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9년 담양 제월리 유적의 조사와 그 의미

        조진선,강은주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6 No.-

        담양 제월리 유적은 1959년 5월에 청동기시대 석기들과 삼국시대 고분이 조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들은 2017년 『전남대학교박물관 60년사』 편찬과정에서 1959년 조사 당시에 작성된 간략보고가 첨부된 공문서들을 발견하였다. 이 자료들에 따르면, 담양 제월리 유적은 마을 주민들이 청동기시대 석기들을 수습하면서 알려졌으며,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삼국시대 고분 4기와 고려시대 무덤 2기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최몽룡이 1976년에 담양 제월리 고분으로 보고한 것은 그중 6호분에 해당한다.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는 1959년 5월 30일에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문교부에 보고함과 더불어 발굴 허가를 얻고자 공문서를 발송하였다. 그러나 행정절차상의 문제 때문에 불법 발굴로 결론 내려졌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담양 제월리 유적은 기억 속에서 잊혀져갔다. 다행히 김원룡이 1964년에 담양 제월리 고분에서 출토된 동경 2점을 소개하였고, 최몽룡이 1973년과 1976년에 담양 제월리 유적 전반을 소개하면서 호남지역 고고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유적으로 인정되었다. 담양 제월리 유적은 조사과정에서 행정절차를 충실하게 이행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조사가 제대로 마무리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양 제월리 유적 조사는 해방 이후 경주와 개성 등 고도를 조사하는 데 머물러 있었던 한국고고학을 다른 지역, 특히 호남지역으로 이끄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또한 영산강유역에서 백제 석실분의 존재도 알렸다. 담양 제월리 유적은 1950년대 한국 고고학 조사과정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사적으로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당시에 마무리하지 못한 담양 제월리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지금이라도 다시 실시해서 마무리 지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해남반도권 지석묘의 등장과 확산과정

        조진선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1 No.-

        해남반도는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하며, 해남만과 월출산에 의해 영산강유역과 구분된다. 필자는 해남반도권을 14개 소 지구로 구분해서 지석묘 분포밀도를 살펴 보았는데, 분포밀도가 높은 지구(a·b등급), 낮은 지구(c·d등급), 지석묘가 없는 지구로 나누어진다. 지석묘 분포밀도가 높은 지역은 북동부의 성전·강진-도암(북) 지구에서 해남반도 중부를 거쳐 서남부에 있는 화산·현산-송지(북) 지구로 이어진다. 이를 벗어난 지역은 분포밀도가 낮거나 지석묘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해남반도권 지석묘의 분포밀도 등급선을 작성해 보면, A등급선은 성전→계곡→마산→산이 지구와 강진-도암(북)→옥천→해남-삼산→화산 및 현산-송지(북) 지구로 이어진다. B등급선은 북서부의 화원반도와 남동부의 강진만 서안지역으로 이어진다. 해남반도 남단의 북평지구와 송지(남)지구에서는 아직까지 지석묘가 확인되지 않았다. 해남반도권과 탐진강유역권을 함께 살펴보면, 이 지역에서 지석묘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갈수록 분포밀도가 낮아진다. 또한, 탐진강 상류 지역은 Ⅰ기부터, 탐진강 중류~해남반도 동북부 지역은 Ⅲ기부터, 해남반도 중부와 서남부 지역은 Ⅳ기부터 지석묘가 조영되기 시작한다. 이는 지석묘가 탐진강 상류 지역부터 점차 해남반도 쪽으로 확산된 것을 나타낸다. 광주·전남지역 지석묘에서는 Ⅲ기부터 세형동검-점토대토기문화 유물들이 확인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해남반도권 지석묘의 상한연대는 기원전 3세기를 크게 상회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로 보아, 해남반도권에서 지석묘가 가장 활발하게 조영되는 시기는 기원전 3세기경부터 기원전후경까지이며, 기원후 1~2세기에도 지석묘가 조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細形銅劍의 製作와 機能變遷

