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산<SUB>三山</SUB> 류정원<SUB>柳正源</SUB>의 역학사상

        조장연(趙壯衍)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주역의 기원에 대한 두 가지 대표적인 이론인 앙관부찰설과 하도획괘설의 차이점과 그 관점을 비교해 보고, 그 두 가지 관점이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1703~1761)에게 어떻게 수용되어 이해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대표적인 저작인 『역해참고易解參攷』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삼산은 기본적으로 『주역전의대전』의 체계에 따라서 『주역』을 주석하였다. 하지만 경문 전체를 첫구절과 끝구절만을 기재하면서 생략한 것을 보면 자신의 저작 하나만으로 경전주해가 가능하도록 집필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보면 『주역』을 주석한 삼산의 근본 취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었던 『주역전의대전』에 대한 충실한 참고서의 성격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그의 『주역』 주해는 『주역전의대전』에서 의문 나는 점들을 자신의 안설案說을 통해 해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서 보다 완성된 경문의 이해와 역학적 사유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삼산의 역학은 의리역을 우선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주자가 『주역본의』와 『역학계몽』을 별도로 두면서 역의 본의와 그 기원에 주목했던 점을 고려한다면, 그의 저작인 『역해참고』와 그 부록의 성격인 「하락지요」의 편제는 주자의 역학에 상당한 신뢰를 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역을 이해하는 충실한 참고서로서의 역할에 주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the differences between two representative theories about the origins of Zhou Yi, the theory of ang-gwan-bu-charl (仰觀俯察) and the theory of Hado-hoeggwae, and how these two viewpoints are accepted and understood by Lyu Jeong-won(三山, 1703~1761) Will take a look. To this end, his representative work, Yeokhaechamgo (易解參攷), is the subject of analysis. In conclusion, Yoo Jeong-won’s dynamics tend to give priority to Uiri St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unner placed Zuyeokbonui (周易本義) and Yeokhakgyemong (易學啓蒙) and paying attention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reverse and his work, Yeokhaechamgo. It can be seen that he showed considerable confidence in Yi xue(易學) of Zhu Xi, and it can be seen that it paid attention to its role as a faithful reference to understand the role.

      • KCI등재후보
      • 자산재평가에 대한 투자주체별 차별적 반응

        조장연,이진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의 전면 도입에 따른 자산의 재평가의 폭넓은 허용이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증가시켰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비대칭 여부와 투자자 유형에 따라 재평가 결과공시 시 시장반응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애널리스트 분석보고서의 수를 정보비대칭의 대용치로 선정하였으며, 정보비대칭이 낮은 기업에서는 자산재평가 정보에 대한 시장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보비대칭이 높고 비기대재평가차익이 큰 기업에서는 초과수익률과 초과거래량으로 측정된 시장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자산재평가의 허용은 자산의 현재가치를 시장 참여자들에게 제공함에 따라 정보비대칭을 해소에 부분적으로 공헌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투자자유형별로 살펴본 자산재평가 정보 공시일의 거래행태에서 개인투자자 집단에서 유의한 순매수행태를 나타냄에 따라 정보획득에 상대적으로 열세를 가지고 있는 개인투자자에게 자산재평가에 대한 정보는 유용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대한 유용성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정보일지라도 정보비대칭 및 기업특성에 따라 그 유용성이 차별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한국선교운동의 발전에 기여한 요인들

        조장연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05 선교신학 Vol.10 No.-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cannot be accurately understood apart from its relationship to the church growth movement and the revival moveme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via historical analysis. Chapter 1 introduc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explains and defines the dissertations title, provides a brief survey of the current Korean missions movement, and outlines the background for the proposal. It also describes the plan and methodology to be used for this work. Because these are some ambiguities about the definitions of the missions movement, this chapter clarifies the definition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y of missions in Korea. Though Korea has a brief history of overseas missions experience, this chapter attempts a through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oday's Korean missions movement. This chapter details the earlychurch's foreign mission efforts in Korea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role of foreign missions after the Korean War. A brief survey of the monumental efforts toward modern missions are included. Finally, a discussion regarding college campus missions which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birth of the missions movement in Korea isfound in this chapter. Chapter 3 seeks to determine the direction that the Korean church is going in foreign missions in today's world. Accordingly, there are four major missions forces in the Korean church. There are also many denomination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author discusses the mission boards of major denominations because they represent the Korean church. This chapter attempts to show how para-church missions are successful in Korea. It also explains well college campus missions which have been pivotal in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Finally, this chapter examines how local churches participate in foreign missions. Chapter 4 concerns the main thrust of this dissertation. This chapter examines four significant factor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modern Korean missions movement. The important atmosphere of its socio-political factors is examined in this chapter. Economic factors that made rapid Korean church growth possible is studied as part of the missions movement. Theological factors also made a great impact on the Korean missions movement and are discussed in this chapter. Chapter 5 provides an overview of tomorrow's missionary efforts in the Korean church. It explains the strategic sending of missionaries under the current mission circumstances. It also discusses a paradigm shift for Korean missions. Finally, it covers missionary training and networking missions on the mission field. Chapter 6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s the ideas and thoughts in a final form, emphasizing important facts presented in the dissertation.

