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자동차 산업 정책의 변화와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상하이시를 중심으로

        조정원 ( Cho Jung Won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9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3 No.-

        중국 중앙정부와 상하이시를 비롯한 주요 대도시 정부의 신에너지자동차 구입 보조금 정책과 자동차 번호판 등록 비용 면제는 신에너지자동차의 판매 증대에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상하이시에서는 신에너지자동차 중에서 배터리 전기자동차보다 유사시 급유가 가능한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의 선호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 활동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 모두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1차 충전 후 주행 거리 연장에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로 인해 중국 중앙정부와 상하이시 정부는 차량의 성능에 따라 신에너지자동차 구입 보조금 지급 기준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상하이시 정부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구입 보조금 기준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하이시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배터리 전기자동차보다 훨씬 더 많이 판매되는 현상은 2018년에도 지속되었다. 상하이시 정부는 시민들과 공공 기관,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없는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대기오염 물질 배출 제로에 운행 중에 공기 정화까지 가능한 수소자동차의 강점에 대하여 교육과 홍보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상하이시 정부의 정책 변화, 시민들에 대한 교육과 홍보만으로는 시민과 공공 기관, 기업의 신에너지자동차 구입과 사용 패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다. 상하이에서 신에너지자동차 구입 및 사용 패턴의 변화가 성공하려면 배터리 성능 강화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1차 충전 후 주행 거리의 획기적 연장, 수소자동차 관련 산업 기반과 인프라의 확충, 수소자동차의 충전 후 주행 거리 향상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Shanghai city govg University) Absernment's change about new energy vehicle, reason of plug-in hybrid vehicle sales volume in Shanghai. Although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Shanghai city government's policy change, Shanghai citizens and companies keep on buying plug-in hybrid vehicle more than battery electric vehicle. It shows governments' policy change do not change Shanghai residents' and companies' purchasing pattern of new energy vehicle in the short term. Upgrade of battery performance, extension of battery electric vehicles' mileage after battery charging, development of fuel cell vehicle industry can change their attitude and pattern of purchasing and utilizing new energy vehicl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대 화론을 통해 고찰한 공간 미의식 개념에 관한 연구

