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마니아어의 다양성

        이문수(Mun_Suh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비록 로마인들이 현재 루마니아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 에 170여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체류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 문화 및 라틴어의 보급이 매우 집약적으로 실행됐다는 것은 오늘날 루 마니아어가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로 남아 있다 는 사실이 그 증거가 될 것이다.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 중에서도 이탤릭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부 언하자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제국의 민중들에 의해 구두로 표현됐 던 속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서도 이탈리 아어와 함께 소위 동로망스어의 일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지역적으 로는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된다. 루마니아어의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 려해보면 음성·음운적 및 문법적인 기본 구조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 어들, 특히 이탈리아어와 매우 유사한 편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가 구 사되고 있는 발칸지역의 역사・사회·문화 및 지리적인 여건 등으로 인해 루마니아어는 일찍이 여타 자매 언어들과의 교류가 두절됐으므로 라틴 어의 정상적인 진화과정을 밟지 못했으며 그 공백을 발칸지역의 기층 어적인 요소들과 훗날 이 지역으로 이주해온 여러 민족들의 언어들로 부터 채울 수밖에 없었다.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현대 루마니아어에 여 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면들이 내재돼 있다는 사 실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루마니아어가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는 우 선 정관사의 전접어 형태나 또한 오늘날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중성명사의 사용 및 음성․음운적인 면에서 순음화현상이 나 [i]모음화현상외에도 기타 몇몇 독특한 음소들(ă/ǝ/, â=î/ɨ/, ş/ʃ/, ţ/ʦ/)과 수많은 외래어휘의 존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대개 발칸 및 카르파트지역의 토착어적인 요소들이나 훗날 발칸지역 일대로 대거 이 주해와 정착한 민족들, 특히 슬라브 민족의 언어적인 영향에서 비롯한 것들로 간주되고 있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언 어임에도 불구하고 여타 자매 언어들과는 달리 발칸지역의 독특한 역 사 및 사회・문화적인 전통과 더불어 여러 민족들의 언어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면들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모습이 발칸 로망스어인 루 마니아어의 진면목이라고 사료된다. This article aims at a study on the diversity of Romanian.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genealogy, in a broader sense Romanian belongs to the Indo-European langueges family, especially to the Romance languages group which are derived from Vulgar Latin, whose structur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lassic Latin. However,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viewpoint, Romanian is classified into Balkan Romance. Each of the Romance languages has ow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o the language of the local native population, in our case Thraco-Dacian and secondly to the language of influential peoples immigrated later in this area, above all Slavonic etc. Among the features of Romanian, there are the neutral gender and the enclitic definite article. For example for the meaning 󰡐the field or the plain󰡑in English one says in Romanian the neutercâmpul but in the other Romance languages the masculineel campo,il campo,le champ etc. which are derived fromLatin the masculineille campus. Besides, one ha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Romanian alphabet system has some distinguishing characters from the other Romance languages, namely two vowel phonemes(ă/ǝ/, â=î/ɨ/) and two consonants(ş/ʃ/, ţ/ʦ/)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s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of has been changed diversely in the modern Romance languages. For examples, the Spanish words noche, leche etc. or Italian notte, latte or Romanian noapte, lapte have the same Latin origin, namely nocte, lact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omanian it is declared that the Latin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 As a matter of fact, in Romanian is popular the so called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influence of the substratum. Respecting lexical aspect one can say that Romanian has so many heterogeneous elements influenced by the languages of Balkan areas with which it came into contact. For instance, from Slavonicda for yes orsută for hundred; from Hungarian hotar for border or hârdău for bucket; from Turkish hamal for porter or huzur for leisure etc. In conclusion we may say that Romanian preserves the greate parte of Latin structures in phonological andmorpho-syntactic aspects withsomefeatures due to the native laguage, namely the substratum and the influential language after Roman Empire, the so called superstratum. These are the true characters of the Romanian language which is considered as Balkan Romance.

