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서비스 돌봄 비정규직노동자의 근로환경 연구 : 아동⋅장애인⋅노인 돌봄영역 중심으로

        주경희(Kyonghee Ju),김동심(Dongsim Kim),이인재(Injae Lee)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2

        돌봄노동은 사회서비스의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로환경은 열악하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돌봄노동영역에서 근로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로 실태와 근로활동의 어려움, 그들이 요구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돌봄 영역에서 종사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48명(노인돌봄 30명, 아동돌봄 10명, 장애인돌봄 8명)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① 열악한 근로조건, ② 노동 착취의 근로환경, ③ 차별적 근로환경, ④ 위험한 근로환경이라는 4개의 범주와 1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과 돌봄 노동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Care service is an important area of social services, but most paid care workers are women, frequently working under poor conditions and for low pa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orking environment of nonstandard workers in the social care service, difficulties in their work activities, and their needs. We conducted six focus group interviews of 48 nonstandard workers (30 elder care workers, 10 children care workers, and 8 care worker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d convers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were derived: ① poor working conditions, ② exploitative working environment, ③ discriminatory working environment, ④ dangerous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ies were proposed to guarantee the labor rights of nonstandard work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work.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소진 영향요인 검증

        주경희 ( Kyonghee Ju ),이인재 ( Injae Lee ),김동심 ( Dongsim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한 노인돌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최일선에서 활동하였던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근로환경과 소진, 직업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경기도 사회서비스 분야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고용환경 개선방안 연구’의 설문조사자료 중 335명의 생활지원사 자료를 대상으로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위험인식과 보수인식이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위험인식과 직업만족이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근무환경 중 위험인식과 소진관계는 직업만족이 부분 매개로, 보수인식과 소진과의 관계는 직업만족을 완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활지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elder. To this end, data were used from the ‘Research on improvement of employment environment for being public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in Gyeonggi-do’ in 2020. The study was conducted on 335 life support worker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isk perception and salary perception e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risk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effect burnout. Third, job 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lary perception and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eventing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and enhancing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평등과 노인 세대 위협 인식의 예측 요인 검증

        김동심 ( Dongsim Kim ),주경희 ( Kyonghee Ju ),김주현 ( Juh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성평등 인식과 노인세대 위협 인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가구원수, 연령, 학력, 소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예측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특성(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 삶의 만족도)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온라인 조사를 통합 수합된 1,00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t-검정, ANOVA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평등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세대 위협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성별, 연령은 성평등 인식을 예측하였다. 셋째, 성별, 연령별, 삶의 만족도는 노인세대 위협 인식을 예측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gender equality and threat from elder. It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online survey data of 1,000 men and wome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equa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education, and income. Threat from elde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Second, Gender and age predicted gender equality. Third, gender, age, and life satisfaction predicted the threat from el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for future social integr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무동기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김동심 ( Dongsim Kim ),주경희 ( Kyonghee J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진로무동기가 실제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기평가, 스트레스, 진로효능감, 진로성숙, 진로무동기,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19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1,0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은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미결정에 진로무동기는 영향을 미쳤다. 자기평가와 스트레스가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을 매개로 진로무동기에 끼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차원에서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a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career amotivation on the actual career undecide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valuation, stress, career efficacy, career maturity, career a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was confirmed. Using the youth panel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ed in 2019, a study was conducted with 1,049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efficacy. Second,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ffect career amotivation. Fourth, career amotivation affects career undecided. Lastly, confirming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and stress on career amotivation through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omplete mediation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support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김주현(Juhyun Kim),오혜인(Hyein Oh),주경희(Kyonghee Ju)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연령차별을 경험한 노인들이 스스로 부정적 차별 인식을 내면화하는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는 연구이다. 노인들이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연령차별의 모습을 규명하고 이같은 차별경험이 ‘자기연령주의(self-ageism)’를 통해서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은 명시적 차별 뿐 아니라 암묵적 차별에도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노인의 고통(빈곤, 질병, 무위, 고독)의 강도가 높고 객관적인 차별상황에 속에서 차별대응에 실패한 기억이 강할수록 더욱 높은수준의 자기연령주의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연령주의’는 나이에 의한 ‘차별’을 당한 노인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내재화함으로써, 현실에서 다양한 거부/분리/멈춤 등의 행동을 통해 삶의 질적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감수하는 현상이다. 건강, 제도적지원, 보듬어주는 사람들과 같은 지지적 자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노인들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연령주의를 극복할 여지를 보이지만, 반면 이러한 자원들의 부족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지 못하는 노인들의 경우 자기연령주의로 인한 부정적환류에 갇혀버리게 됨으로서 침체되고 위축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스로를 동기화(motivation)해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반응을 해나가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므로 분석과정에서 특별히 두 가지 부분,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에 주목하며미시적으로는 노인의 동기화와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거시적으로는 전 생애주기와 관련한 복지 및건강서비스 체계 보완,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접근성과 통합성 확대, 인식개선과 차별금지법과 같은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perception of negative discrimination among elderly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ves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such discrimination through self-age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lderly respond not only to explicit discrimination but also to implicit discrimination. In this process, the stronger the pain of old age (poverty, disease, ignorance, and solitude) and the stronger the memory of failing to respon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geism. Self-ageism has internalized the negative image of the elderly, wh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age, resulting in disadvantag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reject/separate/suspension actions in reality. In the presence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and caregivers, the elderly have room to overcome self-ageism through more active ways. However elderly people who cannot motivate themselves and they lack these resources, elderly are trapped in negative refluxcaus ed by self-ageism and sustained a depressed and shrinking life. In this state, it is not easy to motivate themselves and make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sponses. Therefore, in this analysis, we specifically noted two aspect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proposed programs for synchronizing senior citizens and improving resiliency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and argued for the need to develop systems such as supplementing welfare and health service systems related to the entire life cycle, expanding accessibility and ’age-integration’ through ’Community Care’, awareness improvement and anti-discrimination laws.

