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폐 전이된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 및 예후 인자 분석

        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오주한(Joo Han Oh),서성욱(Sung Wook Suh),조환성(Hwan Seong Cho),유재호(Jae Ho Yoo),김희오(Hee-Oh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골육종의 폐 전이에 대한 치료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1년까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312명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65명을 대상으로 폐 전이가 발생한 35명의 전체 생존율을 구하였고, 폐 전이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9명에서 연령, 성별, 화학요법의 반응도, 폐 전이의 개수 및 무종양 기간에 따른 생존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골육종 폐 전이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62.3%, 5년 생존율은 39.3%이었다. 폐 병소에 대한 수술을 시행한 군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군에서 화학요법의 반응도가 90% 이상인 군과 전이된 폐 병소의 개수가 5개 이하인 군, 그리고, 무종양 기간이 길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골육종의 폐 전이에 대한 치료는, 전이 병소도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analyzed survival rates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pulmonary metastases from oste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9 and 2001, of 31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osteosarcoma in our institute, 35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overall survival rates and analyzed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chemotherapeutic response, number of the pulmonary lesions, and disease-free interval. Results: Overall 3-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62.3% and 39.3%. Patients treated with thoracotomy and chemotherapy seemed to survive longer than patients without thoracic surgery. In the thoracostomy group, the degree of tumor necrosi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the number of metastatic nodules, and the tumor free interval were meaningful factors of survival. Conclusion: In osteosarcoma with pulmonary metastasis, complete metastatectomy and intensive postoperative chemotherapy can improve survival in selected patients.

      • 소아 악성 골종양의 치료에서 확장형 종양대치물의 이용

        한일규,이상훈,조환성,오주한,김한수,Han, Il-Kyu,Lee, Sang-Hoon,Cho, Hwan-Seong,Oh, Joo-Ha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효과적인 항암 약물요법의 발달과 사지의 절단술에 따르는 기능적인 경제적인 비효율성은 뼈의 원발성 암 환자에서 사지 구제술의 발달을 가져 왔다. 소아에서의 사지 구제술은 종양의 광범위 절제 시 성장판이 같이 절제되어 건측과의 사지 길이 차이가 발생하게 될 수 있고 소아 환자들의 왕성한 활동성 때문에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건술이 필요하다. 소아 환자에서 악성 골종양의 절제 후 성장한 만큼 대치물의 길이도 같이 늘일 수 있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expandable tumor prosthesis)을 이용한 재건술이 시행되어 왔으나 모든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진 못하였다. 최근 들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발달로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면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사지 길이를 맞추고 종양 대치물의 수명을 길게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의 적응증, 특성 및 합병증 등에 대해서 짚어 보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effective chemotherapy and the realization of high economic cost associated with amputation, limb salvage surgery has become the standard of treatment in children with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of children has to address the leg length inequality and also has to be durable to cope with high functional demands of young patients. Expandable endoprostheses have been used in children for achieving limb length equality with substantial risk of complications. Recently, significant advances in prosthetic designs have reduced the morbidities associated with these pros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ndications, characteristics, complications and recent developments of expandable endoprostheses used for malignant bone tumors in children.

      • 졸레드론산을 투여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비전형적 대퇴골 전자하 골절: 증례 보고

        정원주,나상봉,조환성,김준우,박일형,Jeong, Won-Ju,Na, Sang-Bong,Cho, Hwan-Seong,Kim, Joon-Woo,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악성 종양 환자에게서 졸레드론산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예방적으로 투여받은 경우 이와 관련한 비전형적 대퇴골 골절의 발생 위험성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국내에 지금까지 보고된 예가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고농도 졸레드론산을 지속적으로 투여받았던 환자에서 큰 외상의 병력 없이 우측 대퇴골 전자하 부위의 비전형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로 폐쇄적 정복술 및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Little literature exists about the risk of atypical femoral fracture in patients received zoledronic acid for prevention of skeletal metastasis. We report an atypical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in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received zoledronic acid. The patient wa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ephalomedullary nailing.