      • KCI등재

        종족중심 선교로의 패러다임 전환

        조장연 한국선교신학회 2007 선교신학 Vol.15 No.-

        This paper has composed of 4 chapters which are as followed. Chapter one deals with introduction which explains reasons and background of research. Chapter two is entitled “a paradigm shit of people centered missions.” Chapter Three has put much time on priority missions. Chapter four has discussed on perspective of future missions. Chapter five deals with concluding thoughts of this paper. This paper has focused on a paradigm shift of people missions concept and priority missions. The writer has also spent time with searching and collecting data with current missions statistics. He also has emphasized on impact of unreached people concept which led into world church to get involved for world evangelization. From the introduction part, the author has attempted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He gives legitimacy for this studies which is relevant to today’s world of missions-focused atmosphere. He also provides much statistics of current missions around world.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e innovation of people concept missions has played vital role not only to Korean church, but also around the world. In Chapter two author has spent time with defining the term people concept missions which is derived from Matthew 28:19 that it’s portion was all the nations(ethne). The ethne stands for ethnic, culture, language, gentiles and outside people rather than nations or countries. Author explains that how 1974 the Lausanne congress for world Evangelization gave birth of people concept missions. Chapter two gives also explanation of what other missions agencies adopted proper use of people group and the unreached people group. In Chapter three the writer has provided of necessity of priority missions. the Least reached people group missions should be applied by nations, religions, people groups and the least untargeted people group. Priority mission strategy should be the last method to reach the lost with gospel. In last two chapters authors deals with much about proposals and outlook on future missions. He suggest that future mission strategy should be based up priority missions so that global christian world would accomplish within the period. Author hope that there are so many opportunities and potential when the world evangelical church sincerely take this obligations puting into practice.

      • KCI등재

        일반논문 :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의 자부(子部)에 보이는 학파별 분류와 평가 -유가류(儒家類)를 중심으로-

        조장연 ( Jang Yun Cho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四庫全書總目提要』(이하 『提要』로 약칭)의 「子部」는 현대적 시각으로 보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독립 학문 영역에 대한 총칭이며, 고전적 의미로 접근한다면, 제자백가로 지칭되던 당대의 모든 학문 유파들에 대한 분류와 그 평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子部」는 방대한 서적을 분류하고 해제를 단 『提要』의 성격을 가늠하는 데에 효과적인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提要』의 經·史·子·集가운데 「子部」에 주목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에 『사고전서』의 편찬과정을 간략하게 검토하였고, 역대로 「子部」에 소속된 儒家類와 또 하나의 범주인 「經部」사이의 분기점을 돌이켜보았으며, 『提要』 편찬자들이 본 「子部」의 실상을 검토하였다. 학술적인 측면에서, 그 분류와 평가의 기준은 일차적으로 유교경전에 있었다. 이러한 측면이 「경부」를 최고로 두는 경·사·자·집의 분류법을 낳게 하였다. 반면 유학자들은 어느 순간부터 경전을 재해석하면서 자신의 학설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자부」에 소속된 유가류의 본격적인 출발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아울러 유가류는 도가와 불가를 제외한 거의 전체를 포괄하는 포용성을 지녔으며, 이것은 유학의 본령인 修己治人의 정신에 부합하였다. 정치적인 측면에서, 『제요』 편찬자는 논쟁의 유발을 극단적으로 혐오하였으며, 그 서술 관점은 명 왕조보다 모든 면에서 비교우위를 점하려는 반명주의정책을 띠었다. 이는 이민족 왕조라는 한계에 대한 인식의 발로였다. 『제요』 편찬자들은 性理學을 공인하면서도 성리학의 역사를 논쟁과 비판의 역사로 이해하면서, 그 효용성을 의심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일면 漢代經學의 방법론에 대한 선호를 암시하며, 동시에 국가 공인의 학문인 성리학에 대한 제한적 승인을 유도하였다. Zi(子:Masters) category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 General Catalog with Abstracts) means the taxonomy of all kind of thoughts which are specialized and independent on of Qing Dynasty. this Zi (子:Masters) category is the most effective analysis subject for studying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SQZ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ademic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SQZT. For this object, first of all, the present writer reviewed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Siku Quanshu(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 and checked the difference between Jing(經:Classics) category and The Confucian Branch in Zi(子:Masters) category. the result of a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The standard Classification and the Criticism of SQZT depend on the Confucian Classics. But Confucianists went into re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from a their viewpoint for some time, and began to assert their opinions. The Confucian Branch originated from this circumstances and had the amazing catholicity which covered all most another Branches. It corresponded closely with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thers. The Bibliographers of SQZT didn`t like unproductive metaphysical disputes, and adopted the policy of the anti-Ming Dynasty. It was an expression of a appreciation for ethnocracy. The Bibliographers of SQZT conceded Neo-Confucianism, but suspected the utility of Neo-Confucianism. this suggests they preferred to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on The Han Dynasty, so they derived a restrictive recognition from Qing Dynasty.

