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내 교수성희롱의 성차별적 특징 : 세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주현(Joo-Hyun Ch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08 젠더와 문화 Vol.1 No.-

        이 연구는 교수성희롱이 어떻게 단순히 잘못된/서투른 성적 표현이 아니라 성차별이 되며 대학내 여성의 주변적 위치를 지속시키는 기제로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은 세 대학에서 발생한 교수성희롱을 중심으로 심층면접과 관련 자료에 근거해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후, 각 단계마다 사건관련자들이 성희롱의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을 해석하고 그 사회적 맥락을 드러내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사례에서 성희롱 피해자는 사건이 전개되는 동안 학교생활 전반을 통해 지속적으로 피해를 경험함으로써 이것이 성차별의 문제임을 입증하고 있었으나 학생과 교수의 차등적 권력관계가 매 단계마다 성희롱을 성차별로 보지 못하게 하는 다양한 논리를 구성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사례는 대학내 성평등 체계가 마련되어있지 않은 상황일 때 성희롱은 성차별과 무관한 것으로 인지되고 그 결과 성희롱은 현재의 성별 위계 구조를 유지, 강화시키는 효과를 낳음을 보여주었다. This work attempts to analyze why sexual harassments by professors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sex discrimination rather than simple wrong/awkward sexual expressions, thereby, serving as the tools for the continuation of women's subordinate status on campu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rguments discussed in this work,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sexual harassment is a case of power abuse and there should be stronger regulations on the Quid Pro Quo harassment where the institutional and patriarchal powers are superimposed. However,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on whether the hostile environment harassment should be regulated by the law by extend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atriarchal power and/or whether the practical enforcement of “victim's standpoint” arguments should be adopted. This work examines how and in what contexts the institutional and patriarchal powers operate by focusing on the Quid Pro Quo harassment as the main issue of the sexual harassment on campus. The cases analyzed are the sexual harassments by professors occurred recently in three universities. Based on 14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two group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way the cases are deployed and experienced on campus. In the analysis of each stage of the deployment, this work tries to understand the ways those members involved construct the meaning of the sexual harassment by situating their experiences in the social contexts. In these cases, though the victims of the sexual harassments suffer incessantly through the everyday life on campus, thus proving that these are the cases of sex discrimination, the department-centered “we-ness” and the unequal power rela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help to generate various prevarications at each stage that make those involved hard to identify the sexual harassments as sex discriminations. This work shows that when the gender equality on campus has not been established, sexual harassments are not recognized as relevant to sex discriminations and, as a consequence,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nd/or strengthening of the present gender hierarchy.

      • KCI등재
      • KCI등재

        르 꼬르뷔지에 건축에 나타나는 흐름의 공간으로서의 필로티에 관한 연구

        조주현(Cho, Joo-Hyun),신범식(Shin, Buhm-Shi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a Pilotis as a space of flow in Le Corbusier"s works. The first of his principals, "pilotis" shown in "5 principals in new architecture" represents the articulated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ite. The study is based on the flow concept of Pilotis regarding especially its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visual perspective. Le Corbusier describes his architecture as a circulation representing the modern society. The Pilotis space is often reserved for this circulation while this space is also suggested as a place for the leisure or the garden uninterrupted. So it seems to be meaningful to find out the real usage of the Pilotis space in Le Corbusier’s work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culated space and its use proposed. The second question is concerning to the Pilotis space as a space of flow of the light and the air. This issue is not only related to the plastic aspects of the buildings, but also caused from the social, or environmental problematic of those days. Finally, the continuity of the regar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raised volume by Pilotis.