      • 연부 조직 종양에서 PET의 유용성: 기존의 진단법과의 비교 연구

        서성욱,박상민,조환성,Seo, Sung-Wook,Park, Sang-Min,Cho, Hwan-Se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최근에는 연부 종양의 진단에 FDG-PET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진단법과 비교하여 FDG-PET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2001년 3월에서 2002년 3월 사이에 연부 조직 종양으로 진단받은 29명의 환자(남자 16명, 여자 13명, 평균 4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군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을 시행하였다. 타당성 검증에서 국소 병변은 모든 경우 조직검사로 판단하였고, 전이 병변은 조직 검사와 6개월 간의 추시 결과로 판단하였다. 각각의 진단은 독립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진단의 정확도와 누적 비용-정확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국소 병변의 진단에서 MRI와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91%, 57%, 83% 와 95%, 43%, 83%이었다. 원격 전이의 진단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7%, 89%, 87% 와 92%, 94%, 93%이었다. 누적 비용-정확도율은 145,000원/% 이었다. 종양의 등급별 민감도 분석에서 고등급의 종양이 가장 비용-효용성이 높았다. 결론: 국소부위의 재발과 잔존 종양의 진단에서 FDG-PET의 정확도는 MRI와 차이가 없었다. 반면, 원격 전이의 진단은 FDG-PET이 기존의 검사 보다 정확하였다. 고등급 종양의 경우 저등급 종양보다 FDG-PET의 유용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Introduction: Currently,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s (FDG-PET) has been investigated in soft tissue tumor especially for tumor detection and noninvasive grading. However, the validity and the efficacy of FDG-PET are still unclear in clinic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FDG-PET in compared to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studies currently used in the soft tissue tumor. Method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02, 29 patients (sixteen males, thirteen females, mean age, 47 years; a range from 4 to 73) diagnosed with soft tissue tumor were evaluated by both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and FDG-PET. Valid reference test of the local lesion was the histopathologic diagnosis, which was measured in all patients. The suspecting metastasis in the imaging studies was validated by pathology or follow up imaging for at least 6 months. Each imaging diagnosis was made independently. The accuracy of each diagnostic method was evaluated. The incremental cost accuracy ratio was determined in each diagnostic method. Results: For detection of local lesion,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MRI and FDGPET scans were 91%, 57%, 83% and 95%, 43%, 83% respectively. For detection of distant lesion,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for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and FDG-PET scans were 77%, 89%, 87% and 92%, 94%, 93% respectively. The incremental cost accuracy ratio (ICAR) of FDG-PET for detection of distant lesion was 145,000won/%. According to ICAR for each tumor grade, PET strategy is most cost-effective at high grade tumors. Conclusions: For detection of local lesion such as recurrence or remnant tumor, FDG-PET scan was not more accurate than MRI. However, It was more accurate for detection of metastatic lesion than conventional methods. For detection of high grade tumor, PET was most costeffective than for detection of lower grade tumor.