      • KCI등재

        퇴계와 다산의 역학적 변용과 동질성

        조장연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I-hsüeh(易學) between Lee Whang(李滉) and Chŏng Yag-yong(丁若鏞). There are Two origins in I-ching(易經), the prime Confucian Classic. the one is the Theory of Yangguan-Fucha(仰觀俯察說),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Hetu-Loushu(河圖洛書說). Chu Hsi(朱熹) apprehended I-ching in base of Tushu-Yi(圖書易), and Tushu-Yi was based of the Theory of Hetu-Loushu. The establishment of an ethical code was his matter of interest, and the principle was deducted by T'ai-chi(太極) or Li(理). Lee Whang(李滉) embraceed Chu Hsi's Tuchu-Yi. But He tightened up the concept of T'ai-chi or Li, and suggested the proposition of Li-fa(理發). In his opinion, the Mind(心)was a principal agent of awareness that reflected by T'ien-li(天理), and the aim of studying I-ching was integrity of the Mind. On the other hand, Chŏng Yag-yong(丁若鏞) Should overcame Chu Hsi's viepoint of Tushu-Yi, so he wanted to substitute the Sang-di(上帝) with Li in order to regain the practical Moral principal substitute. Therefore, we can find that There are homogeneity between Li-fa and Sang-di. 본 논문은 퇴계와 다산의 역학을 주제로 하여 서로 간의 현격한 차이점에도불구하고, 학문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차원에서 그 동질성을 모색한 논문이다. 주역의 기원은 仰觀俯察說과 河圖洛書說로 대표되는데, 주자는 하도낙서설에기초한 圖書易의 입장에서 주역을 이해하였다. 자연에 대한 주자의 관심은 인간의 도덕원칙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고, 自然之理를 통한 도덕적 원리의 도출은 ‘太極’ 또는 ‘理’라는 표현으로 정식화된다. 문제는 이 ‘보편적 理’ 또는 ‘태극’이 인간과 자연을 아우르는 현상 세계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 대안으로 모색한 것이 바로 圖書易의 관점을 토대로 전개된 자연철학이었다. 퇴계는 주자의 도서역을 수용하면서, 특별한 문제제기를 하지는 않는다. 반면 인간의 심성 영역에서 太極즉 理개념에 대한 강화는 주자와는 구별되는 퇴계만의 심성론을 구축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으며, 아울러 심성의 영역에서 ‘理發’이라는 명제를 이끌어내었다. 心이란 天理가 반영된 인식의 주체이고, 이 심을 맑고 바르게 하는 것은 주역을 읽는 목적이기도 한 것이다. 반면 다산은 공자가 제시한 실천적 도덕윤리를 강화시킴으로써 주자의 도서역을 극복하려 하였다. 그리고 상실된 理의 위상 대신 상제를 등장시킨다. 즉 ‘上帝’라는 절대적 개념을 둠으로써, 그것에 의해 선을 보장받았던 것이다. 이러한 면은퇴계가 심성론에 적용되는 理의 절대성을 자연속의 理氣범주와 달리 보려 하였던부분과 사상적 맥락에서 동질성을 엿볼 수 있다. 즉 선의 근거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그 근거가 되는 주자의 圖書易을 변용함으로써 퇴계에게는 ‘이발’이란 명제를,다산에게는 ‘상제’라는 개념이 요청되었다고 할 수 있다.

      • 經學의 중심에서본 茶山의 易學觀

        조장연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3 한국민족문화 Vol.21 No.-

        chong Yag-youg(丁若鏞:Tasan, 1762-1836)'s classical Confucian studies(經學) was one of the predominant commentary in the late Choson dynast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asan's viewpoint of I-hsueh(易學) in classical Confucian studies. Dasan's viewpoint of I-hsueh(易學) is concerned with dissecting construction of the nature and human being. In Confucious tradition, I-hsueh is the continuous cognition between the natural law and the human light principle, but he broke with the tradition that had the unification of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 The viewpoint of Dasan have two important agreement. the one is the divination as original established form, and the one is practical method that transcend the divination. The form of divination is deploy with logical organization like a puzzle game, it is Yukli-Sabub(易理四法). Before the Dasan's age, the most successful explanation of I-ching(易經) had been metaphysical doctrine of morality by Neo-Confucian in Sung(宋)dynasty, otherwise Dasan argued that objective principle must be embodied rationally. Even if ithing rever to original form, the function of i-ching as divination doesn't come to life again, that is, lose the function of divination. His classical Confucian studies(經學) is based on Principle of Good Governance(經世論),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Dasan and Neo-Confucian. This explanation apply to his viewpoint of iching, therefore, his object of research on iching is to embody ideal political-model. His interest in chou-li(周澧) reflec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