      • KCI등재

        심의민주주의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조주현(Cho Joo H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오늘날 민주 시민성과 관련하여 심의민주주의 이론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심의민주주의 이론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그것이 지닌 도덕과 교육의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심의민주주의론자들은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본 논문은 이러한 심의민주주의의 주장에 중대한 결함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시민적 우정이나 공동체 사랑과 같은 공화주의적 가치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가치들은 인위적인 덕목들이기 때문에 국가 공동체가 정성들여 가르칠 것을 주장하였다. Today deliberative democracy is the most prominent theory on democratic citizenship.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moral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Deliberative democrats argue that citizens or their representatives should continue to reason together to reach mutually acceptable decisions. However, the main argument in this study is that deliberative democracy reveals some critical deficiencies. Democratic deliberation requires republican values such as Aristotle’s philia politike(civic friendship) and caritas(loving one’s country as a larger royalty) in order to complement these deficiencies. These kinds of artificial virtues should be taught by the political community with respect to Plato’s Paideia.

      • KCI등재

        한국여성학의 지식생산구조와 향방

        조주현(Cho Joo-hyun) 한국여성학회 2000 한국여성학 Vol.16 No.2

        이 글은 학문적 정체성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제도적 확장을 이루어내야 하는 내적, 외적 조건하에서 한국여성학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해 보려는 한 시도이다. 연구자는 『한국여성학』의 게재논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적 조건의 향방을 모색하였고, 1999년에 여성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한국여성학 방법론 논의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 내적 조건의 향방을 모색하였다. 연구자는 여성학의 외적 조건에 대한 대응으로 학회 차원에서는 연구영역의 다변화와 분과학문의 확장을, 대학원 여성학 전공과정에서는 연구영역의 전문화와 그 영역에 관한 대학 단위의 학제간 연구의 강화를, 학부과정에서는 교양교육체계의 참여와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제안했다. 여성학의 내적 조건에 대한 대응으로는, 젠더 개념의 강화와 독립적인 여성정체성의 구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여성정체성은 재현된 여성과 실재 여성을 모두 포함하는 전제 하에 재현과 실재가 엮여 있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같은 여성학적 지식구성에 있어 연구자는 각자의 지식체계가 부분적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 연구대상의 능동성을 보여주려는 것, 그리고 자신의 설명에 책임지려는 태도를 통해 여성학적 지식의 윤리성을 지킴으로써 그 정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았다. For the last 20 years, Korean WS as an institution has successfully entered into the academic community by establishing WS program in graduate schools and providing "Introduction to WS" courses in the undergraduate level nationwide. It also succeeded in disseminating women issues in academe as well as in public. However, as Korean WS moves toward the next stage, it now confronts new problems, both internal and external, that demand WS scholars to provide a new vision for the future both in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WS knowledge formation.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to find out ways to overcome the present constraints and reinforce WS as a discipline. This paper specifies constraints that WS now faces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al issue of how to strengthen WS as an institution in the campus without losing its independency as a discipline. The second is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WS knowledge as a solid discipline. As for the first asp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Han'guk Yeoseonghak and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the so-called "Humanities in peril" in the campus, this paper proposes three agendas for the futur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WS. First, Korean Women's Studies Association needs to expand its interdisciplinary character not only among the participating disciplines, but over to the more diverse non-participating disciplinary fields, such a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econd, given the lack of resources, each WS program in a graduate school needs to concentrate its own specialties based on the WS faculties' trained fields, then utilizing the resources in each campus. Third, as for the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elective courses, WS needs to prepare for the emerging new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because it can provide appropriate conceptual preparations to the students who will have to live in the era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s for the second aspect, based on the critical reading of the researches by the feminist scholars, this paper discusses the three issues of experience, women's identity, and self-reflexivity. First, the gender perspective needs to be strengthened in dealing with women's "experience," and the further conceptual refinement of women's identity is required. Second, the women's identity includes both "represented" women and "real" women. The point is to show the way in which the symbolic and the real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Third, WS knowledge production requires that we, the feminist scholars, need to recognize that each of us has a partial knowledge based on one's own training, reveal the agency of the subjects, and be responsible to our own works. Keeping its ethical character in mind, we could produce WS knowledge that has strong influences in both academic circle and society in general.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민주시민성의 위상과 과제