      • 골반골의 악성 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 보고

        김세훈,이상훈,조환성,김한수,Kim, Sae-Hoon,Lee, Sang-Hoon,Cho, Hwan-Sung,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연구계획: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의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이 골반골의 재건에 있어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증례: 증 례 1~20세 여자 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고관절부와 대퇴부 동통을 주소로 외부 병원에서 우측 장골에 소파술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시행 후 악성 골종양으로 진단하에 술 후 방사선 치료 6회 시행 후 전원되어 우측 장골 광범위 절제술 및 섭씨 132도에서 2분간 열처리 후 자가골 재삽입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의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분화 골육종 진단되었으며 술전 또는 술후 화학 요법은 시행하지 않았다. 증 례2~56세 여자 환자로 약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대퇴부 동통으로 방사선 검사상 이상 발견되어 전원 후 절개 생검 시행하였다. 결과상 골육종 진단되어 우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 5도 하에서 3 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 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등급 섬유모세포형의 골육종이 진단되었다. 술후 화학 요법은 HDMTX, ADR, CDDP으로 시행하였다. 증 례 3~46세 여자 환자로 우연히 발견된 좌측 장골의 종괴로 연골육종 의심 하에 좌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5도 하에서 3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좌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Protek$^{(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II/III 등급의 연골육종이 진단되었다. 결과: 최종 추시상 각 증례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는 증례 1은 7년 추시상 국소적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Ennecking 등에 따른 기능적 평가 지수에서 53%로 평가되었다. 방사선 추시상 약 1년에서 1년 6개월 사이에 골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최종 추시시 장골의 재건 금속판의 파괴 소견이 보였으나 환자의 증상과 연관되지는 않았다. 증례 2는 3년 6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0%로 평가되었다. 증례 3은 7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3%로 평가되었다. 결론: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에서 비교적 만족할만한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보였으며 한국에서 동종 골 이식술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이 방법은 골반골을 재건하는데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view.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heat-treatment as one of favorable reconstruction method for malignant bone tumors of pelvis through 3 cas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many biologic and nonbiologic reconstruction method in pelvic reconstruction. Cases: Case 1- A 20-year-old women had chief complaint of right hip and thigh pain started 3 months ago and done curettage and bone cementing at right ilium at other hospital. She had impression of malignant bone tumor and undergon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6 cycles. After that sh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and undergone wide excision of right ilium and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heat-treatment at 132 degree celsius for 2 minutes internal fixation with pelvic reconstruction plate and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ABG$^{(R)}$). There was no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and revealed well-differentiated osteosarcoma on postoperative pathology. Neither adjuvant nor neoadjuvant chemotherapy were done. Case 2- A 56-year-old women who suffered right thigh pain for 3 months was detected radiologic abnormality at right pelvis. After incisional biopsy, osteosarcoma was diagnosed. We had undergone wide excision of right ilium and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low heat-treatment at 65 degree celsius for 30minutes internal fixation with pelvic reconstruction plate and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ABG$^{(R)}$). There was no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and revealed high-grade osteosacoma which was fibroblastic type on postoperative pathology. Adjuvant chemotherapy (HDMTX, ADR, CDDP) was done immediate after wound healing was completed. Case 3- A 46-year-old women was incidently found mass at left ilium which was suspected chondrosarcoma. We had undergone wide excision of left ilium and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low heat-treatment at 65 degree celsius for 30minutes internal fixation with pelvic reconstruction plate and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Protek$^{(R)}$). There was no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and revealed chondrosarcoma which was graded II/III on postoperative pathology. Results: Oncologic and functional outcome at final follow-up were for case 1, final follow-up time was 7 years, is no evidence of disease and functional score is 53% according to Ennecking et al. During follow-up, evidence of radiologic union was at about 1 and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case had breakage of pelvic reconstruction plate and some resorption of autotransplated bone, but no symptom present. For case 2, final follow-up was 3 years and 6 months, is no evidence of disease and functional score is 60%. For case 3, final follow-up was 7 months, no evidence of disease and functional score is 63% which is improving state. Discussion: 3 cases which were undergone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heat-treatment and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had relatively successful oncologic and functional outcome. Taking account that difficulty in using allograft in Korea this method is thoght to be one of the useful way to reconstruct pelvis after resection of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of the pelvis.

      •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 분석

        천상호,박일형,조환성,김도형,Cheon, Sang-Ho,Park, Il-Hyung,Cho, Hwan-Seong,Kim, Do-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2

        목적: 골 거대세포종 환자들의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 받은 거대세포종 환자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4예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54예 중 남자 27예, 여자 27예로 평균 나이는 33.1세(13-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7개월(12-104개월)이었다. 결과: 54예 중 21예(38.9%)에서 국소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1.5개월이었다. 국소재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진 인자로는 해부학적 위치와 임상적 병기로 하지에서 상지보다 낮은 재발률을 보였으며(p=0.032), Campanacci 분류 grade I이 grade II와 grade III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소파술 후 골시멘트 충진을 시행한 군(28예)과 동종골 이식을 시행한 군(18예) 사이에도 국소 재발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소파술 후 국소 보조요법으로 냉동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골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양세포의 철저한 제거가 여러 부가적인 처치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currence rate of a giant cell tumor (GCT) of the bon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fifty fou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giant cell tumor of the bone between March 1980 and December 2008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mong 54 patients, 27 were men, remaining 27 were women with the mean age of 33.1 years (range, 13-67 year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67.1 months. Results: Twenty-one patients (38.9%) had a local recurrence. The mean time to recurrence was 21.5 months (range, 2-59 months). The local recurrence rate of the upper extrem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Campanacci classification, patients with a grade I diseae had lower recurrence rate than those with grade II or III dise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s based on cryotherapy, the filling of bone cement or bone grafts and surgical margin. Conclusion: To prevent local recurrence of GCT of bone, curettage of the tumor and elimination of the remaining cells are more important than adjuvant therapy.

