조직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신정혜(Jung-Hye Shin),이수정(Soo-Jung Lee),서종권(Jong-Kwon Seo),이현주(Hyun-Ju Lee),주종찬(Jong-Chan Ju),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4

        와송의 생리활성 및 생약재 혼합조성물과의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와송 추출물과 백복령, 창출, 사인 추출물의 동량으로 제조된 혼합물 및 이들의 1:1, 3:1 복합조성물을 시료로 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흰쥐의 간장과 신장 조직의 지질조성과 체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1,000 μg/mL 농도에서 와송 추출물 및 와송과 생약재 혼합물 3:1 복합물의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50% 이상이었다. 금속이온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와송과 생약재 혼합물을 혼합하였을 때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더 높았으며, Fe<SUP>2+</SUP> 이온보다는 Cu<SUP>2+</SUP> 이온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생약재 혼합물에 비해 와송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와송 추출물과 생약재 혼합물을 3:1로 혼합함으로써 상대적인 활성이 증가하였다. 와송 추출물과 생약재 혼합물의 3:1 복합물을 식이에 1% 첨가 급이하였을 때 간장과 신장 조직 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장 조직 내 글리코겐의 축적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간장과 신장 조직 중 지질과산화물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 와송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TBARS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와송은 자체로도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가지지만 생약재 혼합물이 더해짐으로써 활성이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biological activity and synergistic effects of an extract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OE), a medicinal plant mixture (MPE) and a combination of both at different ratios (1:1, OMPE-1 and 3:1, OMPE-3). Extracts of the medicinal plants mixture were comprised of Baekbokyung, Changchul and Sa-in at the same rati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and their complex were tested in vitro. The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analyzed by examining the lipid composition in the liver and kidney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es rats. The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ore than 50% in OMPE-3 at a 1,000 μg/mL concentration. Regarding metal ions, such as Fe<SUP>2+</SUP> and Cu<SUP>2+</SUP>,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MPE-1 and OMPE-3 was higher than that of OE and MPE. OMPE-1 and 3 had higher activity on Cu<SUP>2+</SUP> ions than Fe<SUP>2+</SUP> ions.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OE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MPE and OMPE-1 but the relative activity of OMPE-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Freeze-dried MPE, OMPE-1 and OMPE-3 were added to the diet at a level of 1% given to STZ induced diabetes rats for 4 weeks. The OMPE-1 and OMPE-3 administer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liver and kidney. In these groups, the glycogen accumulation level of the live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te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the liver and kidney was decreased bu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song extract exhibit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which are enhanced by a complex with a medical plants extract.

      • KCI등재

        생약재와 와송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강하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Soo-Jung Lee),신정혜(Jung-Hye Shin),주종찬(Jong-Chan Ju),강신권(Shin-Kwon Kang),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4

        생약재(백복령, 사인 및 창출) 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한 것에 와송 추출물을 첨가하여 만든 복합물이 당뇨쥐의 혈당 강하 및 혈중 지질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정상군, 당뇨 대조군, 생약재 혼합물 급여군(D-MH), 생약재 혼합물과 와송 추출물의 1:1 복합물 급여군(D-MHOA) 및 1:3 복합물 급여군(D-MHOB)으로 구분하여 4주간 실험사육하였다. 실험 사육 4주 후 체중의 증가량은 모든 실험군이 당뇨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D-MHOB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실험 사육 기간 동안 공복 혈당은 실험식이의 급여 2주 후부터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2~3주 동안에는 D-MH군과 DMHOA군간에 비슷한 수준이었다. 4주 후에는 D-MHOB군의 공복 혈당이 가장 낮았다. 내당능 측정 결과, 포도당 급여 60분에 모든 실험군에서 최고 혈당치를 보였으나, 생약재 혼합물 및 와송의 복합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당화 헤모글로빈 함량은 정상군(3.9%)에 비해 대조군이 약 1.9배 증가되었으며, D-MH군에 비해 DMHOA 및 D-MHOB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생약재에 대한 와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혈청 총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DL-C 함량은 D-MHOB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GPT 활성은 D-MHOB군이 여타의 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생약재 혼합물 급여군에 비해서 와송 추출물의 첨가군에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와송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작았다. 항산화 활성은 와송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와송은 생약재 혼합물에 첨가됨으로써 혈당 저하 및 지질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from Wa-song (Orostachys japonicus) extracts with mixtures of medicinal herbs (such as Baekbokyung, Changchul and Sa-in) were evaluated in the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Thirty-fiv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ive groups; normal, diabetic control (D-control), a group fed a medicinal herbs mixture (D-MH), and a group fed composites of O. japonicus with mixtures of medicinal herbs (1:1, D-MHOA and 3:1, D-MHOB). All were fed on their diet for 4 weeks. After 4 weeks, the body weight of all experimental groups increased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with the D-MHOB group having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Fasting glucose levels in all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D-contro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weeks, but between 2∼3 weeks, the levels in the D-MH group were similar to the D-MHOA group. After 4 weeks, the fasting glucose level of the D-MHOB group was the lowes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a test of oral glucose tolerance, blood glucose levels were highest 60 minutes after feeding glucose; however this level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groups fed an experimental diet compared to the D-control group.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were 1.9 times higher in the D-control group than the normal (3.9%), but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MHOA and D-MHOB groups compared to the D-MH group. In the high amounts of O. japonicus to medicinal herbs mixture, total lipids and 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rum, while HDL-C levels increased. GPT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MHOB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Lipid peroxide levels decreased in the D-MHOA and D-MHOB groups compared to the D-MH group.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depending on the dose of O. japonicus. Overall, O. japonicus exhibited effective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actions enhanced by a combination of medicinal h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