      • KCI등재

        코소보민족문제를 통해 본 발칸의 정체성재건

        안성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0 No.-

        20세기 말 이후 코소보민족문제가 진행 중인 발칸지역은 구유고 연방국가들의 유고 연방 이탈 및 체제 전환에 따른 민주화와 시장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글로벌 정치와 경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코소보의 민족분규 해결방안과 발칸의 정체성 등은 EU, NATO의 관심증대에 따라 코소보 주민들의 자체적 결정을 존중할 것이냐의 문제로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다수의 뜻에 따른 독립국가, 민주화, 그리고 민족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유럽국가들과 발칸의 정체성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유럽은 정치, 경제, 역사 그리고 문화적으로 세계 각 국가에 모범이 되는 지역이다. 유럽의 평화가 세계평화를 좌우한다고 인식된다. 발칸지역의 민주적 정체성재건을 위해서는 코소보독립의 문제는 코소보 내다수 주민의 뜻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향후 발칸의 평화가 바로 세계평화의 중요한 모범적인 해결 잣대중 하나가 될 것이다. 유럽 근현대사에서 발칸의 중요성 척도는 민주적이고 평화적으로 코소보문제를 해결해야하는데 달려 있는 것이 아닌가 인식된다. 이것이 발칸의 정체성재건의 핵심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코소보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발칸지역의 정체성재 건은 다수민족의 의사를 존중해주는 민주적 평화가 발칸지역에 자리 잡는데 있음을 강조하였다. As the Federation of Yugoslavia is transformed into separate nation-states, due to collapse of communism system, development of democratization and marketing economic system, The ethnicity and conflict of Kosovo in the Balkans have important influence on global politics and economic change after 1990. Recently solving ideas of Kosovo ethnicity and the Balkans's identity are focused on self-decision of Kosovo which is independence of Kosovo or taking part in the Federation of Serbia with interests of EU and NATO. Democratic history of the European countries is the model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ll over the world. And I think that the peace of Europe is the determinant of the peace of the world. I hope that Kosovo's independence issue should be decided by Kosovo for reconstruction of demoractic identity in the Balkans. In future peace of the Balkans will be one of the influential models that evaluates world peace by level of the Balkans' peace. Criteria of the Balkans'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rely on solving Ethnicity of Kosovo through global peaceful and democratic methods. I will introduce that these are determinants of the Balkans' reconstructed identity. This study discuss global democratic peace which respect the major opinion and co-existing other races and ethnics. And this article shows that for reconstructing the Balkans' identity, democratic peace for solving Kosovo ethnicity problems should be built in the Balkans

      • KCI등재

        동유럽 국가와 유로존간의 경기 상호의존구조 분석

        박해선(Park, Haesun),이철원(Lee, Chul-won),이상직(Lee, Sangj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2004년이후 동유럽국가들은 EU에 가입하기 시작하면서 서유럽 중심의 유로존과 경제협력과 교역증대를 통해 경제성장 기반을 확보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통화통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통화통합으로 경제교류가 증대되기 위해서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의 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파악한다면 이 지역의 경기변동 양상과 대응정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유럽 7개국(체코,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과 유로존의 2000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월별 산업생산지수를 데이터로 하여 경기동조화현상 존재여부 2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규명하였다. 동유럽국가들이 EU에 가입하기 시작한 2004년 5월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하였다. 잔차항의 상관계수분석을 보면 후반기에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 사이의 상관관계가 전반기보다 증가하여,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현상이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전후반기의 경기정보 전달구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기에는 유로존의 경기변동 정보가 헝가리상관체코에만 영향을 주고 나머지 동유럽국가들에는 전달되지 않았으나, 후반기에는 헝가리를 매개로 하여 모든 동유럽국가들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EU가입후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에 경기변동의 동조성이 더 커진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나, EU가입전후로 동유럽국가와 유로존의 상관관계에 변화가 없다는 일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론이다. Several ea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joined the EU are expected to adopt the euro in the near future. The monetary integration requires the synchronization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Otherwise the adoption of the euro might cause negative effects o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n this paper, we employ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DAG (Directed Acyclic Graphs) to analyze the synchronization and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in the area. We use monthly industrial production indices of 7 eastern European countries (Czech, Hungary, Bulgaria, Poland, Romania, Slovakia and Slovenia) and of the euro zone for our empirical analyses. Since the number of the EU member countries increased from 15 to 25 in May 2004, we divide the data into two periods: January 2000- April 2004 and May 2004 - May 2009. We foun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are lower and, in some cases, negative. In the second period,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quite different. All of them are positive and their absolute values increase. DAG provides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countries we consider. In the first period,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cycles of the euro zone affects only Hungary and Czech while in the second period, the euro zone's business cycle information has effects on all of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rough Hungary. In sum, we conclude that aft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joined the EU, economic integration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has been established.