      • KCI등재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치료 방침에 대한 결정

        한일규(Ilkyu Han),강종열(Jong Yeal Kang),조환성(Hwan Seong Cho),이상훈(Sang Hoon Lee),오주한(Joo 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장관골의 골수강 내에서 발생한 연골 종양은 내연골종과 1등급의 연골육종을 포함하는데, 이 중 연골육종은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들 종양은 임상적, 조직학적 소견상 서로 구분하기 어려운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진단과 치료에 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연골종 및 1등급의 연골육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이들 종양에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의 골간단 및 간부에 위치한 내연골종 혹은 1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치료받은 73예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가 20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9세(18-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상완골 근위부(34예), 대퇴골 원위부(24예), 대퇴골 근위부(6예), 경골 근위부(3예), 비골 근위부(2예), 상완골 간부(2예) 및 대퇴골 간부(2예)였다. 치료 방법은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 사진상 골내막 침식 등의 인자에 따라 결정하였다. 41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32예에서는 단순 추시 관찰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3.2년(1.0-14.9년)이었으며, 32예 모두에서 마지막 추시 시점까지 종양의 진행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4.3년(1.0-14.0년)이었으며, 41명 중 40명(98%)이 최종 추시까지 종양의 진행이 없었다. 결론: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학적인 골내막 침식 소견은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형성 종양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자들로 생각된다.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환자의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이들 종양에서 불필요한 수술 없이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can represent an enchondroma or a low-grade chondrosarcoma, with the latter requiring adequate surgical treatment. However, these two lesions have overlapping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and so they pose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dilem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and to determine the relevant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for deciding on the treatment for thes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enchondroma or low-grade chondrosarcoma that was located in the metaphysis or diaphysis of the bones. There were 20 men and 53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9 years (range: 18-80). The locations were the proximal humerus (n=34), distal femur (24), proximal femur (6), proximal tibia (3), proximal fibula (2), humerus shaft (2) and femur shaft (2). 41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and 32 patients were simply observed based on the following parameters at presentation; the presence of pain, the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Results: All of the 32 patients who were initially observed had no evidence of disease progression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3.2 years, range: 1.0-14.9). Forty (98%) of the surgically treated patients showed no recurrence at the the last follow-up (average: 4.3 years, range: 1.0-14.0). Conclusion: The presence of pain,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treatment for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With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patients, these tumor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nonopera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경골 근위부 원발성 악성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 후종양 대치물의 생존율과 기능 평가

        노영학(Young Hak Rowe),김한수(Han-Soo Kim),김준혁(June Hyuk Kim),오주한(Joo Han Oh),이상훈(Sang Hoon Lee),강현귀(Hyun Guy Kang),조환성(Hwan Sung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 대치물로 재건술을 시행한 경골 근위부의 원발성 악성 골 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의 생존율, 기능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으로 종양 대치물 재건술을 시행받은 35명(골육종 32예, 연골육종 3예)을 평균 72개월간(24-167개월) 추시하였다. 12예에서 비복근 이전술을 시행하였으며 10예에서 골 시멘트로 고정하였고, 12예에서 40% 이상의 경골 절제가 필요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3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1예의 국소 재발과 5예의 원격 전이가 있었다. 주요한 합병증으로는 5예의 감염과 5예의 무균성 해리, 1예의 종양 대치물 주위 골절이 있었으며, 비복근 이전술의 시행 여부에 따른 감염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 시멘트의 사용 여부에 따른 무균성 해리의 빈도 차이는 없었으나, 40% 이상 골 절제가 필요로 했던 경우 해리의 빈도가 높았다(p=0.002). 종양 대치불의 생존율은 5년에 72%, 10년에 58%이었고, 수술 후 기능 점수는 81%이었다. 결론: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경골 근위부 재건술은 중기 추시상 종양학적 결과와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감염, 무균성 해리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rosthetic survival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a 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tibia.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patients (32 osteosarcomas and 3 chondrosarcomas) were followed-up for an average 72 months (24-167 months). A gastrocnemius flap was transferred in 12 patients and cement fixation of the stem was performed in 10. More than 40% of the bone length was resected in 12 patients. Results: Three patients had died of the disease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one local recurrence and five distant metastases. The major complications were infection (5), aseptic loosening (5) and peri prosthetic fractures (1). Gastrocnemius flap affected the incidence of a deep infection in the proximal tibia (17.4% vs. 8.3%)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correlation. A resection of >40% of the involved tibia increased the incidence of aseptic loosening (p=0.002). The rate of prosthetic survival was 72% at 5 years and 58% at 10 years. The functional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81% (43-93%). Conclusion: A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the proximal tibia showed acceptable oncologic and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at an intermediate term follow-up. Infection and loosening were the main factors threatening the survival of the pros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