      • KCI등재

        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 영향요인 검증 및 세대별 비교

        김동심(Dongsim Kim),김주현(Juhyun Kim),주경희(Kyonghee Ju)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1

        본 연구는 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에 연령통합인식과 미래기술 낙관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각 세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0대 이상 남녀 99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과 ANOVA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통합인식이 미래기술 낙관성에 정적 영향력을 미쳤다. 둘째, 연령통합인식과 미래기술 낙관성이 미래사회에 대한 친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가졌다. 셋째, 연령통합인식과 미래사회에 대한 친사회적 태도 간의 관계에 미래기술 낙관성이 매개효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미래기술 낙관성은 세대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연령통합인식과 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는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통합인식은 10대, 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는 40-50대와 6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통합적 사회 구축에 공감하고, 기술 변화를 통한 낙관적 미래사회 변화를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통해 미래사회에 대한 친사회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ge integration and technological optimism on prosocial attitudes for future generation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for each gener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999 men and women.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and S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ge integration has a influence on technological optimism. Second, age integration and technological optimism influenced pro-social attitudes for future generat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echnological optimis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integration and prosocial attitudes for future generations.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technological optimism,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integration and prosocial attitude toward future generations. Age integration was highest in 10 s, and prosocial attitudes for future generations was highest in 4050‘s and 60 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discussion that shared the positive phenomena brought by future technology so that we could have a prosocial attitude toward future generations and created a social atmosphere that builds an age-inclusive society.

      • KCI등재

        주관적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수린 ( Kim Sue-lynn ),김주현 ( Kim Juhyun ),주경희 ( Ju Kyongh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노년기 건강과 우울의 긴밀한 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열악한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위험을 높이는 것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목적하에,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과 고령층의 연령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조사된 「2017연령통합설문조사」에 참여한 전국 55세 이상 성인 492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였는데, 이 같은 경향은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더 양호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의 경우 완화되었다.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의 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건강상태가 열악할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경향이 고령층의 모든 연령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고령층의 연령이 평균(66.6세) 및 그 이상인 경우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 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취약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는 완충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을 통해 고령층의 건강증진과 우울예방에 기여할 몇 가지 제언을 논의하였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Under the purpose to mitigate and prevent the risk of depression caused by poor health, the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status’effects on dep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this study. Moderating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492 adults aged 55 years and over from ‘2017 age integration survey’ data which had been collected nation-widel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adequate subjective health status raises the level of depression. This tendency is weakened when the better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re presented. In contrast, ag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pecific conditions to bring out the interaction effects, frail subjective health status increased depression of all age groups as the level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is low. Particularly, for the participants aged average(age 66.6) and older, the negativ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re likely to be lowered by the improvement in poor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That is, the buffer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re proved. Based on theses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depression prevention of older ad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동심(Kim, Dongsim),김주현(Kim, Juhyun),주경희(Ju, Kyo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정관념, 노화, 차별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교사, 청소년, 연령주의 전문가 등의 검토를 거쳐 수정되었다. 수정된 문항을 바탕으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72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교차타당화를 위해 무선으로 양분하였다. 231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541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서 6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을 확인하고, 5문항을 삭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1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문항의 전체 Cronbach’s α가 .839이고, 하위 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이해를 기반으로 한 세대통합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ism scales for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ddressed stereotypes, aging, and discrimination based on 22 questions.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examined by teachers, adolescents, and ageism specialists. Based on the revised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a total of 772 students at 2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Participants were divided for cross-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31 adolescents, whi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541 adolescent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6 questions were deleted. 3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5 questions were dele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inal 11 questions to ensure validity. The total Cronbach"s α in the final question was .839,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developed scales throughout this study were validated for measuring ageism of adolescents. Using this developed scale, study researchers have identified meaningful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wareness of ageism and to discuss various methods that can help different generations to understand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