      • KCI등재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목적 관계 구문 비교 연구

        고승희(Koh, Seung hu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폴란드어 [po + N-B]과 [na + N-B]구문을 한국어 목적 관계 연결어미인 ‘-러, -려고’와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에게 폴란드어의 목적 관계 구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두 언어에서 목적 관계구문은 한국어는 ‘-러’, ‘-려고’의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복문으로, 폴란드어는 [po + N-B]과 [na + N-B]의 전치사구를 사용하는 단문으로 표현되어 그 통사 구조를 달리한다. 폴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러’와, ‘-려고’의 두 연결어미의 사용과 용법의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듯이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 또한 [po + N-B]과 [na +N-B]의 의미적 차이와 그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본 논문은 먼저 폴란드어의 두 전치사 po와 na의 기본적인 의미와 함께 두 전치사가 목적격 명사와 결합하여 목적 관계를 나타내는 전치사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예문을 통해 그 의미적 차이를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 목적 관계 표현인 ‘-러’, ‘-려고’ 연결어미구문과의 대조를 통해 두 언어 간의 목적 관계 표현의 통사·의미적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의 목적 관계 구문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wo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na + N-B.] and two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lyeko’ and to indicate glottodidactical aspects of teaching them to Korean learners of Polish language. In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action of movement is expressed with a complex sentence by two endings namely ‘-le’ and ‘-lyeko’. The action of the first clause expresses the purpose of the verb of motion which appears in the second clause. However, in Polish language the same purpose can be expressed with a simple sentence by two prepositional phrases such as [po + N-B.] and [na + N-B.]. The above mentioned syntactical differences between both languages make it difficult to many Korean learners studying Po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understand and use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correctly.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one describes the general usage of two Polish prepositions ‘po’ and ‘na’ along with their various functions. However, it concentrates mainly on the meaning of purpose which the two prepositions obtain in a prepositional phrase. Accordingly, [po + N-B.] means ‘in order to get or to take something' e.g. Idę do sklepu po mleko.(I'm going to shop for milk.) and [na + N-B.] mea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something' e.g. Wpadnę jutro na kawę.(Tomorrow I will drop in for [a cup of] coffee). The second section contains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categories of nouns, which form prepositional phrases with those two prepositions, on the basis of a considerable number of examples exB.] med from Polish g.]mmar texBbooks for foreigners. It also explains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wo prepositional phrases mentioned above.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wo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n Korean. It also focuses on syntactical restrictions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last chapter contains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and [na + N-B.] and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t also indicates several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learners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ir proper usage.