        조정원 ( Jungwon Cho ),신정근 ( Jeonggeun Shi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은 다양한 외부요인에 따라 변화되고 인식되어 왔다. 현대는 서구 사상 중심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간디자인의 외적 아름다움의 내적 의미를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관점을 물질과 정신으로 나누어 고찰하여, 공간디자인은 정신의 표현이고 형식을 통해 현상을 정립하는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중국고대 화론에 나타난 동양의 자연관과 도가사상을 중심 관점으로 하여, 공간을 고찰하고, 인식과 현상에 대입하여 서로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형식을 통해 표출하는 것에서 공간디자인의 의미를 증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의 관점을 동양의 자연관으로 분석하는 미적 관조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정신이 현상으로 표출하고 체험하는 것이, 공간 디자인이라는 관점에 내재된 미의 식의 연구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진행 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고대화론의 미학적 근원에 대해 밝히고 회화 이론의 생명성과 가치체계의 근본을 파악한다. 둘째, 중국고대 화론의 형식과 예술관에 정의된 물질과 정신의 관계와 예술미의식의 중요한 개념인 기운생동에 대해 연구 분석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화론의 서문 회화 형식 중 품평론의 비평기준을 연구하여, 공간미 의식적 특징과 그에 대한 연계성을 파악하여 공간디자인에 대한 의미를 연구 한다. (결과) 공간은 공간자체로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함께 생동하는 공간으로써, 공간은 기(氣)에서 상(象)으로 그리고 형(形)으로써 현상되어 관찰되어진다. 이와 같은 동양적 세계관에서의 공간은 단순히 허(虛)라는 텅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며, 기(氣)로써 충만한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기로 충만한 공간의 본질적 의미가 살아나게 되며, 공간디자인을 미의식의 현상으로 인식하고, 정신과 신체 즉 감각 그리고 경험으로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공간에 대한 인식의 현상들이 물질과 연결하여 공간을 표현함으로써, 심미적 공간성을 얻을 수 있다는 새로운 방법 체계를 갖는다 할 것이다. 이는 의식과 무의식을 인식하고, 문화의 형상(形象)을 정신의 시각적 이미지화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결론) 공간은 사람과 호흡하며 인식하는 곳이다. 공간디자인은 시대와 사회적으로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해 변화되고 인식되어 정의 내려지고 있다. 더욱이 사람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물질과 정신의 관계성으로 연결되어 지각되어지는 사유의 교차점이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공간디자인의 시각적 현상의 아름다움에 내재된 공간 미의식에 대하여, 동양 철학적으로 정의하고 디자인 한다는 것은, 공간에 대하여 새롭게 의미체계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는 공간을 연구하고 디자인하는 하나의 방법론적 제안이며, 이를 토대로 공간 내면에 대한 가치 있는 연구를 계속 해 나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ternal spaces have often been changed and recognized depending on diverse external factors. Recently, studies with a new perspective are being attempted regarding internal significance connoted in external beauty of space design based on Western thoughts. This research classified space into substance and spirit, and it established the hypothesis that spatial design is spiritual expression and phenomenon―substance―is created through forms. The study focused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nd ideology of Taoism, as demonstrated in ancient Chinese painting theory. It posited the view that the significance of spatial design is proven in of expression through forms of mutual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 as substitutes for consciousness and phenomenon. This research covers ?sthetisches Betrachten, which analyzes space design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In addition, it examines aesthetic consciousness with the internalized perspective that spatial design is created when the spirit is expressed through space and experience and phenomenon are expressed through form. (Method) The study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origin of ancient Chinese painting theory was identified, as well as the lif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theory and the basis of value system. Second, the researcher studied and analyzed ether (Ch`i, or matter-energy) and its role in vitality , an important concept in artistic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spirit as defined in the forms and artistic views of ancient Chinese painting theory. Lastly, the researcher studied the standard of criticism to identify conscious characteristics of spatial beauty and its connections. (Result) Space includes not just the voids themselves but the areas filled with life and space phenomenon is observed from ether (氣) to Erscheinung (象) (appearance) and also as eidos (形) (essence).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ental view of world, space is not a void with the concept of emptiness (虛) but is filled with ether (氣). In this sense, the essential meaning of everything―solid, liquid, or gas―containing ether is revived,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spatial design recognizes space as the result of aesthetic consciousness phenomenon and is related with spirit and body, or sense and experience. In spatial design, conscious phenomena connect with substances to express space and achieve more abundant aesthetic spatiality to recogniz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cultural forms expressed as visual images. (Conclusion) Space is where people breathe and recognize . Spatial design has been recognized and defined as dependent on diverse external factors that vary by period and society. Also, space is an intersection of thoughts recognized by connection between substance and spirit in the interaction with human beings. This study used a new system of meaning for spatial design that defined and designed the spatial aesthetic as a conscious visual beauty internalized and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This is a methodological proposal to study and design space and further meaningful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cusing on inward space.

      • KCI등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동 러시아의 에너지, 물류 투자의 현황과 계획