        조주현(Cho Joo h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0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구현되었던 시민성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도덕과교육에 있어서 바람직한 민주 시민을 위한 윤리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주 요 목표다. 아테네 시민성은 현대 민주시민성의 원천이라고 할 만큼 그 영향력이 지대하다. 아 테네 민주주의는 ‘이소노미아’와 ‘이세고리아’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 전통은 현대 민주주의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간 아테네 민주시민 성의 특징은 페레클레스의『추도연설』처럼 인상적으로만 묘사되어 왔다. 과연 페리클레스의 민주주의가 표방한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성은 성공한 모델인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아테네 민주주의는 지나친 격정과 흥분이 이성 의 힘을 무력화 시키고, 결국 잘못된 방향의 결정을 초래했다는 결함이 있었음에 주목하였다. 아루기누사이 해전사고는 이에 대한 전형적 사례다. 하지만 가장 심각한 사례는 소크라테스의 처형이었다. 이 사건들이야말로 본질적으로 절제가 결여된 아테네 시민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여준 사건이다. 따라서 도덕과교육에서 시민 윤리교육을 할 때 이제 새롭게 주시해야할 대 목은, 아테네 민주시민성의 결함에 관한 함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본 연구는 절 제된 시민성을 제안한다. 도덕과교육에서는 ‘절제’를 주요 덕목으로 삼는 민주 시민성을 교육 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mora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by paying keen attention to Athenian democracy and its citizenship. Democratic Athens has been depicted as a wondrous regime of freedom, self-rule and creativity rather than as a warning about chaos and tyranny of mob rule. Many works on Athenian democracy exemplify a familiar effort to draw from the experience of ancient Athens lessons for a modern world, one which often sees itself as the heir to Athens' democratic principle and self-rule. In contrast to the popular view of modern times, this study argues that Athenian democracy tended to produce irrational and passionate citizens rather than resonable and responsible on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thos of unbridled greed is not only Athenian democracy's chronic problem but also modern democracy's nagging problem. Temperance has been depicted as the foundation of democratic values. However, it is regarded as a negligible or unimportant virtue in modern times. This study's conclusion is that the ethos of self-control and self-restraint in democratic citizenship should be promoted vigorously in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사회적인 것’의 위기와 페미니스트 정체성의 정치