      • KCI등재

        폴란드 문화관광산업의 현황과 전망

        최성은(Choi, S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6 동유럽발칸연구 Vol.16 No.1

        문화관광산업은 21세기에 가장 주목받는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고 도의 감성적 휴먼서비스인 문화관광산업은 IT 산업보다 통상 다섯 배 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동유럽 최대의 관광시장인 폴란 드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풍부한 문화유산, 편리한 교통, 저렴한 물 가, 친절한 서비스 등을 내세우며 국가 이미지 재고와 관광산업의 발 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EU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에 관광 정책의 역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란드 관광청(Polska Organizacja Turystyczna)에 서 발표한 각종 통계자료를 통해 폴란드 문화관광산업의 현황과 전망 을 살펴보고, 폴란드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상품을 크게 3가지 분야, 즉 문화유산, 자연자원, 문화 이벤트로 나누어 그 대표적인 사례를 연 구해 보도록 하겠다. The tourism industry is one of the most closely observed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It is known to offer five times the job creation benefit of the IT industry. Poland, which has the largest tourist market in Eastern Europe, is focusing its resources on tourism industry to enhance its national image as ‘youthful Europe’, moving away from the old image of a socialist nation by offering a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bundant cultural heritage, convenient transportation, low costs, and friendly services. The focus of their tourist policy is particularly on PR targeted at EU nations.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prospects of Poland's cultural and tourist industries through various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the Polish Tourism Organization (Polska Organizacja Turystyczna) and by dividing Poland's cultural tourist products into three areas, namely, cultural heritage, natural resources, and cultural events, we will study the most representative cases of these three fields.

      • KCI등재

        세르비아 근대 왕국의 수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2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1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about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Kingdom of Serbia with the view “how Serbianism has a effect in that". Nationalism, which began to spread to the Central and the Balkan Europe from the Western Europe after the 19C, is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Wes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nations in this area. At that time, ‘the Modern Kingdom of Serbia’ has been trying to develop it's kingdom on the basis of the Serbianism (which can explain such as ‘Cultural Nationalism'. Cultural Nationalism has consisted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factor such as language, religion, culture, custom, old history and a myth.). Especially, Serbia enlarged it's national ideology (Serbianism) after win of Balkan Wars I, II(1912, 1913). First, in Chapter II, I will explain background and process of Serbian Revolutions I, II(1804-1813, 1815-1830), and I will study how Serbianism has a effect to Serbs. In Chapter III, I will explain how Serbianism construct during Modern Kingdom of Serbia, and develop after Serbian Revolutions. And in this chapter also, I will study about effort of the Serbs for which enlarge Serbianism in Balkan. Finally in Chapter IV, I will explain, on the basis of this study, meaning of the Serbianism in Modern Kingdom of Serbia and its influence after the 19C.

      • KCI등재

        효율적인 마케도니아어 교육을 위한 불가리아어와의 비교언어학적 연구

        김원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5

        불가리아어는 기원 후 863년 불가리아 출신 키릴과 메토디 형제가 최초의 슬라브 문자를 창제한 것을 기점으로 세계 언어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슬라브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고대불가리아어 혹은 고대교회슬라브어로 불리는 고대 슬라브어적 전통을 만들고 유지하면서도, 주변의 루마니아어, 그리스어, 터키어, 알바니아어 등 어족이 다른 언어들과의 언어교류를 통하여 발칸언어연합이라는 독특한 언어군을 만들었고, 현재도 새로운 언어적 특징을 만들어가고 있는 남 슬라브어이다. 반면 마케도니아어는 구 유고연방에서 해체된 일곱 개의 나라 중 하나인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다. 이 표준어는 제 2차 세계대전 말인 20세기 중반에 형성되어 슬라브어 가운데 가장 뒤늦게 규격을 갖춘 언어가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마케도니아 영토는 9세기 슬라브어의 문자가 창제된 곳이며 왕성한 문자보급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마케도니아는 비교적 남부유럽에서 발전하여 이웃하고 있는 불가리아나 세르비아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마케도니아어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특히 불가리아 국경과 맞닿고 있는 지역인 남동부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남서부 불가리아 방언과 자연스러운 언어적 연결고리를 맺음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증명하기도 한다. 또한 마케도니아 북부 방언은 세르비아 남부 방언의 복합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기도 한다. 반면에 중부 마케도니아(Prilep-Bitola-Veles) 방언은 비교적 전형적인 마케도니아 방언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오늘의 마케도니아 언어지형도이다. 한국인, 한국 학생들에게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 그 문화는 여전히 낯설고 새로운 것일 것이다. 물론 현재까지 한국에서 다양한 슬라브 언어와 문화를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슬라브어를 공부할 수 있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도 아직 마케도니아어를 독립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전국을 통틀어 보아도 전무하다. 현실적 필요에 비하여 교육기회가 전무한 마케도니아어의 교육을 같은 언어 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Bulgarian and Russian languages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 basis. As it is well known,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are in the same language family. They are south slavic languages together with Serbian, Croation and Slovenian. But, due to the latest language identification process of Macedonian, many foreign scholars regard it as the dialect of Bulgarian or branch language of Serbia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Macedonian language. After that, the author compares the Macedonian with Bulgarian and Serbian languages. And on the basis of these comparisons, the author proposes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They are phonetic o'kanie, less important accent, consonant pronunciation shift, falling case system in noun, post-located article system, productive uses of short form pronoun, et al. In the end of the main body,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inter-cultural approach, add to the comparative methods.

