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闢衛新編 評語〉를 통해 본 ?齋 朴珪壽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론

        조지형(Cho Jihyoung)(趙志衡) 인천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1 누리와 말씀 Vol.- No.29

        윤종의(尹宗儀)의 『벽위신편(闢衛新編)』은 ‘척사론(斥邪論)’과 ‘해방론(海防論)’의 두 축을 근간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의 반영물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편찬물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시 서양 세력의 침입과 천주교의 확산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중국과 조선 지식인들의 지적 고민이 망라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박규수(朴珪壽)의 〈벽위신편 평어(闢衛新編評語)〉는 『벽위신편』에 대한 평어(評語)이자 발문(跋文)의 성격을 지닌 글이며, 해방론 쪽으로 치우친 『벽위신편』에 자신의 척사론을 덧붙여 척사론과 해방론의 두 축을 균형감 있게 보완하려는 성격의 글이다. 아울러 천주교에 대한 억압과 탄압만으로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는 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이에 자신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 논설이기도 하다. 본고는 〈벽위신편 평어〉가 이렇듯 본래 천주교에 관한 척사론의 입장을 담고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선행 연구에서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측면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수용하는 가운데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박규수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에 논하였다.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천주교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은 크게 5가지로 나타난다. ① ‘천(天)’ · ‘천주(天主)’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② ‘서학중국원류설(西學中國源流說)’의 긍정과 동도(東道)에 대한 우월의식, ③ ‘천주강생설(天主降生說)’에 대한 비판, ④ 교파(敎派) 분열의 실상 고발, ⑤ 천주교의 침략성과 포교(布敎) 의도 대한 비판. 이 가운데 ④와 ⑤는 기독교의 교파 분열 상황과 서양의 역사적인 사실을 들어 천주교를 비판한 방식으로 다른 척사론자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박규수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판 방법을 제기하였다. 박규수의 이러한 천주교 대응 방식은 유학(儒學)의 우월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억압과 탄압 방식으로는 천주교 확산을 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명확하게 깨닫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尹宗?的《??新?》以“斥邪?”?“海防?”?理?核心,?述了在“西???”的情?下“如何阻止西方的入侵”?一??。?不能??地定性??人作品,可以??反映了??中朝知?分子?共同面?“西方?家的入侵及天主?的?散”?一危机而?生的普遍疑?。 朴珪?的〈??新???〉?是?《??新?》的??,又是具有跋文性?的文章。同?,??在偏重于海防?的《??新?》中附加自己的斥邪?,意在平衡“斥邪?”?“海防?”???理?核心的比重。而且,著者提出“?依?抑制和打?天主?的措施,?根本上阻止天主?的?散是有局限性的”?一??,??此?述了自己??行之有效的??方案。 在〈??新???〉中,?管包含了?天主?的“斥邪?”的立?,而在以往的硏究中未能?著者“?天主?的?????方案”的角度上?行深度硏究。基于?一点,?者在充分收容先行硏究成果的前提下,探?了在〈??新???〉中出?的朴珪??天主?的?????方式。 〈??新???〉中出?的?天主?的批判,主要分以下五点:①、?天主?使用“天”、“天主”等??的批判;②、?“西?中?源流?”的肯定??方儒?的?越意?;③、?“天主降生?”的批判;④、揭露?派分裂?情;⑤、?天主?的侵略性???企?的批判。其中,④、⑤是通?例?基督?的?派分裂情??西方的?史事??天主??行批判的,?是在其他“斥邪?”?者的??中?不到的一??新的方式。最后,朴珪?以阻止天主?的?散、??天主?徒?目的,提出了通?硏究天主?相??籍而?行批判的方法。朴珪?的?一?天主?的??源自著者他本人??方儒??越性的自信。而且,他??楚地??到用?迫???的方式在阻止天主??散方面具有局限性?一点,?而探索了上文所述的解?方案。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경시화(西京詩話)』의 편찬 과정과 인용 서목(書目) 연구

