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전시-P-45 > 폐 MDF재생섬유에 대한 반응성염료계의 고착특성
주선경,노정관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목질재료 중 현재 물질로서 전혀 재활용이 되고 있지 않는 폐 MDF를 인테리어 성형 소품 제조용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전년도에는 황, 적, 청색의 반응성 염료(클로로 트리아진계와 비닐슬폰계), 직접염료(디아조계), 배트염료(퀴논계)를 사용한 재생목질섬유의 염색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MDF 재생염색섬유의 경우 셀룰로오스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에 의해 염색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과, 버진섬유와 재생섬유간의 염색특성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염색한 재생섬유의 자외선 촉진 열화처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색차에 의해 비교한 결과,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색차가 증가하였으며, 염료별로는 직접염료의 일광견뢰도가 가장 불량하였으며, 이어 반응성염료 및 배트염료의 순이었다<sup>1~3)</sup>. 따라서, 폐기되는 MDF로 부터 얻은 재생섬유를 인테리어 소품의 제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최적의 염색조건에 대한 검토와 일광견 뢰도의 향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 개선을 위하여 국내산 리기다소나무로 제조한 MDF를 다시 해리하여 얻은 폐 MDF 재생섬유에 대해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H-E3B, Reactive Red RB 133%)의 고착특성과 자외선에 의한 변색 특성을 검토하였다.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된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일광견뢰도는 미반응 염료의 잔존유무 및 고착정도에 의해 좌우되며, 소핑처리와 고착처리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1) 주선경, 노정관. 2017. MDF용 섬유와MDF 재생섬유의 염색성 비교.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31. 2) 주선경, 노정관. 2017. 폐 MDF 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색.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추계 학술발표 요지집. p 25. 3) 주선경, 노정관. 2017. 폐MDF를 이용한 염색재생섬유 제조. 목재공학 Vol. 45(3). 297-307.
주선옥(朱善玉)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7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0 No.1
취약성, 위험을 극복하는 능력 향상과 적응적 관리(adaptive management)를 통한 리질리언스적 접근이 대두되고 있다.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가중은 전통적 패러다임의 한계를 드러내었고, 대안적 시각과 접근을 요구한다. 리질리언스는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인 적응, 위기 상황의 극복과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 변화된 환경에서 번창하는 능력, 사회구성원 전체의 총체적 협력이 강조되는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계에 유비(類比)하여 정책체제를 인식하고,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그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민간 및 공공부문의 ICT기반 사회혁신과 지역차원의 경험적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생태계 리질리언스를 위한 기본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Resilience approaches are emerging through adaptive management and improved ability to overcome vulnerabilities and risks. Complexity and weighting of uncertainty reveal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paradigms and require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Resilience emphasizes the positive adaptation to diversity, the ability to overcome crisis situations and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ability to thrive in a changed environment, and the total cooperation of all the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the policy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ilience by analogy to the ecosystem. Analyzes social innovation and empirical cases based on ICT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d presents basic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olicy ecosystem resilience.
슈퍼히어로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정체에 따른 주조색의운용 경향성에 관한 연구- 마블 코믹스(Marvel Comics)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
주선,온보란,임세은,남양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최근 만화 및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문화산업과 연계되어 다양한 콘텐츠로 재생산되면서, 이러한캐릭터들을 창조하는 애니메이터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터가 캐릭터를 그려낼 때 운용되는 디자인 요소 중 색은 캐릭터들의 정체를 나타내는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특히 주조색은 캐릭터들의 색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므로, 이를 적절히 운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캐릭터의 주조색에 관한다수의 연구가 선행되었고,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주조색을 적절히 운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슈퍼히어로(superhero) 장르의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언급하며 이들의 주조색에 관해 통찰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소수의캐릭터들만을 선정하여 연구했기 때문에 이를 일반적인주조색 운용 모형으로 범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본 연구는 대표적인 슈퍼히어로 장르의 만화인 마블 코믹스(Marvel Comics)에 등장하는 수많은 캐릭터들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캐릭터의 정체에 따른 주조색의운용 경향성을 능동적으로 관찰가능한 3종의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결과물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슈퍼히어로 장르의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주조색을 결정하는데 기초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물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한 애니메이터들의 유의미한 통찰로부터 캐릭터들의 주조색을 결정할 때 색의 상징적 의미를 주도적으로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어 명사화 현상에 대한 중국어 번역 양상 -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주선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2 No.-
형용사(구)나 동사(구) 등이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명사화라고 한다. 명사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 중의 하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명사화 현상을 실현하는 방식이 각 기 다르다. 중국어에 비하면 한국어에서 보다 자유롭게 명사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한중 번역시 의미와 형식상 완전히 일치한 대응어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번 역학적 차원에서 명사화를 다루는 연구가 아직 드물다. 따라서 한국어 명사화 현상이 중국어 번역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소설 2권 및 시집 1권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실제 번역 사례를 통해서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으로 인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이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고찰하고 유형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에서 명사화를 실현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명사화소 ‘-ㅁ/음’은 동 일한 형태로 명사형 어미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고, 명사 파생 접미사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기 때문에 서로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을 구 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명사형 어미 ‘-ㅁ/음’과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더 나아가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번역 사례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살펴본 결과는 ‘대응어, 명사 화, 삽입, 생략, 전환, 대체’와 같이’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중에 대응어와 명사화는 직역 의 범주로, 삽입과 생략, 전환, 