      • KCI등재

        주요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들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민기채(Kichae Min),유현경(Hyunkyu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체제전환국들(독일, 비셰그라드 그룹 3개국(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러시아)을 대상으로 경제사회적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대한 다양한 거시지표들에 대하여 시계열적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은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실현한 유럽의 대표적 복지국가이다. 둘째, 비셰그라드 3국인 체코, 헝가리, 폴란드의 경제사회적 성과가 OECD 평균 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체제전환국 평균보다는 월등히 높다. 셋째, 러시아는 다른 여섯 국가들에 비해 경제사회적 성과가 낮다. 넷째, 독일 및 비셰그라드 국가들은 체제전환국의 경제구조 및 그에 따른 사회정책적 대응이 서구와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섯째, 경제사회적 성과도 있으나 출산율, 노인부양 비, 1인당 사회지출 등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도출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독일과 비셰그라드 3국은 체제이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경제사회적 성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은 서구의 대표적 복지국가라고 할 수 있으며 비셰그라드 국가들은 독일의 경로를 따라 서구 복지국가를 추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슬로베니아와 에스토니아도 탈사회주의 복지국가로 성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in the perspective of comparison: Germany, Visegrad(Czech, Hungary, Poland), Slovenia, Estonia, and Russia.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using the time-series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rmany is the best welfare state which achieved the growth and distribution among the post-socialist countries. Second, the performances of Czech, Hungary, and Poland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one in post-socialist countries although they could not attain the level of western europe. Third, Russia is the lowest country in terms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Fourth, Germany and Visegrad countries have converged toward the west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economy and the response of social policies. Fifth, they have the challenges in the birth rate, the dependency ratio and social expenditure. In total, Germany and Visegrad have successfully gone into the western welfare state’s road, and also Slovenia and Estonia have gone to the post-socialist welfare state following the west’s road.

      • KCI등재

        부르겐란트(Burgenland) 크로아티아어 현 상황 연구

        권혁재(Kwon, Hyok-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6 동유럽발칸연구 Vol.17 No.1