        조지형 ( 43)cho¸ Ji-hyoung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본고는 18세기 평양 출신 문인 김점(金漸)이 『서경시화(西京詩話)』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활용한 여러 서목(書目) 및 문헌 자료들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김점은 『서경시화』를 편찬하면서 고대 시기부터 18세기 초반에 이르는 기나긴 시간축과 평안도지역이라는 공간축을 결합하여 이와 관계된 모든 문학적 유산들을 총괄하고자 하였다. 또한 10여 년간의 긴 편찬 기간이 소요되었던 만큼, 많은 문헌 자료들을 참고하고 섭렵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탐색 결과 김점은 『서경시화』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① 지리지 및 관찬서류 6종, ② 평안도지역 문인들의 문집 및 저술 18종, ③ 역사서류 8종, ④ 시화(詩話) 및 잡록류 10종, ⑤ 개인 문집류 10종, ⑥ 중국 시문관계 자료 6종 내외 등, 총 58종 내외의 국내외 문헌들을 폭넓게 참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결국 이 같은 참고 인용 서목의 범위는 편찬자 김점의 문학적 역량과 수준을 보여주는 동시에, 『서경시화』를 편찬하는 데 기울인 노력의 면모를 확인케 한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ore various lists of books and literature materials used by Kim Jeom, a writer from Pyongya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Seogyeongsihwa』.In compiling 『Seogyeongsihwa』, Kim Jeom tried to combine the long time axis of time from ancient times to the early 18th century with the spatial axis of the Pyeongan-do area to oversee all the literary heritages related it.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he referred and ranged over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as it took more than a decade to compile,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Kim Jeom extensively referred to a total of 58 kind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ch as ① 6 kinds of geography and official document, ② 18 kinds of literary works and writings by writers in the Pyeongan-do area, ③ 8 kinds of historical documents, ④ 10 kinds of poetry and miscellanea, ⑤ 10 kinds of personal anthology, and ⑥ 6 kinds of materials related to Chinese poetry and prose, in the process of compiling 『Seogyeongsihwa』After all, the scope of the bibliography showed the literary competence and level of the compiler, Kim Jeom,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firmed his efforts to compile 『Seogyeongsihwa』.

      • KCI등재

        특집(特輯) : 기후변동과 역사 ; 17세기, 소빙기, 그리고 역사추동력으로서의 인간 -거대사적 재검토-

        조지형 ( Ji Hyung Cho ) 이화사학연구소 2011 梨花史學硏究 Vol.0 No.43

        The Little Ice Age (LIA) is the coolest multi-century period in the history of humanity for the last 10,000 years and one of several global millennial scale climate anomalies. The cool climate and alpine glacial advances were recognized in many areas across the globe. In general, four primary external forcing agents are acknowledged to have brought about the LIA: solar variability, volcanic activity, sulfate aerosols and greenhouse gas. But volcanic activity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short-term cooling, and sulfate aerosol forcing remained negative during the LIA. The cool LIA climate is attributed in part to the land-use changes in Eurasia and in America, and led to the severe consumption of the organic energy resources. Reforestation caused by the Black Death and the pandemics in America were factors in the cool LIA climate; the anthropogenic forcing agent changed, but not fundamentally, the geology of the planet before the coming of the Anthropocene. The LIA increased the use of fossil fuels -- including coal in Europe as well as in China.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LIA did bring about the Anthropocene. Unlike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ecological space in England could not bear the burden of providing sufficient energy to its society in order to boost economy and rule the colonies. The English desperately needed a more efficient energy system in their limited ecological space, whereas other countries were able to adopt new efficient energy systems to grow their economies at an unprecedented speed in more competitive worl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 양상

        趙志衡 ( Cho Ji-h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본고는 燕巖 朴趾源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이 그의 손자 瓛齋 朴珪壽에게 계승·확장되는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암이 지닌 천주교 인식과 대응의 양상을 살피는 것은 18세기 노론 인사들의 서학-서교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점을 살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암은 노론 핵심인 반남박씨 가문 출신으로 北學派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다. 북학파 문인들은 일찍부터 서양의 과학기술과 자연과학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燕行을 통해서 자신들의 학문적 논의를 진전시켜 나갔다. 하지만 북학파 문인들은 종교적인 부분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다른 북학파 문인들과는 달리, 연암은 천주교에 대해서 허황된 학설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즉 연암은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천주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친서학-반서교의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양상은 沔川郡守 재임 시기의 행적에서 잘드러난다. 이 시기 연암에게 천주교는 어리석은 백성들을 꾀어내어 비루한 습성들을 지니게 하는 매우 위험한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에 있어서는, 천주교도들을 붙잡아 형벌을 가하고 배교를 강요하는 등의 강력한 대응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신에 수령이 지극한 정성과 진실된 마음으로 백성들에게 신뢰와 감동을 주어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연암은 이러한 방식을 직접실행에 옮겨, 천주교에 빠진 백성들의 마음을 돌리고 배교시키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같은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은 가문 내 후손들에게 계승·확장되었으며, 연암의 손자였던 박규수가 남긴 「闢衛新編評語」에서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박규수는 몇 차례 진행된 국가적인 천주교 박해가 실효성이 없었음을 강변하는 한편,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연구하여 그 모순점을 비판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서는 백성들을 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천주교도를 한 사람도 처형하지 않았다. 이러한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은 조부 연암이 보여준 모습과 상호 참조가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e aspect of correspondence of Park Ji-won. In addition, it has been looked into how Park Ji-won's perception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and extended to his grandson Park Kyu-su.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examining one aspect of the Catholic and Western learning perceptions that the Noron scholars had in the 18th century. Park Ji-won was from a core family of Noron and a representative literary person of Northern Studies. The scholars of Northern studies were very interested i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ural science, and they advanced their academic discussions through history travels to Chinese. Park Ji-won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ought it's an absurd theory. In other words, Park Ji-won was taking the position of ‘pro-Western learning, anti-the Catholic’ that was positive about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negative about Catholicism During his tenure as a Myeoncheon governor, Catholicism to Park Ji-won was recognized as a very dangerous idea that enticed foolish people to have poor habit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way of corresponding Catholicism, he raised the problems of a strong response to arrest and penalize Catholics, and instead insisted that Suryeong should be moved and taught the people with sincerity and trust. In fact, he put this in practice by himseld and made good results. Park Ji-won's perception of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by his grandson, Park Gyu-su. Park Gyu-su argued that the several Catholic persecutions at 『Byeokwuisinpyeongeo』 were ineffective, while he insisted that actively accepting and studying Catholic books and criticizing its inconsistency to prevent the spread of Catholicism. Also, at the time of the Byeongin Catholic Perceptions in 1866, he focused on educating the people as a Pyeongan-do governor and did not execute even a single Catholic. Such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as similar to his grandfather, Park Ji-won.