        조정원 ( Jungwon Ch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1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의 극동 러시아의 에너지 관련 투자는 구미 자본과 일본기업들이 주도하였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동 러시아의 경제, 사회 개발 과정에서 추진되는 에너지, 물류 분야의 투자는 자국의 자원 수입 루트를 다변화하고자 하는 중국과 천연 자원이 부족한 일본이 러시아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주도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 모두 원유와 천연가스, 석탄 수입을 위한 물류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일본은 극동 지역의 액화수소 운송과 풍력 발전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가 바라는 극동 지역의 에너지, 물류 인프라 확충과 자유항 정책이 성과를 내려면 외국 자본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최근 러시아가 루블화 가치폭락, 국제 유가의 하락으로 인하여 연방정부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대형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고 러시아의 동북아시아로의 에너지 수출을 늘리고자 하는 과정에서 극동 러시아에서는 대규모 투자가 가능한 중국 자본과 일본 자본에 대한 의존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남북 관계의 경색으로 인하여 러시아와 북한을 연결하는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과 마찬가지로 선박을 이용한 자원 수입을 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의 대규모 투자가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러시아의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입하려면 중국, 일본이 투자하여 극동 러시아에 건설하는 에너지 물류 투자 계획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편승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fore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n 2008, energy investment in Far Eastern Russia was originated from Western oil majors and Japanese capital. However, after 2008, energy and logistic investment came from China and Japan. Furthermore, economic sanction to Russia due to the Ukraine problem, prevents Occident fund’s investment in Russia. It made Russia depend on Chinese national companies and Japanese fund. Among the investment donor countries, China and Japan aimed to construct energy and logistics networks between their homelands and Far East Russia to import more useful resources. The Russian federal government has also propelled the construction of a free port in Vladivostok and a new port in Zarubino in association with China,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coal exports port in Severny, Primorsky Kray, through partial investment from the Chinese National Development Bank. Bold investments to develop the energy industry and logistics in Far East Russia are also desired. However, Russia faces a difficulty in investing abundant funds due to the plunging value of the ruble and the decreasing international oil price. For this reason, she will continue to attract more funds from China and Japan. Korean central government and companies should research the energy and logistic investment in Far Eastern Russia between China, Japan and Russia, find appropriate plans to import Russian energy.

      • KCI등재

        웹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시스템

        조정원(Cho, Jung-Won),정승도(Jeong, Seung-Do),이윤정(Lee, Yoon-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논문에서는 원본 이미지에 저작권자의 저작권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차후 불법적인 도 용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와 로고로 구성된 워터마크 생성, 삽입 및 검출, 검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 템은 콘텐츠의 특성과 저작권자의 요구에 따라 워터마크를 숫자 또는 로고로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작권 보 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관리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도록 설계하였다. 이러 한 디지털 이미지 워터마킹의 적용을 통한 소유권 및 저작권 보호는 궁극적으로 문화콘텐츠 등의 콘텐츠 제작 의뢰자로 하여금 제작 의지를 강화하여 제작 의뢰 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watermarking system which create, insert and detect watermark comprised of number or logo to protect copyright and to prevent illegal plagiarism through inserting copyrighting information of owner into the original image. In the proposed system, the number or logo as watermark is selectively insert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contents or requirement of copyrighter. The system also has convenient user interface which general administrator who hasn't expert knowledge for the protection of copyright uses easily. Ownership and copyright protection us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ology intensifies creating volition of clients who want to create contents such as cultural contents, Thus, we can expect increasing requests for creating contents such as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공무원 범죄동향과 부패인식지수(CPI)와의 관계

        조정원(Cho Jung Weon),최영출(Choi Young-Chool) 한국부패학회 2007 한국부패학회보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jor features of crimes committed by public officials and access the relationships on CPI and criminal trend of public official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The unfairness and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s has been decreased continuously. The national effort seems to reduce it. 2. The criminal motive of public officials has the following orders ; carelessness > the others > accidental occurrence > and greed. This shows that the crime committed by public officials has a close relationship to do with their everyday lives. 3. There is a strong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ies of the special Act Criminals and CPI.

      • KCI등재

        푸틴 4기 러시아의 석탄산업 정책과 석탄 수출 :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연계와 협력을 중심으로