        趙鎭先 호남고고학회 2001 湖南考古學報 Vol.13 No.-

        세형동검은 주조되고 나서 검인을 세우기 위해 여러차례에 걸쳐 연마되었기 때문에, 그 속성은 주형속성과 연마속성으로 나누어진다. 세형동검을 주형과 비교해보면, 사총(연마)되면서 검신길이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지만 검신너비는 상대적으로 많이 축소된 것이 확인되며 척능선과 절대·결입부도 연마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도구의 연마는 사용과 직결되어 행해지기 때문에 일정한 규칙성을 갖게 되는데, 세형동검 역시 예외는 아니다. 세형동검의 상단과 결입부의 합인연마각은 대부분 30~40°이지만 하단부는 46°이상인 것도 다수이다. 30~40°정도의 합인연마각은 사용 가능한 검인을 세우기 위한 것이지만 46°이상은 주조 후 쇳물찌꺼기를 제거하거나 연마로 인한 검신의 비대칭적 변형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단부의 합인연마각은, 성립기에는 46°이상이 대부분이지만 발전기부터는 40°이하가 증가하고 쇠퇴기에는 대다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예산 동서리·아산 남성리와 같은 성립기유적 출토 '신식 동검'의 하단부 합인연마각은 56°정도로 발전·쇠퇴기와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어서 후행 양식의 동검으로 볼 수 없다. 세형동검에 있어서 척능선 길이의 확대, 즉 사용 가능한 검인을 세우기 위한 연마가 검신 하단부로 확대되는 것은 세형동검이 베는(斬) 기능을 향상해가는 과정에 있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상단에서 봉부쪽과 제1절대쪽의 연마각 편차 감소도 이러한 경향과 관련된 것이다. 세형동검의 기능적인 변천은 동검의 무게중심에도 반영되어 있다. 검신의 무게중심은 발전 ·쇠퇴기로 이어지면서 제1절대에서 상단쪽으로 이동되며 검파두식도 경량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세형동검을 조립했을 때 동검의 무게중심은 검파쪽에서 검신쪽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형동검의 기능변천 요인은 보다 효과적인 무기의 개발을 필요로 했던 당시의 사회적인 상황이 중요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베는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단력이 강화된 재료가 필수적인 만큼 당시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전에 바탕을 두고 있었을 것이다. The Slender daggers (細形銅劍)of the Bronze Age in Korea were repeatedly ground to sharpen the edge(劍刃) after being cast. So the attributes of the Slender daggers can be divided into casting attributes (鑄造屬性) and grinding attributes (硏磨屬性). Comparing the Slender daggers with its casting molds, the length of the Slender daggers did not change remarkably but its width narrowed relatively great extent because of the using and grinding. Ridge line(脊稜線), knot(範帶) and side groove(抉入部) also came to be formed during the grinding process. Generally, the grinding method of a tool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its using method, and the case of the Slender daggers can not be exception. The bifacial ground angles(蛤刃硏磨角) in the upper part and side groove of the Slender daggers are mostly 30∼40 but many of them have wider angle, around 46 in the lower part. The bifacial ground angles between 30 and 40 are formed for making cutting edges but those over 46 are believed to remove slag or to adjust asymmetrical transformation of the body of the Slender daggers by grinding. The bifacial ground angle of the lower part is for the most part over 46 during the early period. The Slender daggers which have the bifacial ground angle under 40 began to increase gradually from the middle period and became popular in the late period. Regarding the Slender daggers in Korea, the expansion of the length of ridge line, giving it a clearer explanation, the expansion of the grinding to the lower part to widen the available cutting edges, reflects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capacity for cutting of the Slender daggers.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Slender daggers is also reflected in the center of weight of the daggers. The center of weight of the daggers moved gradually from the first knot to the upper part, and the handle decoration tended to become lighte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of weight of the Slender daggers transferred from the handle part to the body part. In conclusion, the reason of such changes of the grinding method and the center of the weight is supposed to be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the function of the Slender daggers from pierce to cutting.