        조주현(Cho, Joo hyu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7 No.-

        이 글의 목적은 ‘사회적인 것’의 위기의 창발현상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그 원인과 성격, 그리고 몇 가지 대안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 위기가 페미니스트 정체성의 정치학에, 특히 린다 제릴리의 정치적 자유론에 함의 하는 바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의 논지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로즈, 라투르, 긴티스의 진단에 근거하여, 위기의 주요 원인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다양한 사회구조의 작동 양식 때문이라는 것과, 향후 사회학 적 연구의 방향은 미시적인 수준에서 사회 개념, 제도, 조직 등등의 발생, 유지, 변형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면밀히 조사하는 것으로 재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푸코의 통치성 이론 등을 그 예로 하여 보여준다. 둘째, 페미니스트 본질론 논쟁과 페미니스트 정체성의 정치를 ‘사회적인 것’의 위기 논의의 맥락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치적 자유에 대한 제릴리의 연구와 그녀가 페미니즘을 세계-구축의 실천으로 보는 것이 함의하는 바를 검토한다. 제릴리의 정치적 자유론은 푸코의 자기 배려로의 윤리 문제와 아렌트의 정치적 판단론과 수렴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글은 지난 수십 년간 페미니스트들이 획득한 통찰이 ‘사회적인 것’의 위기 문제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의 위기에 직면해서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아낸 것으로 보이며, 제릴리의 작업 은 그중에서도 가장 전망이 밝은 대안들 중의 하나다. 셋째, 이 글에서 다룬 여러 이론가의 이론들이 조셉 루스가 최근에 더욱 정교하게 다듬은 실천 이론의 분석틀로 수렴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 이들 이론들에 대해 자주 제기되는 상대주의라는 비난에 대한 간략한 논의를 덧붙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isis of the social emphasizing the properties of the social as emergent phenomena in complex adaptive systems and its implications on feminist identity politics, especially on Linda Zerilli’s theory of political freedom. Starting from the diagnosis by Rose, Latour, and Gintis, it locates the main cause of the crisis at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operating modes of various social structures and shows the necessity of reorienting the direction of sociological research toward studying detailed creation, maintenance, transformation and annihilation processes of various social concepts, institutions, organizations, etc. at the microscopic level. Relying mainly on Foucault’s theory of governmentality and works by other authors, this paper tries to illustrate its arguments in more detailed manner. Discussions of Foucault’s work on power/knowledge naturally lead us to the question of resistance, freedom, and the ethics as the care of the self which in turn relates to Hannah Arendt’s theory of political judgment and its recent elaboration by Zerilli. After situating the feminist foundations debate and feminist identity politics in the nexus of our discussions on the crisis of the social,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Zerilli’s work on the political freedom and her understanding of feminism as a world-building practice. This shows that intuitions gained by feminists during last decades shed revealing light on our problem of the crisis of the social. Feminists, facing their version of the crisis and harrowed by more practical and politically immediate questions, seem to have invented quite innovative solutions after fierce debates and intense search, Zerilli’s work being one of the most promising ones.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theories of various authors considered in this work can be comfortably accommodated in the framework of practice theory recently elaborated by Joseph Rouse and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accusations of relativism frequently raised against the theories considered in this work.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시민의 덕의 위상과 과제: 시민적 우정을 중심으로

        조주현 ( Cho Joo Hyun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시민적 우정이라는 주제는 고전적 공화주의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것에 비해 현대의 공화주의에서는 대체로 무시되어져 왔다. 최근에 시민적 우정을 부활시키려는 시도는 고전적 공화주의자인 아리스토텔레스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우리는 마치 고전적 공화주의와 현대 공화주의 사이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해야 하는 문제처럼 비춰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시민적 우정을 부활시킴에 있어 제3의 관점인 니체의 관점에 주목하면서, 고전적 공화주의와 현대의 공화주의로 분리하는 이분법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는 다른 방법으로 시민적 우정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니체의 다원주의적 방법론은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방법론이 가진 거부감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우정에 관한 니체의 접근방법이 개인적 요소를 강조하는 현대 윤리학을 감안할 때 큰 거부감 없이 윤리와 시민적 우정을 재연결하는 유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While the topic of civic friendship was actively discussed in classical republicanism, it has been largely ignored in modern republicanism. Since recent attempts to revive civic friendship are based on the classical republican Aristotle, we are seen as a matter of choosing between classical republicanism and modern republicanism.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Nietzsche's point of view, which is the third point of view in reviving civic friendship, and is different from neo-Aristotelianism without falling into the dichotomy of classical republicanism and modern republicanism. We intend to explore ways to connect civic friendship and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Nietzsche's pluralistic methodology can greatly alleviate the objection to the neo-Aristotelian methodology. This study argues that Nietzsche's approach to friendship can be a powerful way to reconnect ethics and civic friendship without much objection given the modern ethics that emphasizes the individual element.