        조정원(Jungwon C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4

        본 논문은 2018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본 연구주제의 관련 문헌과 통계 분석을 통해 러시아의 석탄산업 정책과 석탄 수출의 방향이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러시아의 석탄산업은 국내 화석연료 소비에 있어서 석탄은 원유와 천연가스에 비해 수요가 크지 않기 때문에 해외 수출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럽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와 코로나 19 팬데믹에 따른 경제 활동 축소에 따른 석탄 수요 감소는 러시아의 유럽으로의 석탄 수출 감소를 유발하였다. 러시아 연방정부는 2018년 5월 블라디미르 푸틴의 4번째 임기가 시작된 후부터 러시아 석탄산업의 대 유럽 수출 감소로 인한 경제적 손실 보완을 위해 철강 산업과 석탄 화력발전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중국;한국;일본 등의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과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의 주요 탄광들과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연결;극동 러시아 항구들의 석탄 수출 능력 증대를 위한 항만 설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2021년 9월부터 국내 전력 공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에 석탄 수출량을 늘리고 있고 러시아와 중국의 기업들이 엘가탄전과 극동 러시아의 탄광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극동 러시아의 항구들의 석탄 운송 규모의 제한;국제사회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 기후변화 대응 요구는 러시아가 희망하는 대로 동북아시아로의 석탄 수출을 증대하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자국의 석탄산업의 채굴 및 생산만으로는 국내 석탄 화력발전소들에게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어려우며 일본;한국은 철강 산업과 화력발전소의 석탄 수급의 안정을 위해 지리적으로 인접한 러시아산 석탄의 도입이 필요하다. 러시아도 극동 시베리아의 석탄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와 한국;중국;일본 간의 석탄 무역과 협력은 동북아시아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Russia s coal industry policy and coal exports to strengthen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related literature from May 2018 to October 2021 of the study topic. Overseas exports were the primary profit drivers of Russia s coal industry since domestic coal demand was lower than crude oil and natural gas in domestic fossil fuel consumption. However;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Europe to move to carbon neutrality and the reduction of economic activit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resulted in Russia s European coal exports to decrease. Since the inception of Vladimir Putin s fourth term in May 2018;the Russian federal government focused on strengthening cooperation and links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South Korea;and Japan;where continued demand for coal have to some degree;compensated for the economic losses caused by falling European exports. Russia s major coalmines and the Trans-Siberian railway are being connected and modernized to strengthen collaboration between Russia and thes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Furthermore;port facilities;such as those in Vladivostok;are being modernized to increase Russian coal export capacity in the Far East. Additionally;Russia has been increasing coal exports to China;which has been suffering from domestic power supply problems since September 2021. Russian and Chinese companies are jointly developing coalmines in Elga;in eastern Siberia to address this problem. Russia’s restrictions on the amount of coal transported via the Trans-Siberian railways linking Northeast Asia and Russian Far East ports;together with the dema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and response of climate change are hindering Russian attempts to significantly increase coal exports to Northeast Asia. However;China;Japan;and South Korea need the geographically adjacent Russian coal to stabilize the supply and demand of coal in their steel industry and thermal power plants. Russia should also continue to cooperate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revitalize the coal industry and regional economies of Siberia and the Far East. Therefore;coal trade and cooperation between Russia;South Korea;China;and Japan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energ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몽골-중국 경제협력: 사회간접자본 구축과 에너지 협력을 중심으로

        조정원(Cho, Jungw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1 슬라브학보 Vol.36 No.3

        This paper analyz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Mongolia and China, which focuses on establishment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energy supply facilities, Mongolian coal exports to China. It is based on analyses of government policy documents and related literature. Mongolia and China collaborated construction of internal road network in Mongolia, and transport network connecting from Mongolia to Northern China and Russia. The internal network in Mongolia sought to connect from Ulaanbaatar to neighboring regions, Erlianhaote and Ganchimaodu. The immediate benefit for Mongolia was the injection of much needed capital, skilled manpower and technology from China, all of which Mongolia lacked. Beyond this, Mongolia stood to gain from social overhead capital projects and energy supply facilities, as well as alleviate difficulties in the domestic transportation. Externally, the expansion of Mongolia’s transport network aimed to increase coal exports to China. In addition, Shenhua Group and Chinese central government are trying to increase exports of Mongolian coal to China by expanding the railway network connecting the Chinese border with the Tavan tolgoy coal mine. However, Mongolia has som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with China. The downswing for Mongolia‘s role in the process of domestic road network construction was that all the work was done by Chinese companies, because Mongolian firms did no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set by the Asia Development Bank and the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ccordingly, Mongolian local companies had a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its own social overhead capital construction projects which gave fund from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dditionally, Mongolia’s dependence on China intensified, as experienced Chinese companies took charge of all of these construction projects. To protect their trust, the Chinese companies completed their assignments on schedule. Their performance, however, did not transfer the technical skills to Mongolian workers, including training i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operating of technical equipment.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the railway network connecting Mongolia, China and Russia was expected to delay, pending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and verification. Despite these challenges, Mongolia was expected to continue cooperating with China, to ease difficulties in domestic transportation, stabilize energy supply and increase coal exports to mainland Chi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