      • SCOPUSKCI등재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이 만성 이식신 신병증과 이식신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조지형 ( Ji Hyung Cho ),류혜명 ( Hye Myung Ryu ),진미경 ( Mi Kyung Jin ),전주현 ( Joo Hyun Chun ),현승혜 ( Seung Hyea Hyun ),최지영 ( Ji Young Choi ),허인경 ( In Kyong Hur ),이은영 ( Eun Young Lee ),박선희 ( Sun Hee Park ),김용림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4

        목적: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관여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와 이식신에 대한 cytoprotection에 관여하는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만성 이식신 신병증 (CAN)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과 이식신 생존율 및 CAN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신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유전자 분석에 동의한 221명과 건강한 대조군 148명을 대상으로 TGF-β1 유전자의 C-509T 및 T869C, VEGF 유전자에 있는 C-2578A, C405G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신이식 후 CAN이나 만성 calcineurin inhibitor 신독성으로 진단된 경우를 신병증군 (n=21)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정상 이식군 (n=200)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신이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확인된 TGF-β1 (C-509T, T869C) 및 VEGF 유전자의 SNP (C- 2578A, C405G)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평형에 따른 기대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신이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있어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의 유전자형과 대립형질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GF-β1의 C-509T와 T869C 및 VEGF의 C-2578A와 C405G는 강한 유전적 상관 관계를 보였고 (D`=0.78-0.98), 두 군 간 각각의 일배체형 간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전체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의 유전자형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식신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저농도 혹은 고농도의 cytokine 생산과 관련된 유전자형에 따른 이식신 생존율도 각 cytokine 모두 유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사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은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에서 이식신 생존 또는 만성 이식신 신병증 발생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promotion of renal allograft interstitial fibrosis and thereby chronic allograft nephropathy (C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a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cytoprotection of the graf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he TGF-β1 (C-509T and T869C) and the VEGF gene (C-2578A and C405G) on graft survival and the development of CAN. Methods: Genotyping was carried out using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hich was performed on the LightCycler480 in 221 Korea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nd 148 healthy contro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N or chronic calcineurin inhibitor nephrotoxicity, the recipients were separated into the CAN (n=21) and the No CAN (n=200) groups. Results: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SNP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 distributions of genotypes and alleles did not differ between recipients and contr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the CAN and the No CAN groups. The frequencies of haplotyp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GF-β1 and VEGF gene polymorphisms on graft survival.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four selected SNPs of the TGF-β1 and the VEGF genes on the development of CAN and graft survival in Korea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 KCI등재