      • KCI등재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

        조주현(Cho, Joo-hyu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4 No.-

        이 글은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틀에 기반을 둔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그 한계를 드러낸 과정을 살펴본 후 제4물결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여성 자유의 정치학을 도입함으로써 보편과 상대의 틀을 벗어나는 실천적 전환을 이루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아렌트가 제안했고 제릴 리가 발전시킨 정치적 판단론을 소개하고, 실천이론과 그 정치적 표현인 아고니즘 정치가 여성의 행위성과 종속 문제를 포함한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정치학의 다양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이론적 도구가 됨을 주장한다. 논의를 위해 필자는 먼저 제릴리가 분석한 이태리의 밀라노여성서점조합 운동사를 살펴본 후, 신자유주의 체제로 완전히 전환된 한국 사회에서 최근 10년 사이에 일어났던 주요 페미니스트 정치학사례들인, 2004년의 성노동자운동, 2008년의 촛불시위, 그리고 2012년의 나꼼수-비키니시위 사건의 분석을 통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 사회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지형의 주요 특징들을 드러낸다. 필자는 이 주요 특징들을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를 여성의 행위성과 소위 ‘신여성성’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함께 사회적 실천의 역동성을 잘 드러내주는 예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얻은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결론의 의미를 신자유주의 지구화 시대에 요구되는 진보 정치의 전략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한다. 또한 형식적인 제도와 비형식적인 규범의 역할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되찾으려는 사회적 실천이론이 진보 정치의 전략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한다. After a brief introduction to the controversy of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practice theory as a proper theoretical framework to deal with it, I discuss various issues raised on universalism and relativism in the context of feminist epistemology and politics based on my previous works. I first explain the theory of political judgment by Arendt and its further elaboration by Zerilli and claim that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as its political implementation provide natural theoretical tools encompassing their theories of political judgment and freedom. As an illustration, I review and comment on the Milan Women’s Bookstore Collective case analyzed by Zerilli. Then I turn to the analysis of three major cases of feminist politics in action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The sex workers’ movement, Candlelight demonstrations, and “Naggomsu-Bikini protest” controversy reveal characteristic aspects of rapidly transforming feminist political terrains in late modern Korean society. Their analysis not only serves as illustrations of dynamics of feminist social practices at work but also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f women’s agency and the phenomenon of ‘new femininities.’ In conclusion, I present possible implications of my analysis on progressive political strategies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ith a short comment on the distinction between formal institutions and informal norms among social practices.

      • KCI등재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조주현(CHO, Joo-hy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이 글은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을 다루는 실천이론이 여성학방법론과 페미니스트 정치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한다. 첫째, 사회적 실천은 공동체 내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행위와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상호주관적인 규범적 판단들을 통해 생성, 유지, 변화, 또는 소멸되는 일련의 행동 패턴들을 말한다. 이러한 사회적 실천을 다루는 ‘실천이론’은 사회적 실천이론, 철학적 실용주의, 그리고 복잡적응계 이론에 기반한다. 필자는 다양한 실천이론 유형들의 간략한 분류와 검토를 통해 이들 이론과 필자가 제안하는 ‘실천이론’과의 차이를 부각시킨다. 둘째,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서구에서 발전돼온 페미니스트 이론들의 수용과 그에 대한 탈식민적 비판들에 대해 어떤 함의를 갖는지 분석하며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그러한 수용과 비판에 대한 좋은 처방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셋째,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함의하는 바를 페미니스트 정치와 관련해서 검토한 후 지난 수십 년간 효율적이었던 젠더정치를 보완/확장할 수 있는 페미니스트 정치적 전략으로 아고니즘 정치를 도입할 것을 주장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theory of social practice as symbolic complex adaptation system in feminist methodology and feminist politics. I start by introducing practice theory, explaining social practices as a set of stable and evolving patterns of practices in a community maintained by intersubjective normative judgments performed by its agents on their acts and judgmental criteria. The three main components comprising this version of practice theory, called the theory of symbolic complex adaptive systems, are identified as social practice theory, philosophical pragmatism influenced by the tradition of German idealism and phenomenology and further modified by the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sciences a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finally theorie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Next I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e turn I am advocating on the problem of and criticisms on adopting feminist theories developed under western influences. I claim that the practice turn of feminist methodology will be the best prescription against such suspicion. Finally I advocate agonistic politics as feminist political strategies to supplant the gender politics that has been so effective during recent dec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