대체는 의역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한중 번역할 때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이 발생 시 본고에서 제시한 6가지 방법을 고려한다면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Nominal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verbs, adjectives and phrases that act as nouns in sentence. The ways of actualizing nominalization are different in Chinese and Korean. Compared with Chinese, Korean is able to actualize nominalization more freel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 is difficult to fine the corresponding language tha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language, which increases the difficulty of translation. Since now, there are few studies who have explored the problem of nomin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olo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such study. Under this context, this paper selects two novels and one collection of poetry as the corpus data, investigating the phenomenon of nominalization in terms of Korean through the practical translation cases and summarizing in terms of the translation methods. There are several ways of actualizing the nominalization in Korean. Among this part, ‘-m/um’ is able to be regarded as both noun ending and noun-derivational suffix to actualize the nominalization. They share the same morphology. First of all,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un ending ‘-m/um’ and the noun-derivational suffix ‘-m/um’ to help distinguish them through investigating the previous research. Then, noun-derivational suffix is regarded as the core to make the research and the case analysi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corpus, this paper summarizes six types of translation methods, which are the corresponding words, nominalization, addition, omission,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텐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음계 학습 및 창작용 시스템 제안 - 건반 악기 학습을 중심으로 -
주선,남양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음악 활동, 특히 악기를 연주하고 능동적으로 곡을 창작하는 것은 수학, 과학, 언어 능력 등에서 교육 효과를 증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간호 및 의료 분야에서도 재활 수단의 하나로서 대두되었다. 그러나 기존 음악 도구들은 너무 복잡하고 전문적이거나, 반대로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수동적 방식에만 국한되어 있다. 그 외에는 실제 생활에서 활용이 힘든 고비용의 컨셉 수준 모델이 일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 실정을 반영하여 음악 활동 입문자와 초보자에게 적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교육용 디지털 음악 도구와 음악을 이용한 치료와 재활 연구 사례를 수집하여 개발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도구 MelodyOn은 음악활동 입문 단계에서 널리 쓰이는 멜로디언을 텐저블 인터페이스로 활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음계 창작을 통해 연주 및 학습 경험을 얻을 수 있다. MelodyOn은 음계 생성 및 재생, 편집, 기록 기능과 더불어 능동성, 편의성, 단순성에 초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또한 프로세싱 환경을 이용하여 실제 구동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실험함으로써 음계 학습 및 창작용 디지털 도구로서의 실용 가능성을 보였으며, 향후 개선 및 구체적인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고대 시사(詩詞) 예술가곡 「가을의 노래(秋之歌)」의 심미적 특징
周璇,음영철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4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5 No.2
본 연구는 1960년대 초 중국의 유명 작곡가 나충용(羅忠镕)이 창작한 중국 고대 시사(詩詞) 예술가곡 가을의 노래의 심미적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당나라 시인 두목의 ‘삼계’에 바탕을 둔 것으로, 산행(山行), 남릉도중(南陵道中), 기양주한작판관(寄揚州韓綽判官)의 세 곡이 수록되어 있다. 가을의 노래의 심미적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적 형상과 정취에서는 세 곡 모두 서로 다른 형태의 반주와 선율선을 통해 늦가을의 경치를 아름답게 형상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사에 담긴 미적 가치는 산림의 풍경, 붉은 소매의 여자, 24교의 다리 위에서의 회상을 통해 보여주었음을 밝혔다. 셋째, 가창에 따른 표현기법은 중국 시사 언어의 특성을 피아노의 풍부한 화음, 3연음의 쌍음 선율, 장식음을 통해 나타났음을 밝혔다. 이밖에 가을의 노래에 나타난 세 작품은 운율, 발음, 발성, 훈련기교와 무대효과 면에서도 미학적 특성이 드러남을 밝혔다. 이처럼 가을의 노래는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적 아름다움, 정취적 아름다움이 잘 드러난 예술가곡이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ng of Autumn, an art song based on ancient Chinese poetry and lyrics, created by the famous Chinese composer Luo Zhongrong in the early 1960s. The work is based on the “Three Poems” by the Tang Dynasty poet Du Mu and includes three pieces: Mountain Walk(山行), On the Road to Nanling (南陵道中), and Sending Off Judge Han to Yangzhou (寄揚州韓綽判官).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ng of Autumn is as follows:First, in terms of artistic imagery and sentiment, all three pieces beautifully depict the scenery of late autumn through varying forms of accompaniment and melodic lines. Second, the aesthetic value embedded in the lyrics is revealed through the portrayal of forest landscapes, a woman with red sleeves, and reflections on the 24-bridge scene. Third, the expressive techniques accompanying the singing are manifested through the use of rich piano harmonies, double-note melodies in triplets, and ornamented not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ic language. Additionally, the three pieces in Song of Autumn also demonstrate aesthetic qualities in terms of rhythm, pronunciation, vocal technique, training methods, and stage effects. Thus, Song of Autumn can be considered an art song that beautifully embodies literary, musical, and sentimental beauty.
The Impact of ICT on International Trade in the Digital Economy: An OECD Analysis
주선,최창환 한국무역학회 2023 무역학회지 Vol.48 No.5
This study is based on panel data from 38 OECD countries from 1995 to 2020, and uses fixed effects and moment quantile regression models to analyze the impact of ICT on international trade.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 increase in ICT indicato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rowth of trade volume. The analysis of segmented indicators confirms that wireless phones, the internet, and other factors have affected trade growth. The impact of ICT varies with the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impact on trade varies. Decision makers should choose the best strategy based on the level of trade and ICT maturity. Countries with smaller trade volumes should continue to promote IC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while countries with larger trade volumes should actively promote ICT technology upgrading and transformation, and explore new market opportunit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ICT in international trade in the digital age and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designing effective policies in the digital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