        麗末 鮮初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과 그 의미

        조지형 ( Cho Ji-hyou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본고는 여말 선초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말 선초는 시조의 형성기로서 역사 전환기의 주체였던 신흥사대부들이 그 담당층이었다. 이 같은 국면에서 귀화인들 역시 시조를 창작하여 자신들의 정치적인 입장 및 지향을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우리말에 서툴 수밖에 없던 귀화인들이 우리 고유의 노래 형식인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것은 매우 특기할 만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심양 출신으로 공민왕을 호종하며 귀화한 변안열은 역성혁명의 기로에서 <불굴가>를 지어 무장으로서의 굳건한 충절을 드러내었다. 위구르 출신으로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로 귀화한 설장수는 대명외교를 전담하는 사신으로 활약하며 정치적 부침 속에서 <신언가>를 지어 언행 처신에 조심할 것을 경계하였다. 여진 출신으로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왕족의 반열에까지 오른 이지란은 조선 건국 후 왕자의 난이 지속되는 국면에서 왕위의 향방과 조선의 운명에 대한 염려 섞인 걱정을 <축록가>를 통해 드러내었다. 이처럼 여말 선초에 귀화인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의 인물들이 한시와 더불어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점은 여말 선초 사대부들의 문학장 안에서 시조가 중요한 문학적 행위의 일환으로 인식되었으며 작가로서 일종의 긍지를 가질 만한 성격의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시조 창작의 개방성은 이미 형성기부터 마련되어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reation of Sijo by naturalized poe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the formation of Sijo, where Shinheung-Sadaebu was the main creative class of Sijo. In this phase, naturalized poets also created Sijo, revealing their political position and world awareness.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who had no choice but to speak poor Korean, created Sijo, a unique Korean song format, is very special in itself. General Byeon An-yeol from Shenyang, wrote the lyrics of < Bulgulga不屈歌 >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dynasty, expressing his strong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Seol Jang-su, a native of Uighur who was in charge of diplomacy to Ming China, wrote the lyrics of < Shineonga愼言歌 > and warned against caution in his speech and conduct. Lee Ji-ran, who was born in Jurchen and rose to the rank of the Joseon royal family, wrote the lyrics of < Chukrokga逐鹿歌 >, expressing concern about the fate of Joseon.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and high-ranking politicians created Sijo with Chinese poetr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indicates that Sijo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literary act in the literary field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Sijo's creation has a personality that deserves pride as a writer. In addition, the openness of the creation of the sijo was already in place from the formation period.

      • SCOPUSKCI등재

        피부 악성 종양에서의 mdm - 2 단백 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조지형 ( Ji Hyeung Cho ),노영석 ( Young Suck Ro ) 대한피부과학회 199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4 No.4

        Background: The human homologue of mouse double minute 2(mdm-2) gene codes for a cellular protein that forms a complex with the mutant and wild type p53 protein and modulates its trans-activation activity. Overexpression of the mdm-2 protein is associated with the tumorigenic potential of mdm-2 gene and overcomes the growth suppressive activity of p53. Objective & Method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he mdm-2 and p53 expression in malignant skin tumors, we performed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using NCL-MDM-2p polyclonal antibody and DO7 monoclonal antibody, respectively, in 10 squamous cell carcinomas (SCCs), 8 basal cell carcinomas(BCCs), 5 malignant melanomas(MMs), and 6 fibrosarcomas (FSs). Results : The expression of mdm-2 protein was detected in 40% of SCCs, 25% of BCCs, 40% of MMs and 33% of FSs, whereas 40% of SCCs, 25% of BCCs, 20% of MMs, and 17% of FSs showed p53 positivity. One case of SCCs and one case of BCCs showed immunoreactivity with both anti-mdm-2 and anti-p53 antibodie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mall sample siz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mdm-2 and p53 protein, as overexpression of these two genes was not mutually exclusive.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action between the mdm-2 and p53 genes and products in these malignant tumors appears to be heterogenous and more complex than previously realized. Further studies on molecular basis are required to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mdm-2 overexpression and its relation to p53. (Kor J Dermatol 1996;34(4): 538-545)

      • KCI등재

        1906년~1910년 京鄕新聞 소재 천주가사의 특성과 그 지향

        조지형(Cho Ji Hyoung) 국어문학회 2009 국어문학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Gasa[天主歌辭] in vol. 41, 「Bogam(寶鑑)」, 『Kyunghayng daily newpaper[京鄕新聞]』 published between 1906 and 1910,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intention represented by the Catholic-Gasa in those periods. This study, based on those investigation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nge pattern of the Catholic-Gasa and examined some aspects of Catholics of those periods in terms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social activities. It was considered, as a result of discussions, that the Catholic-Gasa in 『Kyunghayng daily newspaper』 (l) expended the range of author and increased the amounts, (2) made contents and subjects to being various, (3) tended toward single pattern, and (4) shifted to visual reading materials. The Intention of the Catholic-Gasa in 『Kyunghayng daily newspaper』 was (l) confession of faith and hymnals, advice on the religious life, (2)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due to the national right pillage, (3) open-hearted thoughts on the Western cultures and emphasis on the education within school, and (4) the formation and diffusion of ne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nse of community. The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concerning the process of pillaging national right, the encouragement on the open-hearted thoughts on the Western cultures, and the emphasis on the education within school shows clearly the position on the actual issues and the social role of Catholic in the period of urgent history. It is estimated that the 『Kyunghayng daily newspaper』 intervened actively in current social issues and voiced their own, therefore, that the Catholic-Gasa works in it also showed such strong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