      • KCI등재

        채널 길이의 변화에 따른 단일 게이트 피드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메모리 윈도우 특성

        조진선,김민석,우솔아,강현구,김상식,Cho, Jinsun,Kim, Minsuk,Woo, Sola,Kang, Hyungu,Kim, Sangsi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7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소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단일 게이트 피드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과 채널 길이에 따른 메모리 윈도우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소자의 채널 길이는 50 nm에서 100 nm까지 변화시켜가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0에 가까운 문턱전압이하 기울기(< 1 mV/dec)와 ${\sim}1.27{\times}10^{10}$의 $I_{on}/I_{off}$ 비율을 얻었다. 또한 메모리 윈도우를 확인한 결과 채널 길이 50 nm의 소자는 0.31 V의 메모리 윈도우가 생성되었으나 채널 길이 100 nm의 소자는 메모리 윈도우가 생성되지 않았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imulat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ingle-gated feedback field effect transistors (FBFETs) and the influence of channel length variation of the memory window characteristics through the 3D device simulation. Th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various channel lengths from 50 nm to 100 nm. The FBFETs exhibited zero SS(< 1 mV/dec) and a current $I_{on}/I_{off}$ ratio${\sim}1.27{\times}10^{10}$. In addition, the memory windows were 0.31 V for 50 nm-channel-length devices while no memory windows were observed for 100 nm-channel-length devices.

      • KCI등재후보

        낭성 섬유증이 없었던 환자에서 폐이식 후 발생한 Burkholderia cepacia 폐렴

        조진선,나성원,박무석,소윤경,이반,고신옥,백효채 대한중환자의학회 2013 Acute and Critical Care Vol.28 No.3

        Burkholderia cepacia is a highly virulent pathogen known to cause opportunistic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It accelerates lung disease and causes necrotizing pneumonia with associated severe sepsis, known as cepacia syndrome. In particular, lung transplant recipients infected with Burkholderia cepacia show higher mortality after lung transplantation than those who are not infected with this organism. Due to broad-spectrum antibiotic resistance, a combination therapy sh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sceptibility test. This bacterial infection is rare in Korea, and no case was reported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However, we report a case of pneumonia caused by Burkholderia cepacia after lung transplantation. As Burkholderia cepacia was grown from a sputum culture, the patient was treated initially with a combination of meropenem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then ceftazidime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s a result of leukopenia. After antibiotics treatment for 20 days, sputum cultures became negative for Burkholderia cepacia and the patient successfully recovered.

      • KCI등재

        장방형동부의 주조 및 사용 실험

        조진선,김주호,노형신,김수민,제지원,최지희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20

        본고는 전 영암 거푸집 가운데 장방형동부 거푸집을 모델로 진행한 주조실험과 사용실 험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외범은 각섬석암으로 제작하였고, 내범은 흙으로 만들어서 장방형동부를 주조하였다. 외범은 쇠정과 콘크리트못으로 쪼아내기를 한 다음 숫돌과 각섬석암편으로 연마해서 제작하였다. 그리고 흙으로 만든 내범은 어느 정도만 소성하 면 주조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내범을 제거할 때도 경제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장방형동부 6점을 주조하였다. 각섬석암제 외범은 첫 번째 주조가 끝 난 후부터 탕구와 탕도에서 실금이 확인되었고, 주형 표면이 박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 한 현상은 주조가 거듭될수록 심화되었다. 장방형동부 6점을 주조하고 나서 살펴본 거 푸집은 상당히 심각한 상태를 보이고 있어서 각섬석암제 동부거푸집은 5~6회 정도가 한계일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구봉리 출토 장방형동부와 비교해보면, 내범은 아마도 모 난 부분을 없애서 둥글고 길게 만들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 구봉리 출토품의 사례에 따라 주조된 장방형동부를 편인으로 연마해서 나무 베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상편인으로 자루를 장착해야만 베인 면이 고울 뿐 아니라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구리와 주석의 비율이 적당해야만 인부가 구부러지거나 깨지지 않 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고고학적 연구는 청동기의 제작과정뿐 아니라 청 동기의 기능과 사용 문제를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게 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ast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The external mold was made of Hornblende and interior mold was made of clay. The external mold was produced with repeated pecking and grind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nterior mold which was fired in low temperature, there was no problem to use. Thus, it was ascertained that this method was effective in terms of the saving time and labor, when the interior mold was eliminated. In this experiment, 6 pieces of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s were cast. After the first casting finished, the external mold made of Hornblende began to crack. This phenomenon became more serious in the process of repetitive casting. After casting 6 pieces of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s, the mold was crashed on fairly serious status. The rectangular bronze axe was grinded in one side to experiment on felling the wood. It turns out that the experiment came to be successful. Besides, it was confirm that the ratio of copper and tin must be suitable to prevent the part of edge from bending and bre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