        부르겐란트(Burgenland)는 오스트리아 동부에 위치한 9번째 주 (州)로 면적은 3,966㎢, 인구는 27만 8600명(2001년 기준)인 지역이 다. 단일 민족국가인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이다. 역사적으로는 제1차 세계대전까지 헝가리에 속 해 있다가 1921년 오스트리아에 편입된 땅이다. 500년 전 크로아티아 인은 오스만 터키의 침략을 피해 부르겐란트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이곳에서 소수민족으로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이주 지역에 따라 4개의 방언군(群)으로 분류되는 부르겐란트 크로 아티아어는 본토 크로아티아어와는 독립된 어문전통과 표준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차방언(čakavski)을 기 반으로 하고 있고 주변 언어인 독일어과 헝가리어의 영향으로 신슈토 방언(novoštokavski)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현대 크로아티아어와는 많은 언어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토와 떨어진 ‘언어 섬(language island)’을 탈피하기위해 지속적으로 본토 크로아티아 표준어를 도입 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내부적인 갈등으로 두 언어의 차이는 쉽게 좁 혀지지 않았다. 최근 들어 현대 크로아티아어 정서법과 문법을 기반으 로한 사전과 문법이 간행되며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언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This paper take a approach on the current language situation of Burgenland Croatian. The Croats of the former Western Hungarian lands originate mostly from the 16th century. Their present number is approximately 20000 in Austria, and even smaller in Hungary and Slovakia. The Croats in Austria are bi-lingual, Croatian and German. Their literary language is a Čakavian, ikavian-ekavian variety of Croatian, which has been written since the 17th century. Efforts to standardize the language have resulted in dictionaries and a grammar recently. Language contacts between Burgenland Croatian on the one hand, and Standard Croatian, German, and Hungarian on the other are described. Language policy is not very much in favour of the Croats. Nevertheless have they achieved better presence in the mass media during the last years. The linguistic usage of bi-lingual individuals differs according to age, sex, and profession. Bi-lingual instruction is conducted in a small number of schools only. But there is for the future protection of the Burgeland Croatian is much positive factors more than contradictory factors. Therefore a careful optimism is appropriate in the Burgenland for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minority-languages.

      • KCI등재후보

        불가리아어 정서법 개혁의 역사와 주요 사안에 대한 연구

        김원회(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6 동유럽발칸연구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불가리아어 정서법 개혁의 역사와 과정, 그리고 그 현안 문제를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서론에서는 정서법의 언어학적 정의를 소개하고 불가리아어 정서법의 의미를 살펴보았고 연구의 계획을 약술하였다. 본론의 전반부에서는 불가리아에서 1945 년 정서법 개혁이 일어나기 이전에 어떠한 정서법 관련 움직임이 있었 는지 살펴보았다. 본문의 <표1,2>에서 자세히 정리되어 있는 바와 같 이 불가리아어 정서법의 역사는 통시적, 문법적 제약에서 공시적, 음 성-음운적 제약으로 이행하는 과정임을 밝혀보았다. 이 과정에서 당 시의 주요 언어학자들(카라벨로프, 퍼르바노프, 드리노프, 이반체프) 들의 주장과 플로브디프와 터르노보 언어학파의 주장을 상술하며 그 주장의 의미를 역 추적하여 보았다. 본론의 후반부에서는 1945년 불 가리아어 정서법 개혁의 의미와 그 결과 공포된 조국전선 정서법(Оте чественофронтовския правопис)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정서법의 공표로 정서법 사전의 발간이 촉발되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정서법 사전 발간의 역사와 최근에 발간된 아카데미 정 서법 사전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또한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 진 정서법 관련 학술대회의 내용과 그 협의 과정을 본론의 마지막에서 연구, 서술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process of orthography reforms in Bulgaria. For this purpose, the author divides the orthography history in Bulgaria into two parts. First part is the period before 1945 year. Second part is the period after 1945 year. Before 1945 year, there were many linguists, who insisted their own position to the orthography reforms. They were Karavelop, Porvanov, Drinov, Ivanchev. First two linguists, the members of Plovdiv and Tornovo schools, insists the use of old bulgarian alphabets and orthography. Next two are the linguists with more phonetic approach to the bulgarian orthography. By one word, the process of the bulgarian orthography reform is the process from grammatical, traditional basis to phonetic, contemporary basis. In the second parts of this paper, the author introduced the main contents of 1945's orthography reforms in Bulgaria. The main issues of this are related with ъ, ь, ѣ, ѫ, the use of definite articles and some other morphological representations. The detailed principles are described in <table 1, 2> and in the mai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